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회사법) E형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8다228462,228479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
본 내용은
"
(주식회사법) E형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8다228462,228479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08
문서 내 토픽
-
1. 주주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대법원은 주식회사의 주주는 회사의 경영에 대해 이해관계를 가지지만, 직접 회사를 경영하는 것이 아니며 주주총회의 결의를 통해서만 자기의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자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주주는 회사의 재산관계에 대해 법률상 이해관계를 가지는 자라고 할 수 없으므로, 주주가 직접 제3자와의 거래관계에 개입해 회사가 체결한 계약이 무효라고 주장하며 그 확인을 구할 법률상 이익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
2. 영업 양도 계약과 주주총회 특별결의 요건대법원은 회사가 영업의 전부나 중요한 일부를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한 경우라도 주주는 회사가 체결한 계약에 직접 이해당사자가 아니므로 이에 개입해 무효확인을 구할 수 없다고 보았다. 다만 이 사건에서는 회사의 대표이사, 사내이사, 주요 주주들이 묵시적으로 동의했다고 판단되어 주주총회 특별결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보았다.
-
3. 회사 채권자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대법원은 회사와 제3자 사이의 계약으로 인해 회사의 변제 자력이 감소하여 채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만족할 수 없게 된 경우, 회사의 채권자가 직접 그 계약의 무효확인을 구할 이익은 없다고 판단하였다. 채권자는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하여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 뿐, 직접 계약의 무효확인을 구할 수는 없다고 보았다.
-
1. 주주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주주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은 회사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주주는 회사의 실질적인 소유자이므로 회사의 중요한 계약에 대해 무효 확인을 청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만 이러한 권한은 남용되지 않도록 일정한 요건과 절차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주주가 회사의 이익을 위해 선의로 행동했다는 점, 계약 체결 과정에 중대한 하자가 있었다는 점 등을 입증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주주의 청구권 행사가 회사 경영에 지나친 혼란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결국 주주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은 회사와 주주 간의 이해관계를 조화롭게 조율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영업 양도 계약과 주주총회 특별결의 요건영업 양도 계약은 회사의 중요한 자산과 사업을 처분하는 것이므로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필요합니다. 이는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특별결의 요건은 회사 규모와 거래 규모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지나치게 엄격한 요건은 회사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반면 너무 느슨한 요건은 주주의 권리를 충분히 보장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업 양도 계약과 관련된 주주총회 특별결의 요건은 회사와 주주 간의 이해관계를 균형있게 반영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입니다.
-
3. 회사 채권자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회사 채권자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은 채권자 보호를 위해 인정되어야 합니다. 회사가 체결한 중요한 계약이 무효인 경우 채권자의 이익이 침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러한 권한이 남용되지 않도록 일정한 요건과 절차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채권자가 계약 무효로 인해 실제 손해를 입었다는 점, 계약 체결 과정에 중대한 하자가 있었다는 점 등을 입증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채권자의 청구권 행사가 회사 경영에 지나친 혼란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결국 회사 채권자의 계약 무효 확인 청구 권한은 채권자 보호와 회사 경영의 안정성을 조화롭게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입니다.
-
(주식회사법) E형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8다228462,228479 판결]을 목차에 따라 서술1.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를 양도하는 경우 상법 제374조 제1항에서는 회사가 영업의 전부나 중요한 일부를 양도할 때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를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다. 법원은 영업의 전부나 중요 부분을 양도했다고 보기 위해서는 양수한 회사가 양도한 회사의 영업적인 활동의 전부나 중요한 부분을 승계해야 하는 것이어서 단순히 영업용 재산을 양도하는 것만으...2025.01.26 · 법학
-
주식회사법 E형 )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8다228462,228479 판결1. 주식회사의 주주의 권리와 한계 주식회사의 주주는 주식을 보유함으로써 회사의 경영과 관련된 이해관계를 가질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회사의 운영에 직접 개입할 수 없다. 대신 주주총회를 통해 이사의 변경이나 특정 조건에서 이사의 행동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거나 대표적인 소송을 통해 그들의 책임을 추구하는 방법으로만 회사의 활동에 일정한 영향을 줄 수 있다....2025.01.24 · 법학
-
주식회사법 E형 [대법원 2022. 6. 9. 선고 2018다228462,228479 판결] 분석1. 영업양도 계약의 무효 여부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C와 D 간에 체결된 영업양도 계약이 무효인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이 계약이 C의 영업 전부 또는 중요 부분을 양도한 것으로 보아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필요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원고인 주주는 이 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므로 무효확인을 구할 법적 이익이 없다고 보았습니다. 2. 채권자의 채권자대위권 ...2025.01.26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