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례별 활력징후 측정방법, 상황 4가지, 활력징후, V/S
본 내용은
"
사례별 활력징후 측정방법, 상황 4가지, 활력징후, V/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5
문서 내 토픽
-
1. 사례별 활력징후 측정유방암 진단 후 2일 전 우측 유방절제술을 시행한 35세의 이절제씨가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이 대상자는 부정맥으로 디곡신(digoxin)을 투여하고 있다. 이 대상자에게 활력징후 측정 시 확인해야 하는 사항을 말하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기록하시오. 체온은 고막체온을 측정하고, 맥박은 심첨맥박을 측정하며, 호흡은 1분간 측정하고 산소포화도를 확인해야 한다. 혈압은 좌측 상지나 하지에서 측정한다.
-
2. 노인의 활력징후 특징집 앞에서 미끄러져 우측 대퇴골절로 long leg splint를 하고 있는 75세 김할머니는 만성폐색성 폐질환(COPD)로 기관지확장제를 투여하고 있다. 김할머니의 체온은 고막이나 측두동맥을 통해 측정하고, 맥박은 상지와 족배동맥에서 측정한다. 호흡은 기관지확장제 투여 전후로 측정하며, 혈압은 좌측 상지나 하지에서 측정한다. 노인의 경우 체온이 낮고 맥박이 감소하며, 호흡이 얕아지고 혈압이 증가할 수 있다.
-
3. 만성신부전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만성신부전인 45세의 황신장씨는 혈액투석이 계획되어 왼쪽 팔에 동정맥루를 시술한 상태이며 항고혈압제와 이뇨제가 투여되고 있다. 수분 전해질 불균형을 치료하기 위해 오른쪽 팔에 정맥으로 수액이 주입되고 있다. 체온은 구강이나 고막에서 측정하고, 맥박은 오른팔 요골동맥에서 측정한다. 호흡은 빈호흡이 관찰될 수 있으며, 혈압은 대퇴부에서 측정한다.
-
4. 인공심박동기 삽입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판막부전으로 인공 심박동기를 삽입한 대상자에게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 체온은 구강, 고막, 측두동맥에서 측정하고, 맥박은 심첨맥박과 말초맥박을 동시에 측정한다. 혈압은 상지와 하지에서 모두 측정하여 비교한다. 호흡은 1분간 측정하고 산소포화도를 확인한다. 인공심박동기 삽입 환자는 전자파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1. 사례별 활력징후 측정활력징후 측정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환자의 상황에 따라 활력징후 측정 방법과 주기가 달라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중증 환자의 경우 더 자주, 세부적으로 측정해야 하고, 안정된 환자의 경우 덜 자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측정 시 환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 비침습적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처럼 사례별로 활력징후 측정 방법과 주기를 달리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노인의 활력징후 특징노인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생리적 변화로 인해 활력징후의 특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박수와 혈압이 낮아지고, 체온 조절 능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만성 질환으로 인해 활력징후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인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는 이러한 특징을 고려해야 합니다. 측정 시 정상 범위를 달리 적용하고, 변화 추이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노인 환자의 활력징후 변화가 질병의 징조일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3. 만성신부전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만성신부전 환자의 경우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해 활력징후가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압이 높거나 낮을 수 있고, 체온 변화가 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치료 전후로 활력징후가 크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성신부전 환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변화 추이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투석 전후로 활력징후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4. 인공심박동기 삽입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한 환자의 경우 심장 기능이 보조되므로 활력징후 측정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심박수가 인공심박동기의 작동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해야 하고, 혈압 변화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또한 인공심박동기 삽입 부위의 상처 상태와 감염 여부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이처럼 인공심박동기 삽입 환자의 활력징후 측정 시에는 심장 기능과 수술 부위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어야 합니다.
-
(A+ 고퀄리티!!!! 느낀점 상세 기술 !!!)간호관련 의료분쟁 판례 분석 보고서(학습성과 6 보고서) 10페이지
간호관련 의료분쟁판례 보고서과목명보건의약관계법규담당교수제출일2023.11.21학번이름목차Ⅰ. 서론1) 의료인의 정의 ·········································································································· 1p2) 의료인의 자격과 업무 ······················································································ 1p3) 의료분쟁의 정의, 유형 ······...2025.03.08· 10페이지 -
A+ 보건의료법규 간호사 관련 의료사고 판례 보고서 5페이지
Ⅰ. 사건개요[판시사항][1] 간호사가 의사의 진료를 보조할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를 의무가 있는지 여부[2] 간호사 A, B가 수술 직후의 환자에 대한 진료를 보조하면서 1시간 간격으로 4회 활력징후를 측정하라는 담당 의사의 지시에 따르지 아니하였고 그 후 위 환자가 과다출혈로 사망한 사안에서, 甲과 乙에게 업무상과실이 있다고 한 사례[판결요지][1] 구 의료법(2007. 4. 11. 법률 제8366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은 제2조에서 의사는 의료에 종사하고, 간호사는 간호 또는 진료의 보조 등에 종사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므...2025.02.02· 5페이지 -
보건의료분야에서 법적책임관련 사례를 찾고 법적 윤리적 판단 및 자신의 의견 6페이지
사례 2개- 담당간호사와 학생간호사의 확인의무 위반- 간호사의 의사지시 불이행으로 인한 업무상과실치사사례 2개로 구성근거에 의료법과 관련해 연관지어 설명개인 의견 有[사례1 ]이 사건은 피해자(여, 70세)가 1999. 12. 3. 뇌출혈 증세로 ○○ ○병원에입원하여 뇌실외배액술 등의 수술을 받은 다음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다가같은 달 9일 일반병실로 옮겨졌는데, 피해자의 몸에는 수술 직후부터 대퇴부정맥에 주사침을 통하여 수액을 공급하기 위한 튜브가 연결되어 있었고머리에는 뇌실 삼출액(삼출액)을 배출하기 위한 튜브(뇌실외배액관)가 ...2024.11.30· 6페이지 -
A+ 태반조기박리 CASE STUDY - 태아 질식의 위험, 출혈, 통증 등 간호진단 4개(문헌고찰, 분만 전후 간호중재 및 이론적 근거 각각 3-6개 포함) 6페이지
I. 사례 설명조기진통으로 입원한 임신 30주 산부로, 침상 안정 중 갑작스러운 복통을 호소하며 다량의 핏덩어리를 포함한 출혈을 보여 NST한 결과 태아 맥박이 80회/분에서 지속적으로 회복되지 않아 태반조기박리 진단 하 응급 제왕절개를 한 사례임.II. 문헌고찰? 정의 : 임신 20주 이후, 태아 만출 이전에 태반이 착상 부위에서 조기 분리되어 자궁벽과 태반 사이를 연결하는 혈관이 파열되며 태반과 자궁벽 사이에 출혈을 일으키는 산과적 질환? 출혈 부위에 따른 분류- 외출혈 : 태반의 변연부위가 박리되어 경부를 통해 출혈이 나타난다...2025.01.06· 6페이지 -
CRI 사례보고서 6페이지
평택 굿모닝병원 19병동임상통합실습2018540046 이시은비판적 성찰 탐구 보고서1. CRI 사례1) 기술단계: Narrative 작성74세 남 김OO님은 Pneumonia를 본원에서 진단받아 f/u하는 환자이며, 일주일 전부터 fever, cough, sputum이 있었고 3/31 오전부터 상기 증상이 심해지며 dyspnea가 있어 ER을 통해 병원으로 내원하셨다. 병동으로 입원하신 후 환자분은 호흡곤란으로 인해 말하는데 어려움이 있으셨다. 활력징후 측정결과 호흡수는 32회/min로 빠르며 산소포화도 수치는 88%로 떨어져있어 ...2022.01.26·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