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약과정: 피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수혈
본 내용은
"
투약과정(피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수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01
문서 내 토픽
-
1. 정맥주사(Intravenous injection)혈관 카테터 삽입을 통한 정맥주사는 수액 연결 및 주입을 포함한다. 정맥 상태 확인 후 12~15cm 위쪽을 지혈대로 묶고, 15~30°각도로 카테터를 삽입한다. 혈액 역류 확인 후 카테터를 혈관으로 진입시키고, 지혈대를 푼 후 수액세트를 연결한다. 카테터 삽입부위를 반창고나 투명드레싱으로 고정하고, 처방에 따라 수액 주입속도를 조절한다. 카테터 삽입 날짜, 시간, 크기를 기록하며, 침윤 증상 관찰이 필수적이다.
-
2. 피하주사(Subcutaneous injection)피하주사는 간이 혈당측정과 인슐린 투여를 포함한다. 혈당측정 후 R-I Scale에 따라 인슐린 양을 결정한다. 주사부위를 소독 후 45~90°각도로 바늘을 삽입하고 약물을 주입한다. 인슐린 주사부위 기록지에 시행 사항을 기록하며, 주사부위는 마사지하지 않는다. 혈당검사 결과 판정과 비정상 혈당의 증상 및 대처법 이해가 중요하다.
-
3.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피내주사는 전완의 내측면에 시행되며, 약물을 진피층에 주입한다. 주사기가 피부와 10~15°각도를 유지하며 표피 아래 진피층에 삽입된다. 약물 주입 시 피부에 직경 5~6mm 정도의 낭포가 생기도록 0.05mL를 서서히 주입한다. 낭포 둘레를 볼펜으로 표시하고 약명과 투여시간을 기록한 후, 15분 후 피부반응 결과를 판독한다.
-
4. 수혈요법(Blood transfusion therapy)수혈 전 수혈동의서 확인 및 혈액 정보 검증이 필수적이다. 의료인 2인이 혈액형, 교차검사결과, 유통기한 등을 확인하고 서명한다. 대상자 확인 후 과거 수혈경험과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고, 수혈 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수혈세트를 혈액백에 연결하고 공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첫 15분간 15~20gtts/분으로 주입한다. 수혈 직후 15분간 주의 깊게 관찰하며 부작용 발생 여부를 기록한다.
-
1. 정맥주사(Intravenous injection)정맥주사는 의료 현장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투약 방법으로, 약물이 혈류에 직접 진입하여 빠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입니다.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량의 약물 투여나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필수적입니다. 다만 감염, 혈전, 정맥염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어 숙련된 의료진의 정확한 시술과 철저한 무균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환자의 편의성과 치료 효율성 측면에서 현대 의료의 핵심 기술이라고 평가합니다.
-
2. 피하주사(Subcutaneous injection)피하주사는 인슐린, 백신, 생물학적 제제 등 다양한 약물 투여에 널리 사용되는 실용적인 방법입니다. 정맥주사보다 시술이 간단하고 환자가 자가 투약할 수 있어 만성질환 관리에 매우 유용합니다. 흡수 속도가 중간 정도로 안정적인 약물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국소 반응, 지방위축증, 흡수 속도의 개인차 등을 고려해야 하며, 정확한 주입 깊이와 부위 선택이 중요합니다. 환자 편의성과 안전성의 균형이 잘 맞춘 투약 방법이라고 봅니다.
-
3.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피내주사는 투베르쿨린 검사, 알레르기 검사, 특정 백신 투여 등 진단 및 예방 목적으로 특화된 투약 방법입니다. 소량의 약물을 정확한 위치에 투여할 수 있어 국소 반응 관찰이 용이하고,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시술이 정교하고 정맥주사나 피하주사보다 어려운 기술이 요구되며, 부정확한 시술 시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정 목적에 매우 효과적이지만 일반적인 약물 투여에는 제한적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
4. 수혈요법(Blood transfusion therapy)수혈요법은 대량 출혈, 빈혈, 혈액질환 등으로 인한 생명 위협 상황에서 필수적인 생명 구조 치료법입니다. 적절한 혈액형 매칭과 철저한 검사를 통해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감염 위험, 수혈 반응, 철 과다 축적 등의 합병증이 있어 신중한 판단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현대 의료에서 혈액 안전성 관리 기술이 크게 발전했으나, 여전히 혈액 부족 문제와 윤리적 고려사항이 존재합니다. 생명 구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신중한 사용이 요구되는 치료법입니다.
-
기본간호학 핵심기본간호술 관련 선행지식 보고서1. 활력징후 측정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의미와 정상범위를 설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리하였습니다. 2. 경구투약 경구투약의 기본 원칙과 대상자의 경구투약 가능 여부 사정 방법, 경구 투약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였습니다. 3. 근육주사 근육주사의 기본 원칙, 근육주사 부위, 주의사항과 합병증을 정리하였습니다. 4. 피하주사 피하주사의 기...2025.05.15 · 의학/약학
-
기본간호 핵심술기 1~20번까지 총 20개. 핵심술기와 간호기록지1.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 측정 절차에는 손위생, 필요 물품 준비, 대상자 확인, 체온/맥박/호흡/혈압 측정 및 기록 등이 포함됩니다. 체온은 전자체온계를 이용하여 겨드랑이에서 측정하고, 맥박은 요골동맥에서 측정합니다. 호흡은 맥박 측정 후 대상자가 모르게 관찰하며, 혈압은 상완동맥에서 측정합니다. 측정 결과는 간호기록지에 기록합니다. 2. 경구투약 경구...2025.05.10 · 의학/약학
-
기본간호) 핵심수기술 바탕으로 만든 문제1. 활력징후 측정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할 때 호흡 측정 방법은 대상자가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지 않도록 눈치 채지 못하게 측정해야 한다. 혈압이 120/80mmHg로 측정되었다면 맥압은 40mmHg이다. 혈압은 동맥, 정맥, 심방과 심실을 순환하는 혈액에 의해 생기는 압력이다. 2. 경구투여 연하곤란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침을 삼키거나 물을 한 모...2025.05.08 · 의학/약학
-
기본간호학(경구투여, 국소투여, 정맥투여, 중심정맥관, 수혈)1. 투약 투약의 원칙, 약물에 대한 지식, 간호사의 책임, 투여기술, 대상자 교육, 투약처방 등 투약과 관련된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경구투여, 설하용 구강약, 비위관을 통한 경구투여 등 다양한 경구투여 방법과 절차를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2. 국소투여 피부약(로션, 연고/크림), 귀약, 안약(안점적액, 안연고), 코약(비강점적액, 수동분무기, 소...2025.04.30 · 의학/약학
-
투약 문제 및 설명1. 약리학의 기본 이해 약물의 약동학적 특성, 약물 작용의 유형 등 약리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약물의 흡수, 분산, 대사, 배설 과정과 치료 효과, 부작용, 역효과, 독작용, 알레르기 반응, 내성, 축적 작용 등 약물 작용의 다양한 유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투약 처방 투약의 기본 원칙, 안전한 약물 준비, 약 용량 계산, 마약류 ...2025.05.16 · 의학/약학
-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성인간호학 실습1 지침서1. 활력징후 측정 활력징후는 체온(BT), 맥박(PR), 호흡(RR), 혈압(BP)을 측정하는 것으로 신체기능 이상 시 변화가 가장 먼저 나타나기 때문에 대상자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맥박은 요골맥박, 심첨맥박, 경동맥박 등 다양한 부위에서 측정 가능하며, 체온은 구강, 항문, 액와, 고막 등에서 측정한다. 혈압은 상박혈압과 대퇴혈압으로 측정하며, 호흡...2025.11.14 · 교육
-
기본간호학 피내주사, 정맥주사, 정맥속도주입문제, 중심정맥, 수혈, 온요법, 냉요법 5페이지
기본간호학 피내주사, 정맥주사, 정맥속도주입문제, 중심정맥, 수혈, 온요법, 냉요법피내주사- 표피 바로 밑에 있는 피부의 진피층에 약물을 투여하는 것- 0.1mL 미만의 매우 적은 양의 약물이 투여됨- 투베르쿨린 반응, 알레르기 반응, 약물에 대한 과민성 등을 알아보기 위한 피부반응검사 시에 사용됨- 약물이 지나치게 빨리 순환기계로 들어가게 되어, 심한 과민성 반응을 일으킬 경우를 대비하여, 혈류 분포가 적고 흡수가 천천히 되는 진피에 약물을 주입하여 반응을 미리 검사하는 것- 주사부위는 병변이 없고 착색되거나 털이 없어야 하며, ...2023.12.21· 5페이지 -
신규간호사를 위한 투약간호,안전간호, 영양간호, 배액 및 배설간호 5페이지
1. 투약간호- 약물의 형태구강투여, 정맥투여, 근육투여, 피내투여, 피하투여, 국소투여(좌약, 연고, 접착용 패치 등)- 약물의 작용기전1) 약물의 흡수 : 약물이 신테 내로 들어가 핼액 속으로 들어가는 과정2) 약물의 분포 : 약물이 혈액 속으로 흡수된 장소에서 특정 조직세포까지의 이동 과정3) 약물의 대사 : 약물이 생체 내에서 세포와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비활성화된 형태로 전환되는 과정. 주로 간에서 일어나며 세포내의 약물대사성 효소 등에 관계됨4) 약물의 배설 : 비활성화된 대사산물이 체외로...2024.02.29· 5페이지 -
A+ 기본간호 투약간호 보고서 15페이지
기본간호학 Report - 투약간호 정리 - 과목명 교수명 학과 / 분반 학 번 이 름 제출일 [ 목차 ] Ⅰ. 투약의 기본원리 p.1 ~ 2 1. 투약간호를 위한 간호사의 역할과 법적 책임 2. 약동학 Ⅱ. 약물 투약 방법 p. 3 1. 투약 처방 2. 투여경로 Ⅲ. 안전한 약물 투여 방법 p. 4 ~ 12 1. 7 Right 확인 2. 경구투여 3. 비경구 투여 (근육, 피하, 피내, 정낵주사 / 수혈 / 국소도포) Ⅰ. 투약의 기본원리 1. 투약간호를 위한 간호사의 역할과 법적 책임 1) 투약간호 제공 시 간호사의 역할 - 안...2025.02.25· 15페이지 -
기본간호 문제 만들기 11페이지
8월 28일1. Acetaminophen처럼 약물을 최초로 개발한 사람이 붙인 이름은?① 속명 ② 화학명 ③ 상품명 ④ 약전명 ⑤ 공식명→ 답은 ①- 속명 : 개발자가 붙인 이름, Acetaminophen- 약전명 : 약전같이 공식적인 발행물에 수록된 이름, Acetaminophen- 화학명 : 약물의 화학적 성분을 서술한 이름, N-acetyl-para-aminophenol- 상품명 : 제약회사에서 붙인 이름, 타이레놀ⓡ, Tylenolⓡ2. 약물 투여와 관련된 간호사의 법적 책임으로 옳지 않은 것은?① 약품 설명서의 주의사항을...2023.12.27· 11페이지 -
기본 간호 사전학습 checklist 정리 성인간호학 사전학습 25페이지
사전학습 Check list활력징후 : Manual T/P/R, BP측정 및 기록? 목적 : 활력징후 측정은 대상자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문제를 확인하고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평가하기 위함.? 측정시기 : 입원 시, 정규적인 절차(의사처방), 모든 수술이나 침습적 진단검사의 전후, 수혈 전·중·후, 활력징후에 영향을 주는 약물 투여 또는 간호중재 전후, 대상자의 전반적인 신체상태의 변화 시, 대상자의 주관적인 증상 호소 시? 체온 측정부위 : 구강, 직장, 겨드랑이, 고막과 피부/측두동맥체온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연력, 일주...2023.04.24· 2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