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15개
-
관장,정맥주입,수혈,수술 전/후 엄청난 핵심술기 대본입니다!2025.01.121. 관장 온수와 글리세린을 1:1 비율로 섞은 50ml의 관장액을 사용합니다. 공기를 제거하고 카테터를 연결한 후 윤활제를 바르고 환자를 측위로 눕힙니다. 관장액을 천천히 주입하고 10-15분 후 배변을 하도록 합니다. 방수포를 깔아두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2. 정맥 수액 주입 수액의 용량, 투여 경로, 대상자 정보, 시간, 수액 용량 등을 확인합니다. 수액 세트를 연결하고 공기를 제거한 후 정맥에 주사합니다. 주사 부위의 통증, 발적, 부종 등을 관찰하고 팔을 구부리거나 올리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시간당 주입량과 ...2025.01.12
-
기본간호학 문제 만들기 개인과제 - 객관식 약 45문제, 주관식 약 20문제 해설 정답2025.01.221. 근육주사 근육주사에 대한 내용으로, 근육층은 피하조직에 비해 통증감각신경이 적게 분포하고 있어 다른 부위보다 주사 바늘 천자로 인한 불편감이 적다. 근육섬유에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약물의 흡수가 빠르며, 조직에 자극을 주는 약물을 조금 더 안전하게 투여 가능하고 좀 더 많은 양의 약물을 주입 가능하다. 2. 근육주사 통증경감 근육주사 통증경감 방법으로, 바늘을 새로 바꾸어 약물이 피하조직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주사하고, 주사바늘은 빠르게 찌르고 빠르게 뺀다. 약물 주입시 서서히 주입하여 주위 조직으로 퍼져나가게 하며, 피하조직...2025.01.22
-
중심정맥관(CHMO PORT)리포트2025.01.041.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카테터의 끝 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하며, 장기간의 정맥주입이 요구되는 만성질환자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중심정맥관의 종류에는 비터널 카테터, 터널 카테터, 말초주입 중심정맥 카테터, 이식형 포트(chemoport) 등이 있습니다. 중심정맥관은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약물 투여, TPN 등의 영양제 주입, 중심정맥압 측정, 혈액 채혈, 다량의 수액이나 ...2025.01.04
-
중심정맥관 유지관리(Central line management)2025.05.101.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 및 분류 중심정맥관이란 수액, 약물, 수혈,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상대정맥 혹은 우심방 입구에 삽입 사용하며, 사용 목적과 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중심정맥관 삽입 목적에는 단기간 or 장기간의 항생제, 항암제 등 약물투여, 말초 정맥염 발생 위험성 감소, 만성중환자에서 장기간 TPN이 필요한 경우, 말초혈관에 접근이 불가능 하거나 잦은 정맥 접근이 필요한 경우, 중환자에서 체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중심정맥압을 관찰하는 경우 등이 있다. 사용기간에 따른 분류로는 단기(1-3주), 중기(6개월 전후),...2025.05.10
-
[모성간호학] A+ 레포트, 조기진통 간호 레포트2025.04.301. 가진통과 진진통의 특성 가진통은 임신 중에 흔히 생길 수 있는 자궁 수축으로 점차 잦아들수도 있고 진진통으로 진행되어 분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진통은 병적인 증상이 아니라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지만 일부 의사들은 통증이 심한 가진통에 대하여 약을 처방하기도 합니다. 진진통은 시간이 지나면서 진통 간격이 점점 짧아지고 통증도 심해지며, 휴식을 취하거나 진통제를 복용해도 통증이 잦아들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2. 조기진통 대상자 간호 (약물관련) 조기진통의 원인은 산과적 요인, 내과적 요인, 양수감염, 사회 행동적 요인 ...2025.04.30
-
기본간호 핵심술기 1~20번까지 총 20개. 핵심술기와 간호기록지2025.05.101.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 측정 절차에는 손위생, 필요 물품 준비, 대상자 확인, 체온/맥박/호흡/혈압 측정 및 기록 등이 포함됩니다. 체온은 전자체온계를 이용하여 겨드랑이에서 측정하고, 맥박은 요골동맥에서 측정합니다. 호흡은 맥박 측정 후 대상자가 모르게 관찰하며, 혈압은 상완동맥에서 측정합니다. 측정 결과는 간호기록지에 기록합니다. 2. 경구투약 경구투약 절차에는 손위생, 투약 확인, 대상자 확인, 약물 투여 목적 및 유의사항 설명, 적절한 자세 취하기, 약물 복용 과정 확인 등이 포함됩니다. 알약은 한 번에 한 알씩 복용하도...2025.05.10
-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과 간호2025.01.231. 항암화학요법의 정의 항암화학요법(chemotherapy)은 암 환자에게 사용되는 강력한 약물 치료법으로, 암을 축소, 억제, 제거하기 위해 화학물질(항암제)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2. 항암화학요법 투약경로와 간호 항암화학요법의 투약경로에는 구강, 정맥, 척수(Ommaya reservoir) 등이 있으며, 간호사는 투약 시간 준수, 최적 용량 및 안전, 부작용 관찰 등의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3. 항암화학요법제 준비와 투여 시의 주의사항 항암화학요법제 준비 시 의사 처방 확인, 보호구 착용, 피부 접촉 시 즉시 세척 등의 ...2025.01.23
-
일혈, 혈관외누출, extravasation 간호2025.05.041. 일혈(Extravasation) 일혈이란 주사 약물이 혈관 밖으로 새어나와 혈관 주변 조직을 손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일혈 발생 시 즉시 약제의 주입을 멈추고, 청결장갑을 착용한 후 수액 세트나 주사기를 제거하고 주사바늘만 남긴 뒤, 새 주사기를 이용하여 바늘에 남아 있는 약을 흡인하여 빼낸다. 담당의사는 필요에 따라 해독제 주입, steroid 연고 처방, 성형외과 협의진료를 의뢰할 수 있다. 처방에 따라 냉온요법을 실시하며, 처음 24시간은 냉요법, 이후는 온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일혈 유발 가능 약물 일...2025.05.04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항암화학요법 간호2025.05.111. 항암화학요법의 이해 항암화학요법은 암세포의 DNA에 직접 작용하여 DNA의 복제, 전사, 번식과정을 차단하거나 대사과정에 개입하여 핵산 전구체의 합성을 방해하거나 암세포의 분열을 저해하는 약제입니다. 항암화학요법제의 골수기능 최저점을 고려하여 투약계획을 세우며, 약물의 종류, 용량계산, 투여경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2. 항암제의 부작용 항암제 사용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피부염, 노출 피부 주위의 과색소 침착증, 비점막의 궤양, 두통, 오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발암성, 염색체 이상 및 돌연변이 유발...2025.05.11
-
정맥수액요법 통합실습 과제2025.01.131. 정맥수액요법 절차 통합 실습핵심간호술 분석에 따르면, 정맥수액요법의 주요 절차는 손 씻기, 투약 처방 확인, 수액 준비, 수액백 라벨링, 수액세트 연결, 물품 준비, 대상자 확인, 투약 설명, 손 소독, 수액 주입, 주사부위 관찰, 수액 속도 조절, 기록 등입니다. 실제 임상에서는 지침서와 유사한 절차로 수행되지만, 일부 차이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점적통 1/2 채우기, 수액 유효일자 표시, 주사부위 소독 방법, 바늘 삽입 각도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간호사마다의 개인적인 방식과 환자 상태에 따른 것으로 판...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