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46개
-
(주식회사법) E형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8다228462,228479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2025.01.261.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를 양도하는 경우 상법 제374조 제1항에서는 회사가 영업의 전부나 중요한 일부를 양도할 때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다. 법원은 영업의 전부나 중요 부분을 양도했다고 보기 위해서는 양수한 회사가 양도한 회사의 영업적인 활동의 전부나 중요한 부분을 승계해야 하는 것이어서 단순히 영업용 재산을 양도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보았다. 다만, 영업용 재산을 처분한 결과로 양도한 회사의 영업 전부나 일부가 폐지되는 결과를 초래했다면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필요한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 부분의...2025.01.26
-
내용증명(분양계약 해제와 위약금,손해배상의 범위)2025.01.171. 분양계약 해제 발신인은 개인 사정상 잔금 납부가 어려워 분양계약 해제를 원하고 있으며, 분양계약 해제 시 발신인은 공급계약서 제4조 위약금 규정에 따라 분양대금 총액 10% 즉 계약금만 위약금으로 지급하고, 중도금 무이자 대출에 대한 이자 부분만 부담하면 될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2. 위약금 범위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분양계약 해제 시 잔금에 대한 연체이자는 발생하지 않으며, 위약금으로 분양대금 총액의 10%만 지급하면 됩니다. 또한 대납관리비, 대납재산세 등을 별도로 청구할 수 없습니다. 3. 기망행위 가능성 이 사건 분양은...2025.01.17
-
주식회사법 C형 ) 대법원 2020. 11. 26. 선고 2018다283315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하여 제출2025.01.241. 사실관계 1) 당사자들의 지위: 울트라건설 주식회사는 토목, 건축 공사업 등을 목적으로 하는 주식회사였는데, 2014. 10. 7.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른 회생절차 개시신청을 하여 2014. 10. 22. 회생절차 개시결정을 받았다. 울트라건설은 상장 회사였으나 2015. 4. 13. 상장이 폐지되었다. 2) 회생절차에서 울트라건설의 주식 병합에 의한 자본 감소: 이 사건 회생절차에서 2015. 7. 1. 회생법원으로부터 인가된 울트라건설에 대한 회생계획에는 주식 병합 및 회생채권의 출자 전...2025.01.24
-
조직심리학_임금피크제 관련 대법원 판결과 사회적 이슈2025.05.021. 임금피크제의 개념 및 종류 임금피크제는 근로자의 지속적인 고용이 보장되고 일정기간 고용이 보장되도록 노사합의를 통해 일정 연령에 따라 임금을 조정하는 제도입니다. 임금피크제에는 정년 연장 유형, 고용 연장 유형, 정년 보장형 등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2. 임금피크제의 도입배경 임금피크제는 1998년 경제위기(IMF 금융위기) 극복을 위한 구조조정 과정에서 생산성과 인건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기업 경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영자와 노동자가 합의하여 도입되었습니다. 3. 임금피크제 판결로 예상되는 사회적 이슈 임금피크제 관련...2025.05.02
-
(주식회사법) A형 [대법원 2023. 2. 2. 선고 2022다276703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2025.01.211. 회사의 법인격 부인 법인격부인론은 법인격을 박탈하지 않고 그 법인격을 남용한 경우에 회사의 독립적인 법인격을 제한하여 회사 형태를 남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회사가 지는 책임에 대해 회사의 주주 개인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게 하는 이론이다. 대법원은 예외적인 경우에는 법인격 부인론을 적용해서 회사의 주주 개인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2. 회사 설립 전 개인의 채무에 대한 회사의 책임 대법원은 회사의 주주들이 개인적으로 지는 책임은 회사와 구분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법인격 부인론을 역적용해 주주 개인의 책임...2025.01.21
-
악의의 무단점유에 관한 점유취득시효 완성에 대하여 논술하시오2025.05.011. 취득시효의 개념과 취지 취득시효는 물건이나 권리를 점유하는 사실 상태가 일정한 기간 동안(상당히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되는 경우 실제 권리자나 소유자가 누구냐에 관계없이 권리를 취득한 것으로 인정해주는 제도이다. 소멸시효 제도가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권리를 소멸시켜서 현실 상태와 법률 상태를 일치시키는 개념이라면 취득시효는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권리를 취득시켜서 현실 상태와 법률 상태를 일치시키는 개념이다. 2. 점유취득시효의 요건 점유취득시효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20년 동안 소유의 의사를 가지고 평온, 공연하게 부동산을 ...2025.05.01
-
상법심화주제 : [대법원 2022. 4. 28. 선고 2021다305659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2025.01.261. 상법 제42조 제1항의 의미 상법 제42조 제1항에서는 영업양수인이 양도인의 상호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도인의 영업으로 인한 제3자 채권에 대하여 양수인의 변제 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이는 채무가 승계되지 않음에도 상호를 계속 사용함으로써 영업양도의 사실 또는 영업양도에도 불구하고 채무의 승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실이 대외적으로 판명되기 어려워 채권자에게 채권 추구의 기회를 상실시키는 경우 양수인에게도 변제의 책임을 지우기 위한 것이다. 2. 상법 제42조 제1항의 유추 적용 여부 사례에서 원고는 △△△오션으로부터 카지노...2025.01.26
-
주식회사법[대법원 2022. 3. 31. 선고 2019다274639 판결]2025.05.021. 주식 양도 제한 약정의 효력 이 사건은 원고 주식회사 에스피엔지니어링과 피고 주식회사 신영 간의 주식 양도를 일부 제한하는 약정의 효력을 다룬 사건입니다. 법원은 최종적으로 상고를 기각하여, 주식 양도 제한 약정이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는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위해 주주들 간의 사적 계약으로 주식 양도를 제한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본 것으로 보입니다. 1. 주식 양도 제한 약정의 효력 주식 양도 제한 약정은 주주 간의 합의에 따라 이루어지는 계약적 약정으로, 그 효력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2025.05.02
-
(주식회사법) E형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8다228462,228479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2025.01.251. 주주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 대법원은 주식회사의 주주는 회사의 경영에 대해 이해관계를 가지지만, 직접 회사를 경영하는 것이 아니며 주주총회의 결의를 통해서만 자기의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주주는 회사의 재산관계에 대해 법률상 이해관계를 가지는 자라고 할 수 없으므로, 주주가 직접 제3자와의 거래관계에 개입해 회사가 체결한 계약이 무효라고 주장하며 그 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2. 영업 양도 계약과 주주총회 특별결의 요건 대법원은 회사가 영업의 전부나 중요한 일부를 양...2025.01.25
-
주식회사법3A 대법원 2020 6 4 선고 2016다241515 241522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하여 제출하시오2025.01.261. 이사의 보수 결정 절차 이 사건에서 핵심 쟁점은 회사 대표이사의 보수 결정과 관련된 문제로, 회사의 정관 및 주주총회 결의 절차에 따라 대표이사 보수가 적법하게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것입니다. 대법원은 상법 제388조에 따라 이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해야 하며, 정관에 구체적으로 위임되지 않은 보수 결정은 효력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이사 보수의 결정이 정관 및 주주총회 결의 없이 포괄적으로 이사회에 위임된 경우에는 무효라고 보았습니다. 2. 보수 결정 과정의 절차적 적법성 대법원은 피고의 보수가 주주총회의...2025.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