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상 초점 교수 중 입력 중심의 기법과 출력 중심의 기법과 명시성
본 내용은
"
형태상 초점 교수 중 입력 중심의 기법과 출력 중심의 기법과 명시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8
문서 내 토픽
  • 1. 형태상 초점 교수법(Focus on Form: FonF)
    형태상 초점 교수법은 의사소통 교수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했다. 의사소통 교수법은 언어의 형태(문법 등)를 배제하고 의미에만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로 인해 의사소통에서 문법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형태상 초점 교수법은 의미전달 기능을 유지하면서 언어의 정확성을 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교수법은 의사소통 맥락에서 문법을 교수하고 확장하여, 형태에도 주의를 집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의사소통을 위한 정확성과 유창성을 함께 달성할 수 있다.
  • 2. 입력 중심 기법
    입력 중심 기법은 S. Krashen의 '습득-학습' 가설과 '입력 가설'을 기반으로 한다. 이 기법에는 입력홍수, 입력강화, 명시적 규칙 설명, 입력처리 등이 포함된다. 입력홍수는 목표 언어 형태를 반복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이고, 입력강화는 시각적/청각적 방법으로 목표 형태를 강조하는 방법이다. 명시적 규칙 설명은 언어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규칙을 설명하는 것이며, 입력처리는 학습자가 언어 형식과 의미, 기능을 연결시키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다.
  • 3. 출력 중심 기법
    출력 중심 기법은 Swain의 '이해 가능한 출력 가설'에 기반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입력 중심의 교육은 의미 이해에 효과적이지만, 올바른 언어 형태 습득에는 취약하다. 따라서 출력 중심 교육이 이를 보완할 수 있다. 출력 중심 기법에는 듣고 다시 쓰기, 고쳐말하기, 의식고양, 미로찾기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중간언어와 목표 언어의 차이를 인식하고, 언어 형태에 주목하게 된다.
  • 4. 명시성과 암시성
    형태상 초점 교수법에서는 명시성과 암시성의 정도에 따라 교수 기법을 구분한다. 암시적 기법은 의사소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문법 구조 습득을 유도하는 것이고, 명시적 기법은 문법 규칙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암시적 기법에는 입력홍수, 입력강화, 리캐스트 등이 포함되고, 명시적 기법에는 명시적 규칙 설명, 입력처리, 미로찾기 등이 포함된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수준과 목표 문법 항목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명시성 정도를 선택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형태상 초점 교수법(Focus on Form: FonF)
    형태상 초점 교수법(FonF)은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교수법입니다. FonF는 의미 전달에 초점을 맞추면서도 문법 형태에 대한 주목을 유도하여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을 도모합니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정확성을 균형있게 기를 수 있습니다. 교사는 학습자의 오류를 즉각적으로 수정하기보다는 학습자 스스로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과 필요에 맞는 적절한 문법 설명과 연습 활동을 제공해야 합니다. FonF는 의사소통 능력과 정확성을 균형있게 기르는 데 효과적인 교수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입력 중심 기법
    입력 중심 기법은 학습자에게 이해 가능한 입력을 제공하여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기법에서는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입력을 제공하고, 학습자가 그 입력을 처리하고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난이도의 입력을 제공해야 하며, 학습자가 입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입력의 난이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입력 중심 기법은 학습자의 자연스러운 언어 습득을 돕는 데 효과적이지만, 학습자의 출력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출력 중심 기법과의 균형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출력 중심 기법
    출력 중심 기법은 학습자의 출력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기법에서는 학습자가 실제로 언어를 사용하여 의미 있는 출력을 생산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사는 학습자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학습자의 출력을 격려하고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과 필요에 맞는 적절한 과제와 활동을 설계해야 합니다. 출력 중심 기법은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지만, 문법 형태에 대한 주목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입력 중심 기법과의 균형을 통해 언어 능력의 균형 있는 발달을 도모할 필요가 있습니다.
  • 4. 명시성과 암시성
    명시성과 암시성은 언어 교수법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명시적 교수법은 문법 규칙과 구조를 직접적으로 설명하고 연습하는 방식인 반면, 암시적 교수법은 의미 중심의 활동을 통해 문법 형태를 자연스럽게 습득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각각의 방식에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명시적 교수법은 문법 지식 습득에 효과적이지만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적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면 암시적 교수법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문법 정확성 향상이 더딜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과 필요에 따라 명시성과 암시성의 적절한 균형을 모색해야 합니다. 또한 두 가지 방식을 적절히 혼합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