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51개
-
형태상 초점 교수 중 입력 중심의 기법과 출력 중심의 기법과 명시성2025.04.261. 형태상 초점 교수법(Focus on Form: FonF) 형태상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교수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했다. 의사소통 교수법은 언어의 형태(문법 등)를 배제하고 의미에만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로 인해 의사소통에서 문법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형태상 초점 교수법은 의미전달 기능을 유지하면서 언어의 정확성을 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교수법은 의사소통 맥락에서 문법을 교수하고 확장하여, 형태에도 주의를 집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의사소통을 위한 정확성과 유창성을 함께 달성할 수 있다. 2. 입력 중심...2025.04.26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외국어 교수법2025.05.141.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서 과제 중심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은 과제(Task), 구체적으로 실생활 과제를 중심으로 학문을 지도하는 교수 학습 방법의 일원이다. 과제 중심 교수법은 문법 중심 교수요목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교수요목에 기반한 영어 수업보다, 과제를 통해 언어 수업을 진행할 때 더욱 장점이 두드러진다. 과제 중심 교수법을 원활하게 활용하기 위한 기본 원칙으로는 의미와 목적이 분명한 의사소통을 포괄하는 상호작용, 과제를 통한 의사소통 유발, 교육적 과제와 실생활 과제, 난이도 계열화, 문법의 자연스러운 습득 등이 있다....2025.05.14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표현교육론-말하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2025.01.201.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말하기는 음성언어로 의사소통하는 표현 영역이며 언어와 비언어적 도구를 사용하여 화자가 자신의 생각, 감정, 정보 등을 표현하는 기능이다. 시대에 따라 언어를 보는 관점, 교수법, 학습 목적, 학습 과정 등이 변화하면서 말하기 교육에 대한 인식도 달라졌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에서는 말하기가 중요하지 않았지만, 직접식 교수법, 청각구두식 교수법, 공동체 언어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등으로 발전하면서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점차 증가했다. 2. 현재 말하기 교육과 언어...2025.01.20
-
한국어 교수법의 흐름과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를 바탕으로 차후에 어떤 교수법을 반영한 교재가 개발될 것인지2025.01.041. 한국어 교수법의 흐름 한국어 교수법은 시대적 상황과 교수자, 학습자 간의 관계를 고려하며 변화해왔다. 문법-번역식, 직접 교수법, 청각구두식, 침묵식, 전신반응, 의사소통 중심, 과제 중심 등 다양한 교수법이 등장했다. 특히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최근 주요 교수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정확성 부족의 문제가 있어 형태 초점 접근법이 등장했다. 과제 중심 교수법도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서 발전했다. 2. 교재에 반영될 교수법에 대한 예측 향후 한국어 교육에서 POA(발화 중심) 접근법이 활용될 것으로 예측된다. POA 접근법은 ...2025.01.04
-
과제 중심 교수요목의 대안으로 제시된 focus on form의 기법에 대한 비교 분석2025.01.231. focus on forms (형식 중심 활동) 1970년대 이전에 사용되던 전통적인 기법으로 문법적 설명이나 기계적 연습을 사용해 수업을 통제하고 조작하며 학습주의 주의를 언어형식으로 이끄는 교수법. 문법-번역식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 침묵식 교수법, 전신반응식 교수법 등이 여기에 속하며 구조 중심의 교수요목 구성 원칙을 가지고 있다. 문법 구조를 정확하게 습득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2. focus on meaning (의미 중심 활동) 1970년대와 1980년대...2025.01.23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재론-과제중심 교수요목의 대안으로 제시된 focus on form의(형태를 고려한 과제 중심 교수법) 기법에 대해 focus on forms(문법초점교수법-문법번역식, 청화식 교수법), focus on meaning(의미초점교수법-의사소통교수법)과 비교하여 구체적인 예를 바탕으로 설명하시오.2025.01.201. focus on forms 문법초점 교수법 문법초점 교수법은 전통적인 제 2언어 교수법으로 목포 언어 형식을 학습하는데 초점을 두고, 단어, 규칙, 구조, 기능, 개념, 의미 등으로 분리시켜 언어의 개별 요소를 먼저 학습한 후에 각 부분들을 통합해가는 통합적 접근법이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청화식 교수법이 이에 해당한다. 2. focus on meaning 의미초점 교수법 의미초점 교수법은 학습자가 언어를 맥락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둔다. 자연적 교수법과 의사소통 교수법이 이에 해당한다. 자연적...2025.01.20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론: Larsen-Freeman(2003)의 세 가지 영역과 문법 항목 반영 예시2025.05.121. 문법의 세 가지 영역 Larsen-Freeman(2003)에서 제시한 문법의 세 가지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형식, 구조 - 어휘적, 음소적, 문자소적 패턴 등 언어의 형태적 특성 (2) 의미 -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환경에서의 언어 습득 강조 (3) 사용 - 언어 형태와 의미를 분리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접근법 2. 문법 내용의 반영 예시: 형식, 구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언어 초기 학습자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하여, 언어의 고유한 형식과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반영한 학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2025.05.12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사동 표현과 부정 표현의 교수 방법2025.01.291. 사동 표현 사동 표현은 주동사에 접미사 '-이-, -히-, -리-, -기-, -우-, -구-, -추-' 등이 붙어 이루어지는 접미 사동과 주동사에 '-게 하다'가 붙어 이루어지는 통사적 사동이 있다. 사동 표현에는 많은 제약이 있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데, 교수는 사동 표현을 문장과 함께 제시하고 직접 문장을 만들어 보며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부정 표현 한국어의 부정문은 부사 '안'이나 '못'이 붙거나 보조용언 '-지 않다', '-지 못하다', '-지 말다' 등이 붙어 부정을 나타낸다. '안' 부정법과 '못' 부...2025.01.2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 focus on forms 기법에 대해 설명2025.01.151. 문법 초점 교수법(focus on formS) 문법 초점 교수법은 언어의 구조와 형태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초창기의 한국어 문법 교육방법이었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 전신반응 교수법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방법은 언어의 정확성에 초점을 두었지만, 실제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다. 2. 의미 초점 교수법(focus on meaning) 의미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 의사소통중심교수법, 자연적 교수법, 몰입 교수법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방법은 유창성 향상에 ...2025.01.15
-
플립러닝을 활용한 형태 초점 한국어 문법 교수 방안2025.01.021. 형태 초점 교수법 형태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문법, 어휘 등 형태적인 요소에도 집중하는 교수법이다. 입력 중심 기법과 출력 중심 기법이 있으며, 입력 중심 기법에는 입력 홍수, 입력 강화, 명시적 규칙 설명, 입력 처리 기법이 있고, 출력 중심 기법에는 듣고다시쓰기, 고쳐말하기, 의식고양과제가 있다. 2. 플립 러닝 플립 러닝은 학습자가 수업 전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지식이나 정보를 습득하고, 교실수업에서는 교수자의 코칭 및 동료 학습자들과의 협업체제를 기반으로 문제해결학습을 통하여 인성과 창의성을 길러...2025.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