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간호학 문제 만들기 개인과제 - 객관식 약 45문제, 주관식 약 20문제 해설 정답
본 내용은
"
기본간호학 문제 만들기 개인과제 - 객관식 약 45문제, 주관식 약 20문제 해설 정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3
문서 내 토픽
-
1. 근육주사근육주사에 대한 내용으로, 근육층은 피하조직에 비해 통증감각신경이 적게 분포하고 있어 다른 부위보다 주사 바늘 천자로 인한 불편감이 적다. 근육섬유에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약물의 흡수가 빠르며, 조직에 자극을 주는 약물을 조금 더 안전하게 투여 가능하고 좀 더 많은 양의 약물을 주입 가능하다.
-
2. 근육주사 통증경감근육주사 통증경감 방법으로, 바늘을 새로 바꾸어 약물이 피하조직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주사하고, 주사바늘은 빠르게 찌르고 빠르게 뺀다. 약물 주입시 서서히 주입하여 주위 조직으로 퍼져나가게 하며, 피하조직 누출 시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약물의 경우에는 Z자형 경로 기법을 사용한다.
-
3. 삼각근삼각근은 근육주사 부위 중 약물흡수가 가장 빠른 부위이며, 예방접종 시 가장 사용하는 부위이다. 1mL 까지 약물 투입이 가능하며, 소량의 약물 주사시 이용되는 부위이다. 주사 위치는 견봉돌기의 약 5cm 아래 지점이다.
-
4. 경정질액경정질액은 혈관 외 공간으로 자유롭게 확산될 수 있는 작은 분자들로 이루어진 전해질 용액이며, 대개 기본적으로 염화나트륨을 포함한다. 3개의 체액 구획 안에서 수분은 혈관과 같은 생체막을 통과하여 쉽게 이동할 것이며, 간질액용적의 증가가 결정질용액의 주된 효과이다. 두 개내압상승과 쇼크의 치료를 위해 사용한다.
-
5. 등장액등장액은 리터당 250~375 mOsm의 삼투압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 내에서 발견되는 삼투압과 동일한 수준이다. 용약은 수분부족, 저혈량성 저혈압에 도움이 되며, 등장성 용액의 예로는 생리식염수가 있다.
-
6. 저장액저장액은 리터당 250 mOms 이하 또는 세포보다 낮은 삼투압을 가지고 있으며, 저장액이 주입되면 혈청 삼투압을 낮춘다. 체액이 혈관 밖으로 나와 세포와 체내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저장액은 환자의 세포에 수분이 필요할 때 투여한다.
-
7. 고장액고장액은 리터당 375 mOsm 이상의 삼투압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보다 삼투압이 더 크다. 고장액을 주입하면 세포와 체내 조직으로부터 수분을 혈관내로 당기며, 두 개내압상승과 쇼크의 치료를 위해 사용한다.
-
8. 교질용액교질용액에서 알부민은 혈장량을 늘리고 완충액으로 작용하며, 헤타스타치는 혈관내 혈액량 감소와 관련된 쇼크의 치료에 있어서 볼륨확장제로 사용된다. 덱스트란은 저분자와 고분자의 두가지 형태로 이용가능한 혈장중량제이며, 만니돌은 수분의 손실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된다.
-
9. 간헐적 정맥 주입장치간헐적 정맥 주입장치는 정맥요법을 지속적으로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주입속도를 지속적으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호사의 시간이 절약된다. 대상자의 기동성이 보장되고 정맥천자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 안위가 향상되며, 투약, 채혈 후에는 접근장치 내에 남아있는 약물이나 혈액을 세척해야 한다.
-
10. 중심정맥관중심정맥관은 정맥 내 투여를 위해 큰 정맥에 삽입되는 카테터이며, 발포제의 지속주입, 정맥영양 지원, 고농도 용액을 주입하는 경우 적절하다. 흔히 사용되는 중심정맥관으로 경정맥, 쇄골하정맥이 있으며, 혈액을 채혈하기 위해 사용된다.
-
1. 근육주사근육주사는 약물을 근육 내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약물이 천천히 흡수되어 장기간 작용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주사 시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주사 부위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주사 방법과 주사 부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주사 전후 주사 부위 관리와 주사 후 관찰이 필요합니다.
-
2. 근육주사 통증경감근육주사 시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주사 전 국소 마취제 도포, 주사 속도 조절, 주사 부위 선택, 주사 기술 향상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사 후 얼음 찜질, 마사지 등의 처치도 통증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환자의 상태와 주사 약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삼각근삼각근은 팔의 가장 큰 근육으로, 팔을 들어올리고 회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근육주사 시 삼각근은 주사 부위로 자주 선택되는데, 이는 근육이 두껍고 주사 시 통증이 적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삼각근에 주사할 때는 신경과 혈관 손상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주사 후 근육 경직, 통증, 부종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사 기술과 주사 후 관리가 중요합니다.
-
4. 경정질액경정질액은 세포 외액의 일종으로, 주로 나트륨, 염소, 칼륨 등의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정질액은 세포 외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 현장에서 경정질액은 탈수, 전해질 불균형, 쇼크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농도와 주입 속도로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등장액등장액은 세포 내외의 삼투압이 같은 용액을 말합니다. 등장액은 세포 내외의 삼투압 균형을 유지하여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 현장에서 등장액은 수액 요법, 약물 투여 등에 사용됩니다. 환자의 상태와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등장액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주입 속도와 주입량을 모니터링하여 과다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해야 합니다.
-
6. 저장액저장액은 세포 외액의 삼투압이 세포 내액보다 낮은 용액을 말합니다. 저장액은 세포 내로 물이 이동하여 세포가 팽창하게 됩니다. 의료 현장에서 저장액은 탈수 치료, 수액 요법 등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과다 투여 시 세포 부종, 전해질 불균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저장액을 선택하고 주입 속도와 주입량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7. 고장액고장액은 세포 외액의 삼투압이 세포 내액보다 높은 용액을 말합니다. 고장액 투여 시 세포 내로부터 물이 빠져나와 세포가 수축하게 됩니다. 의료 현장에서 고장액은 뇌부종, 고나트륨혈증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과다 투여 시 탈수, 전해질 불균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환자의 상태와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고장액을 선택하고 주입 속도와 주입량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8. 교질용액교질용액은 단백질, 전해질 등의 큰 분자로 구성된 용액으로, 삼투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료 현장에서 교질용액은 저혈압, 쇼크, 출혈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교질용액은 혈관 내에 머물러 있어 수분 유지에 효과적이지만, 과다 투여 시 부종, 전해질 불균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투여 목적에 따라 적절한 교질용액을 선택하고 주입 속도와 주입량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9. 간헐적 정맥 주입장치간헐적 정맥 주입장치는 정맥 내로 약물이나 수액을 간헐적으로 주입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지속적인 정맥 주입에 비해 주입 횟수와 주입량을 줄일 수 있어 환자의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 투여 시 약물 농도의 변동을 줄일 수 있어 부작용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간헐적 정맥 주입장치 사용 시 주입 속도와 주입량, 주입 간격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10. 중심정맥관중심정맥관은 큰 정맥(중심정맥)에 삽입되는 관으로, 약물 투여, 수액 공급, 혈액 채취 등에 사용됩니다. 중심정맥관은 말초 정맥보다 약물 농도가 높고 지속적인 투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삽입 시 합병증 발생 위험이 있고, 관리가 부적절할 경우 감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심정맥관 삽입과 관리는 숙련된 의료진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