
총 74개
-
폐암환자와 ABGA결과에 따른 간호2025.01.121.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가스검사)는 신체의 산염기 균형과 산소공급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로 동맥혈의 산도(pH), 산소 분압(PO2), 이산화탄소 분압(PCO2), 중탄산염(HCO3-) 등을 함께 측정합니다. ABGA 검사는 생명이 위급한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 검사 중 하나이기 때문에 병원의 중환자실, 응급실 등에서 자주 시행합니다. ABGA는 요골동맥이나 대퇴동맥에서 진행합니다. 2. 정상 ABGA 정보 정상 ABGA...2025.01.12
-
기본 간호 사전학습 checklist 정리 성인간호학 사전학습2025.05.061.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 측정의 목적은 대상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문제를 확인하며 중재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함입니다. 활력징후 측정 시기는 입원 시, 정규적인 절차, 수술이나 침습적 검사 전후, 수혈 전중후, 활력징후에 영향을 주는 약물 투여 또는 간호중재 전후, 대상자의 전반적인 신체상태 변화 시, 대상자의 주관적인 증상 호소 시 등입니다. 체온 측정 부위는 구강, 직장, 겨드랑이, 고막과 피부/측두동맥이며, 체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 일주기성 변동, 운동, 호르몬, 스트레스, 환경 등이 있습니다. 2. 맥박 측...2025.05.06
-
기본간호학실습 - 핵심술기 활력징후 실습 대본2025.05.101. 미생물 전파 방지 실습 시 손 씻기, 체온계와 청진기 소독 등을 통해 미생물 전파를 방지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체온 측정 고막 체온계와 전자 체온계를 사용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3. 맥박 및 호흡 측정 요골동맥을 촉진하여 맥박을 측정하고, 호흡 수를 관찰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4. 혈압 측정 상완동맥을 촉진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5.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간호사가 환자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활력징후 측정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는 등 환자와의 상호작용...2025.05.10
-
PCI, PTCA, CAG2025.05.061. CAG(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은 특수 카테터를 요골동맥 또는 대퇴동맥에 삽입하여 X선 투시 영상이 보이는 조영제를 주입함으로써 심장과 그 혈관계의 구조적 이상 및 병태생리, 혈역학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술이다. 만약 관상동맥의 협착, 혈전 등 이상소견이 발견되면 약물치료, 풍선 및 스텐트 삽입, 외과적 수술을 시행 받게 된다. 시술 후 합병증으로는 동맥천자 부위의 국소 합병증, 조영제 사용에 따른 반응, 심장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등이 있다. 2. PTCA(Percutaneous Tran...2025.05.06
-
성인간호학 혈역학모니터 보고서2025.04.281. 침습적 혈역학 감시 혈역학 감시는 환자의 혈역학 상태를 평가하고, 의료진으로 하여금 심혈관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및 중재의 지침을 제공함과 동시에 중재 후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침습적 혈역학 감시란 말초동맥, 중심정맥, 폐동맥 등에 침습적인 카테터를 삽입하여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환자의 혈역학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혈역학 지표로는 심박수,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심박출량 등을 포함한다. 2.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중심정맥압은 전신순환으로부터 ...2025.04.28
-
A+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CABG case2025.01.141. 협심증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으로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서 발생하는 데 비해, 협심증은 어느 정도의 혈류가 유지되기 때문에 주로 심장 근육의 산소 요구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만성적으로 진행된 안정형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의 중간 단계에 위치한 위험한 상태의 협심증으로 발작적인 흉통이 안정 중에도 일어나고 운동 중에 발생한 흉통은 안정을 취해도 경감되지 않으며, 통증의 빈도와 지속시간(흉통 15분 이상), 강도가 전보다 ...2025.01.14
-
관상동맥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레포트2025.04.271. 관상동맥우회술 (CABG) 관상동맥우회술은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발생한 협심증 및 심근경색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입니다. 좁아진 관상동맥에 환자의 다른 혈관을 이용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심장근육으로 흐르는 혈류를 개선시키는 수술입니다. 장기적으로 우수한 개통률과 생존률을 보이며, 재수술 및 합병증 발생률이 낮아 표준 치료로 시행됩니다. 2. 적응증 CABG는 경피적 스텐트 삽입술만으로 치료할 수 없거나 관상동맥 질환이 많이 진행된 경우, 좌측 주요 관상동맥이 50% 이상 폐색된 협심증, 관상동맥 2...2025.04.27
-
중심정맥관의 종류와 이해2025.01.211. CVC 정의 CVC(중심정맥관, Central venous catheter)는 큰 중심정맥인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으로 삽입되어 끝(tip)이 상대정맥, 하대정맥 또는 우심방 내에 거치하도록 하는 인체 내 삽입도구이다. 2. CVC 적응증 CVC는 다량의 수액 투여가 필요한 경우, 고농축 수액 및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는 약물 투여가 필요한 경우, 투석 또는 혈장교환술, 심박동조율기, 폐동맥관 삽입이 필요한 경우, 중심정맥압 감시가 필요한 경우, 응급 상황에서 말초혈관에 정맥관을 삽입하기 어려운 경우, 채혈이 지속되는...2025.01.21
-
사례별 활력징후 측정방법, 상황 4가지, 활력징후, V/S2025.05.101. 사례별 활력징후 측정 유방암 진단 후 2일 전 우측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35세의 이절제씨가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이 대상자는 부정맥으로 디곡신(digoxin)을 투여하고 있다. 이 대상자에게 활력징후 측정 시 확인해야 하는 사항을 말하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기록하시오. 체온은 고막체온을 측정하고, 맥박은 심첨맥박을 측정하며, 호흡은 1분간 측정하고 산소포화도를 확인해야 한다. 혈압은 좌측 상지나 하지에서 측정한다. 2. 노인의 활력징후 특징 집 앞에서 미끄러져 우측 대퇴골절로 long leg splint를 하고 있는 75...2025.05.10
-
각 사례별 활력징후측정, 근거, 방법2025.05.021. 유방암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 유방암 진단 후 2일 전 우측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35세의 이절제씨가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이 대상자는 부정맥으로 디곡신(digoxin)을 투여하고 있다. 이 대상자에게 활력 징후 측정 시 확인해야 하는 사항으로는 체온, 맥박, 호흡, 혈압 등이 있다. 체온은 고막, 피부, 측두동맥 등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맥박은 좌측 상지, 심첨부위, 하지 등에서 측정할 수 있다. 호흡은 1분간 관찰하며, 혈압은 하지에서 측정할 수 있다. 각 활력징후 측정 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측정 방법, 유의점 등을...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