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 혈역학모니터 보고서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혈역학모니터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7
문서 내 토픽
-
1. 침습적 혈역학 감시혈역학 감시는 환자의 혈역학 상태를 평가하고, 의료진으로 하여금 심혈관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및 중재의 지침을 제공함과 동시에 중재 후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침습적 혈역학 감시란 말초동맥, 중심정맥, 폐동맥 등에 침습적인 카테터를 삽입하여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환자의 혈역학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혈역학 지표로는 심박수,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심박출량 등을 포함한다.
-
2.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중심정맥압은 전신순환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귀환하는 혈액의 압력으로 주로 경정맥, 쇄골하정맥을 통해 카테터를 우심방 내에 삽입한 후 압력을 측정한다. 우심방의 전부하와 기능 상태를 직접 반영하며 수액과다 또는 수액부족 등을 알 수 있게 하므로 수액공급의 지침으로 이용된다. 정상 중심정맥압은 보통 4~12cmH2O(1~7mmHg)이며 변화양상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3. 동맥압(intraarterial blood pressure)심박출량이 매우 감소하게 되면 일반적인 방법으로 혈압측정이 부정확해진다. 침습적인 방법으로 동맥압을 모니터하는 것이 실제 혈압을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 정상 혈압은 120/80mmHg이다. 동맥 카테터는 요골동맥, 상완동맥 등에 흔히 삽입한다. 동맥라인은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출혈, 허혈, 색전증, 감염, 신경손상, 혈종 등의 합병증이 있을 수 있다.
-
4. 폐동맥압(pulmonary artery pressure, PA) 및 폐모세혈관쐐기압(PCWP)폐동맥압은 심한 심부전 환자나 심인성 쇼크, 심장수술 후 환자에게 측정함으로써 폐울혈과 좌심실의 기능상태를 확인하여 보다 정확하게 심기능을 사정할 수 있다. 폐동맥 카테터는 내경정맥 또는 쇄골하정맥과 같은 중심정맥으로 삽입된 후 우심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폐동맥쐐기압은 좌심실 기능을 사정하는데 사용된다.
-
5.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심박출량은 폐동맥 카테터를 이용한 온열희석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정상 심박출량은 4~8L/min이며, 심장지수의 정상범위는 2.5~4.0L/min/m²이다. 심박출량은 심장기능과 좌심실의 기능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
1. 침습적 혈역학 감시침습적 혈역학 감시는 중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심혈관 기능과 체액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침습적 감시 방법은 감염, 출혈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표에 따라 침습적 감시 방법의 적절성을 신중히 판단해야 하며, 합병증 예방을 위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2.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중심정맥압(CVP)은 심장 기능과 체액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CVP는 우심방압력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전부하, 심장 수축력, 혈관 저항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CVP는 단독으로 해석하기 어려우며, 다른 혈역학적 지표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CVP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들이 많아 숙련된 의료진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CVP 측정과 해석에 있어서는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3. 동맥압(intraarterial blood pressure)동맥압 측정은 환자의 전신 혈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혈압 변동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동맥압 측정은 침습적 방법이지만, 최근 기술 발전으로 비침습적 방법도 개발되고 있습니다. 동맥압 측정 시에는 측정 부위, 측정 방법, 환자의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숙련된 의료진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또한 동맥압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주의도 요구됩니다.
-
4. 폐동맥압(pulmonary artery pressure, PA) 및 폐모세혈관쐐기압(PCWP)폐동맥압(PA)과 폐모세혈관쐐기압(PCWP)은 심장 기능과 폐 혈류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A는 우심실 기능과 폐혈관 저항을 반영하며, PCWP는 좌심실 충만압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심부전, 폐고혈압 등의 진단과 치료 방향 설정에 활용됩니다. 그러나 PA와 PCWP 측정은 침습적 방법이므로 합병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측정 과정과 해석에 숙련된 의료진의 판단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PA와 PCWP 측정은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표를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것입니다.
-
5. 심박출량(cardiac output, CO)심박출량(CO)은 심장의 펌프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CO는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결정하므로 중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CO 측정을 위해서는 침습적 방법과 비침습적 방법이 모두 사용되고 있습니다. 침습적 방법은 정확성이 높지만 합병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비침습적 방법은 편의성이 높지만 정확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표에 따라 CO 측정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측정 결과의 해석 시에도 다른 혈역학적 지표와 함께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중환자실 ICU 사전학습 보고서 성인간호학 28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중환자실사전학습보고서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3) 신경계 구조와 기능4)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 (ABGA)5) Emergency cart 약물6) Endotracheal Intubation7) Mechannical Ventilation8) 산소요법9) 혈류역학모니터10) 심전도11) IICP Monitor와 ICP 상승 대상자 간호12) 무의식 대상자 간호학 과과 목 명병 원담 당 교 수학 번성 명Ⅰ.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상부기도]1. 코안(비강)과 코곁굴(부비동)코안은 코중격에 의해 좌우로...2022.12.06· 28페이지 -
A+ 받았습니다. ICU(중환자실) 실습 사전학습 보고서(정말 상세) 32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III 중환자실 사전학습 보고서 목차 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 3. 신경계 구조와 기능 4. 동맥혈 가스분석 검사(ABGA) 5. Emergency Cart 6. 기관내 삽관 7. 기계적 환기 8. 산소요법 9. 혈류 역학 모니터 10. 심전도 11. ICP와 ICP 상승 대상자 간호 12. 무의식 대상자 간호 13. 감염관리 격리 지침 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 호흡기계 구조 1) 상부기도 ? 구성요소 : 코(비강), 부비동, 인두, 후두 비강 -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구분 - 비강 ...2024.09.05· 32페이지 -
[성인간호실습 A+] 중환자실 사전학습 보고서 (목차 참고, 내용 多) 31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Ⅲ- 중환자실 사전학습 보고서 -실습 기관원광대학교 산본병원실습 부서ICU실습 기간이 름학 번제출일자담당교수- 목차 -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1) 상부기도2) 하부기도3) 호흡기계 방어기전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3. 신경계 구조와 기능1) 신경계 기본 구조2) 중추신경계; 뇌3) 중추신경계; 척수4) 말초신경계5) 신경계 보호와 유지기능4.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 ABGA5. Emergency cart 약물6. Endotracheal intubation7.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환기8. 산...2023.02.05· 31페이지 -
CASE STUDY OS HIP FRACTURE 정형외과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고관절 골절 hemiarthroplasty 20페이지
2019학년도실습교과목성인간호학 실습 I담당교수제출일실습병원/ 실습부서/ OS실습기간학년 반/ 학번 이름통계자료과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던 인공관절들이 최근 소재가 세라믹으로 바뀌면서 치료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플라스틱으로 만든 인공관절들은 수명이 짧기 때문에 약 10년 이후, 재치환술이 필수였지만, 이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세라믹 소재 덕분에 30년 이상 유지할 수 있게 된 것. 김태영 교수는 “인공관절의 소재가 과거 플라스틱에서 강화플라스틱을 거쳐 금속, 세라믹이 개발되면서 내구 수명이 늘어나고 있다”며 “반영구적으...2021.04.30· 20페이지 -
A+맞은자료[간호학과]_성인간호학실습_중환자실 사전학습 29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Ⅲ사전학습 보고서중환자실 실습실습기관 :실습부서 :실습기간 :제출자 :제출일 :담당교수 :목차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2.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3. 신경계 구조와 기능4.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ABGA)5. emergency cart(약물)6. Endotracheal Intubation7.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환기)8. 산소요법9. 혈류역학모니터(1) Central venous pressure monitoring(2) Swan-ganz catheter monitoring10. 심전도(El...2022.11.14· 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