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7개
-
약리학 약물정리 과제 약물20개2025.05.081. 항균제(항생제) 항균제(항생제)에는 아목시실린수화물, 클라불란산칼륨(오구멘틴정375mg), 독시사이클린수화물(바이브라마이신엔정100mg), 이소니아지드(신풍이소니아짓정) 등이 있다. 이들은 세포벽 생성 및 합성을 방해하거나 테트라사이클린계열, 항결핵제 등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감염증에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소화기계, 간장, 과민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상호작용도 주의해야 한다. 2. 항바이러스제 항바이러스제에는 자나미비르(리렌자로타디스크5mg), 펜시클로버(펜시비어크림) 등이 있다. 자나미비르는 인플루엔자 A 및 B 바이러...2025.05.08
-
병동 내 물품, 사용목적, 사용방법2025.05.141. Nebulizer Nebulizer는 천식을 비롯한 다양한 호흡기 질환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며, 호흡기에 직접 작용하여 소량의 약물로도 높은 치료 효율을 기대할 수 있는 기계이다. 특히 소아에게 있어서 네블라이저에 의한 흡입 치료방식은 소량의 약물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 시 눈을 가려주고 사용 후 입안을 헹구어 주며, 사용 후 보관할 때는 따뜻한 물에 씻은 후 말려서 보관한다. 2. 혈관 카테터 (angio catheter) 혈관 카테터는 환자의 혈관 내용물을 빼내거나 약제나 세정제 등을 신체 내부로 주입하기 ...2025.05.14
-
소아과병동의 주요 질환 정리2025.01.091. 전신 강직-간대 발작(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전신 강직-간대 발작은 과거에 대발작이라 불렸던 전신 발작으로, 전신발작 중 가장 심한 발작 유형입니다. 이 발작에서는 완전히 의식을 잃고 쓰러지게 됩니다. 원인으로는 부상 및 감염, 선천성 또는 발달 이상, 대사 장애 등이 있으며, 호흡 곤란, 청색증, 침흘림, 혀 깨물기, 전신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 요추 천자, 뇌파 검사 등을 실시하며, 치료와 간호로는 항경련제 복용, 발작 요인 제거, 주변 위험 물건 제거...2025.01.09
-
간호학과 전액장학생의 성인간호학실습_폐렴 케이스, case, 사례연구보고서, 간호과정 4개2025.01.231. 폐렴 폐렴은 폐에 염증이 생긴 것을 뜻하며, 영아 및 소아,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폐렴의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미생물의 감염이나 화학 물질의 흡입, 알레르기 등입니다. 또한 어린아이나 노인, 의식 상태가 저하되어 기침 반사가 약한 사람에게 흡입성 폐렴이 잘 발생합니다. 폐렴의 진단을 위한 검사로는 단순 흉부 방사선 검사, 혈액 검사, 배양검사, 폐조직 생검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증상은 오한과 높은 열, 두통과 흉통, 가래, 수포음 등입니다. 폐렴의 치료를 위해서는 해열, 호흡촉진, 기도유지, 높은...2025.01.23
-
급성기관지염 Acute bronchiolitis2025.01.291. 급성기관지염의 정의 급성 세기관지염은 작은 기도의 염증성 폐색으로 인하여 생기는 질환으로 영?유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부 호흡기계 질환이다. 생후 2세 이전에 주로 발생하며, 그 중에서도 생후 6개월에는 가장 많이 발생한다. 2. 급성기관지염의 원인 바이러스에 의하여 생기는 질환으로 50%이상에서 RS(Respiratory syncycial)바이러스가 원인이며, 그 밖의 parainfluenza3 virus, mycoplasma, adenovirus 및 다른 바이러스 등도 원인이 된다. 세균이 세기관지염을 일으킨다는 확실한...2025.01.29
-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2025.05.111. Emergency Cart Emergency Cart에는 다양한 약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약물의 적응증, 작용 및 부작용, 주의사항 등을 숙지해야 한다. 주요 약물로는 Norpin Inj., Epinephrine Inj., Atropine Sulfate Inj., Inopan Inj., Dopramin Inj., Sodium Bicarbonate 8.4% Inj., Lidocaine HCl 2% Inj., Cordarone Inj., Magnesium Sulfate Inj., Calcium Gluconate Inj., Ye...2025.05.11
-
아동간호학 세기관지염 케이스 A+2025.04.251. 세기관지염 세기관지염은 바이러스 질환으로 세기관지에 염증이 생기는 호흡기 질환이며 늦가을부터 초겨울과 봄에 많이 유행한다. 아동에게 있어서 심한 호흡기 질환으로 가장 흔히 겪게 되는 병이다. 주로 2세 이하의 어린 아동들에게 많이 발생되며, 일부에서는 천식과 겹치기도 한다. 세기관지염은 발생 되면 치료하는 도중에도 심해질 수 도 있으므로 감기에 걸렸을 때보다는 신경을 써야 하는 질병이다. 2. 세기관지염의 병태생리 세기관지염↓세기관지 경련점막부종점액축적↓소기도 폐쇄→흡기말 기도저항↑호기말 기도저항↑↑↓폐의 과도팽창→정맥혈의 심...2025.04.25
-
A+ 모세기관지염 간호과정 case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5개/ 아동간호학 실습2025.01.201. 모세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은 기관지 맨 끝 부분인 세기관지의 급성 염증성 질환으로 대표적인 아동 질병이다. 모세기관지염의 대표적인 바이러스는 RSV이며, 특히 영유아에서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모세기관지염의 증상과 간호에 대해 알아보았다. 2. 모세기관지염의 정의 및 원인 모세기관지염은 폐에 공기가 지나가는 가장 작은 통로인 세기관지의 감염성 질환이다. 상기도에 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하면 수일 내에 하기도로 감염이 진행하여 세기관지 상피의 염증을 유발하고 점막하층 및 외막의 부종을 초래한다. 주요 원인 병원체는 RSV가 50~80...2025.01.20
-
건강사정 실습 총정리2025.04.281. 위장관계장애 위장관계는 입, 구인두, 식도, 복강으로 구성되며, 복강은 공동기관(내용물에 의해 형태가 만들어짐)과 고형기관(원래 형태를 유지)으로 구성됩니다. 4분면(우상사분역, 우하사분역, 좌상사분역, 좌하사분역)으로 나뉘며, 복벽 청진과 촉진 시 중요한 부위입니다. 소화는 음식이 구강에서 시작하여 위, 십이지장, 췌장, 담즙 등을 거쳐 대장으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2. 심혈관계장애 심장은 속이 빈 근육성 기관으로, 좌심방-좌심실-대동맥, 우심방-우심실-폐동맥의 순환 경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심장판막(방실판막, 반월판막)은...2025.04.28
-
성인간호학 ER 응급실 실습 사전학습2025.05.051. 응급실 실습 준비 응급실 실습을 위해 응급 카트의 구성과 약품 위치, 응급 환자 분류 체계인 KTAS 등을 학습하였습니다. 응급 카트에는 응급 약물, 기도 관리 기구, 주사 및 채혈 물품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KTAS는 응급실 내원 환자를 신속하게 분류하여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체계입니다. 2. 출혈 및 쇼크 관리 외출혈과 내출혈의 특징과 처치 방법을 학습하였습니다. 외출혈은 직접 압박, 지압법, 지혈대 사용 등으로 지혈하며, 내출혈은 기도 유지, 지혈, 수액 공급 등으로 관리합니다. 쇼크는 심장성, 저혈량성, 신경성,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