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9
문서 내 토픽
-
1. Emergency CartEmergency Cart에는 다양한 약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약물의 적응증, 작용 및 부작용, 주의사항 등을 숙지해야 한다. 주요 약물로는 Norpin Inj., Epinephrine Inj., Atropine Sulfate Inj., Inopan Inj., Dopramin Inj., Sodium Bicarbonate 8.4% Inj., Lidocaine HCl 2% Inj., Cordarone Inj., Magnesium Sulfate Inj., Calcium Gluconate Inj., Yeomcaru Inj. 등이 있다.
-
2. 응급환자 분류체계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는 KTAS(한국형 중증도분류체계)에 따라 중증도에 따라 1-5단계로 분류된다. 또한 START 알고리즘과 METTAG 법, SALT 분류법 등이 사용된다. 이를 통해 생명이 위독한 환자를 신속하게 구분하고 치료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
3. 출혈 및 쇼크환자 사정 및 간호출혈 환자는 출혈량과 징후를 사정하고, 외부출혈은 국소 압박, 선택적 동맥 압박, 지혈대 사용 등으로 지혈한다. 내부출혈은 활력징후 모니터링, 수액 및 수혈 요법 등으로 관리한다. 쇼크 환자는 저혈량성, 심장성, 신경성, 패혈성, 과민성 쇼크 등 유형별로 구분하여 산소 공급, 약물 투여, 기도 관리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
4. 외상환자 사정 및 간호외상 환자는 개정된 외상점수(RTS), CRAMS 척도 등을 이용하여 손상 정도를 사정한다. 복강 내 손상, 분쇄 손상, 다발성 손상, 골절 등 다양한 유형의 외상에 대한 간호를 제공한다. 기도 확보, 출혈 및 쇼크 관리, 골절 고정 등의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
5. 호흡곤란 환자 사정 및 간호호흡곤란 환자는 기도폐쇄,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천식, 폐렴, 흡입성 손상, 일산화탄소 중독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신체검진, 청진, 타진 등을 통해 사정하고, 기도 유지, 산소 공급, 약물 투여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
6. 급성흉통호소 환자 사정 및 간호급성 흉통 환자는 폐색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대동맥박리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통증의 양상, 시작 시간, 방사 부위, 악화/완화 요인 등을 사정하고, 산소 공급, 약물 투여, 활력징후 모니터링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
7. 뇌졸중 환자 사정 및 간호뇌졸중 환자는 허혈성과 출혈성으로 구분되며, GCS, 신경학적 증상 등을 사정한다. 혈전용해제,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등의 약물 요법과 함께 운동, 감각, 의사소통, 삼킴 기능 증진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
8. CPR 간호심폐소생술(CPR)은 기본 CPR, 소아 CPR, 자동제세동기(AED) 사용 등의 절차로 구성된다. 가슴압박, 기도유지, 인공호흡을 시행하며, 심전도 리듬에 따라 제세동 등의 처치를 한다. 소아와 영아의 경우 체중과 크기에 맞는 압박 깊이와 속도로 시행한다.
-
9. 감염관리 간호 - 격리 대상자 간호감염 전파 차단을 위해 표준 감염주의, 접촉 감염주의, 공기매개감염 주의, 비말 감염주의 등의 격리 지침을 따른다. 손 위생, 보호구 착용, 환자 이동 제한 등의 기본원칙을 준수하며, 격리 유형에 따른 병실 관리, 마스크 착용, 환자 관리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
1. Emergency CartThe emergency cart is a critical component of emergency medical care, as it provides immediate access to essential medical equipment and supplies needed to respond to a wide range of medical emergencies. It is designed to be easily maneuverable and accessible, allowing healthcare providers to quickly retrieve the necessary items to stabilize and treat patients in urgent situations. The contents of the emergency cart are typically standardized and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the healthcare facility, ensuring that the appropriate resources are available when needed. Proper maintenance, organization, and regular restocking of the emergency cart are crucial to ensure its effectiveness and readiness for use. Healthcare providers must be trained in the proper use and management of the emergency cart to ensure that it is utilize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uring emergency situations.
-
2. 응급환자 분류체계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의 상태를 신속하게 평가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가장 위중한 환자들에게 신속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생명징후, 증상, 손상 정도 등을 기준으로 하며, 응급실 내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환자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응급실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환자 안전 향상에 기여하며, 의료진의 전문성과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응급환자 분류체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3. 출혈 및 쇼크환자 사정 및 간호출혈 및 쇼크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 및 간호는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출혈의 원인, 출혈량, 생명징후 등을 신속히 파악하고 지혈, 수액 공급, 쇼크 예방 등의 응급처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간호 계획 수립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간호 인력의 전문성 향상, 표준화된 프로토콜 마련, 응급 장비 및 물품의 체계적인 관리 등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출혈 및 쇼크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간호는 환자 예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4. 외상환자 사정 및 간호외상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 및 간호는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외상 환자의 경우 다발성 손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ABCDE 접근법을 통한 신속한 사정과 함께 생명징후 안정화, 출혈 및 쇼크 관리, 기도 유지, 호흡 및 순환 지원 등의 응급처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간호 계획 수립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간호 인력의 전문성 향상, 표준화된 프로토콜 마련, 응급 장비 및 물품의 체계적인 관리 등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외상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간호는 환자 예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5. 호흡곤란 환자 사정 및 간호호흡곤란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 및 간호는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호흡곤란의 원인, 증상, 생명징후 등을 신속히 파악하고 산소 공급, 기도 유지, 호흡 보조 등의 응급처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간호 계획 수립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간호 인력의 전문성 향상, 표준화된 프로토콜 마련, 응급 장비 및 물품의 체계적인 관리 등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호흡곤란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간호는 환자 예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6. 급성흉통호소 환자 사정 및 간호급성 흉통을 호소하는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 및 간호는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흉통의 원인, 증상, 생명징후 등을 신속히 파악하고 산소 공급, 통증 관리, 심전도 모니터링 등의 응급처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간호 계획 수립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간호 인력의 전문성 향상, 표준화된 프로토콜 마련, 응급 장비 및 물품의 체계적인 관리 등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급성 흉통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간호는 환자 예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7. 뇌졸중 환자 사정 및 간호뇌졸중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사정 및 간호는 환자의 예후 향상에 매우 중요합니다. 뇌졸중의 유형, 증상, 생명징후 등을 신속히 파악하고 산소 공급, 혈압 관리, 혈당 관리 등의 응급처치를 신속히 시행해야 합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간호 계획 수립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간호 인력의 전문성 향상, 표준화된 프로토콜 마련, 응급 장비 및 물품의 체계적인 관리 등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뇌졸중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간호는 환자 예후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8. CPR 간호CPR(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응급처치입니다. CPR 간호에는 신속한 심정지 확인, 효과적인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수행, 제세동기 사용, 약물 투여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 간호 인력의 전문성 향상, 표준화된 프로토콜 마련, 응급 장비 및 물품의 체계적인 관리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CPR 교육 및 훈련을 통해 간호사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PR 간호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9. 감염관리 간호 - 격리 대상자 간호감염성 질환 환자에 대한 격리 간호는 의료진과 다른 환자들의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격리 대상자에 대한 간호에는 적절한 개인보호장비 착용, 손위생 수행, 격리실 관리, 격리 지침 준수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격리 대상자의 불안감 해소와 심리적 지지를 위한 간호 중재도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감염관리 교육 및 훈련을 통한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 표준화된 감염관리 프로토콜 마련, 격리 물품 및 장비의 체계적인 관리 등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감염관리 간호의 체계성과 전문성은 의료 관련 감염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응급실 ER 사전학습보고서 성인간호학실습1. 응급실 환자 분류체계 응급실에 내원한 모든 환자를 중증도 분류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분류한다. 환자의 주 호소, 증상, 현병력, 과거력, 활력징후 등을 평가하여 KTAS 기준에 따라 1-5단계로 분류한다. 소생, 긴급, 응급, 준응급, 비응급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 대표적인 증상과 처치 내용이 제시되어 있다. 2. 기관 내 삽관 기관 내 삽관은 ...2025.01.0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보고서 사전학습과제 응급실 ER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는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 도구(CTAS)를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환자를 증상 중심으로 분류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하고 진료 순서를 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K-TAS는 1단계(소생), 2단계(긴급), 3단계(응급), 4단계(준응급), 5단계(비응급)로 구분...2025.05.04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응급실 ER) 사전학습보고서1. 응급환자 분류체계 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치료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한국형 중증도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응급실 간호사가 환자의 주호소, 증상, 활력징후 등을 평가하여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로 분류합니다. 이를 통해 생명이 위급한 환자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생존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2025.01.29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 보고서_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1. 응급환자 분류체계 응급환자 분류체계는 신속한 의학적 중재가 필요한 위중한 환자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형 중증도분류체계(KTAS)를 이용하여 응급실에 내원한 모든 환자를 중증도분류 교육을 받은 간호사가 분류한다. 분류 시 주 호소, 증상, 현병력, 과거력, 약물 복용력 등을 문진하고 활력징후, 혈역학적 상태 등을 평가하여 자세히 분류한다. 2. ...2025.01.12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보고서 사전학습과제 응급실 ER 6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사전학습보고서: ER학교교과목명실습지실습기간학번 및 이름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분류정의-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 도구(CTAS,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기반으로 개발-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symptom-oriented) 분류하는 도구-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하여 제한된 공간과 자원 안에서 효과적으로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함과정① 첫인상 위험도 평가(Critical first look)② 감염성 질환에...2023.03.17· 6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ER 사전학습 33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ER 사전학습 보고서)1. Emergency Cart약명분류효능?효과Atropine진경제위장관의 경련성 동통, 담관·요관의 산통, 경련성 변비, 위·십이지장궤양에서의 분비 및 운동 항진, 방실전도장애, 미주신경성 서맥, 마취 전 투약, 유기인 살충제·부교감신경흥분제 중독Dexamethasone코르티코스테로이드호르몬제1. 내분비 장애 : 원발성 및 속발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 급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 부신성기증후군2. 류마티스성 장애급성진행 또는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단기 투여용 보조요법으로서 다음의 질환 : 류마티스양 ...2022.09.26· 33페이지 -
성인간호학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31페이지
성인간호학 사전학습 보고서전남대학교 병원 ER과목명: 성인간호학 실습실습장소:담당교수:대학교목 차-추가사전학습 + 교과서 내 기본사전학습포함1) 용어 및 약어2) 추가학습내용1.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체계(KTAS)2. 의식사정3. 기관삽입술 및 기도확보 시술4. 중심정맥삽입술/흉관삽입술5. 응급약물6. 감염관리(손씻기, 보호장구착용, 코호트 격리)3) 특수검사1. CT2. MRI3. PET-CT4) 주요학습내용1. 응급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특수검사 전,후 간호- Spinal Tap ; Lumbar Puncture- Angiograp...2020.12.06· 31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응급실 ER 사전학습 보고서 성인간호학 28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응급실사전학습보고서1) Emergency cart 약물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3) 응급환자 분류체계4) 기관 내 삽관5) CPR 간호6) 출혈 및 쇼크환자 사정 및 간호7) 외상환자 사정 및 간호8) 호흡곤란 환자 사정 및 간호9) 급성흉통호소 환자 사정 및 간호10) 뇌졸중 환자 사정 및 간호11) 약물 남용 및 약물 중독자 치료 및 간호12) 감염관리 간호-격리환자 간호학 과과 목 명병 원담 당 교 수학 번성 명1. Emergency Cart 약물(1) 정의응급시의 검사, 치료에 사용하는 기구나 약...2022.12.06· 28페이지 -
A++)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 보고서_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30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사전학습보고서1. Emergency cart 약물약물사진 출처: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약물적응증투약방법부작용Epinephrine(1mg/1cc)기관지 천식 발작의 완화, 혈청병, 두드러기, 맥관신경성 부종의 증상 완화, 약물에 의한 쇼크, 심정지의 보조치료, 국소마취제 효력의 지속? SC, IM: 1회 0.2~1.0ml 투여한다.? IV: 심정지 등 긴급시에는 약 0.25mL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리식염주사액 등에 희석하여 천천히 주사한다.가슴 두근거림, 두통, 어지러움, 불...2024.03.19· 3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