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사정 실습 총정리
본 내용은
"
전교 1등의 AAA+급 자료 [건강사정 실습] 총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3
문서 내 토픽
-
1. 위장관계장애위장관계는 입, 구인두, 식도, 복강으로 구성되며, 복강은 공동기관(내용물에 의해 형태가 만들어짐)과 고형기관(원래 형태를 유지)으로 구성됩니다. 4분면(우상사분역, 우하사분역, 좌상사분역, 좌하사분역)으로 나뉘며, 복벽 청진과 촉진 시 중요한 부위입니다. 소화는 음식이 구강에서 시작하여 위, 십이지장, 췌장, 담즙 등을 거쳐 대장으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
2. 심혈관계장애심장은 속이 빈 근육성 기관으로, 좌심방-좌심실-대동맥, 우심방-우심실-폐동맥의 순환 경로를 가지고 있습니다. 심장판막(방실판막, 반월판막)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합니다. 심장주기(S1, S2, S3, S4)와 심전도(P파, Q파, R파, T파)를 통해 심장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질환, 울혈성 심부전, 허혈성 심장질환 등이 있습니다.
-
3. 정신건강장애정신건강사정은 뇌의 조직적 기능을 사정하며, 주로 대뇌 기능사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대뇌피질, 대뇌변연계, 뇌신경 등의 기능을 평가하며, 우울증, 자살 위험, 범불안장애 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간이 정신상태검사, 특수대상자(임산부, 소아, 노인)의 정신건강사정이 필요합니다.
-
4. 외피계장애피부는 가장 큰 기관으로, 표피, 진피, 피하층으로 구성됩니다. 피부 부속기에는 모발, 조갑, 에크린선, 아포크린선이 있습니다. 피부질환 사정 시 병변의 특성(반점, 구진, 판, 종양, 수포, 낭종 등)을 관찰하고, 시진과 촉진을 통해 진단적 추론을 할 수 있습니다. 특수대상자(임산부, 소아, 노인)의 피부사정이 필요합니다.
-
5. 안과장애눈은 시각신경(뇌신경 2번)을 통해 시각적 자극을 뇌로 전달하는 감각기관입니다. 외부구조(안검, 결막, 누선)와 내부구조(공막, 각막, 홍채, 수정체, 망막 등)로 구성되며, 시력, 시야, 외안근 운동 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시진, 촉진, 타진, 청진을 통해 안과적 문제를 사정할 수 있습니다.
-
6. 귀 장애귀는 청각과 평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됩니다. 외이는 이개와 외이도, 중이는 고실과 이관, 내이는 와우와 전정기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청력검사(웨버검사, 린네검사)를 통해 전도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을 감별할 수 있습니다.
-
7. 코, 부비동 장애코와 부비동은 호흡, 발성, 후각 등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외비, 비강, 부비동(상악동, 전두동, 사골동, 접형동)으로 구성되며, 시진과 촉진을 통해 비울혈, 비루, 비출혈, 후각 및 미각 감소 등을 사정할 수 있습니다.
-
8. 입, 인두 장애입과 구인두는 말하기, 섭식, 연하 등의 기능을 담당합니다. 상악, 하악, 구강, 구인두로 구성되며, 시진과 촉진을 통해 인두통, 연하곤란, 치은출혈, 구취, 치통 등을 사정할 수 있습니다.
-
9. 호흡기계 장애호흡기계는 상기도(코, 인두, 후두)와 하기도(기관, 기관지, 폐)로 구성되며, 산소 공급, 이산화탄소 제거, 방어 기능 등을 담당합니다. 기침, 흉통, 객담,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사정하고, 시진, 촉진, 타진, 청진을 통해 폐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10. 신경계 장애신경계는 중추신경계(뇌, 척수)와 말초신경계(뇌신경, 척수신경)로 구성됩니다. 대뇌, 간뇌, 소뇌, 뇌줄기 등의 기능을 평가하며, 두통, 현훈, 의식수준 변화, 운동능력 변화 등의 증상을 사정할 수 있습니다. 신체검진 시 정신상태 사정, 뇌신경 검사 등을 수행합니다.
-
1. 위장관계장애위장관계 장애는 매우 다양한 증상과 원인을 가지고 있는 질환군입니다. 위장관 기능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소화불량, 구토,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위장관계 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식습관, 스트레스, 감염,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특성과 증상에 맞는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며,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심혈관계장애심혈관계 장애는 심장과 혈관 관련 질환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심장병,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부전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생활습관, 유전적 요인,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과 조기 발견,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금연,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혈관계 질환은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방과 관리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
3. 정신건강장애정신건강 장애는 매우 다양한 증상과 원인을 가지고 있는 질환군입니다. 우울증, 불안장애, 조현병, 치매 등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가 있으며, 이는 개인의 삶의 질과 사회적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 장애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개인의 특성과 증상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정신건강 장애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예방 교육과 지역사회 지원 체계 마련이 중요합니다. 정신건강 장애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외피계장애외피계 장애는 피부, 모발, 손톱 등 신체 외부를 구성하는 조직의 질환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대표적인 외피계 장애로는 피부암, 아토피 피부염, 건선, 탈모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외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인의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외피계 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면역 체계의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의 특성과 증상에 맞는 맞춤형 치료가 필요하며,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외피계 장애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함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5. 안과장애안과 장애는 눈과 시각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을 포함합니다. 대표적인 안과 장애로는 근시, 원시, 난시, 백내장, 녹내장, 망막 질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시력 저하, 시야 장애, 통증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과 장애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노화, 질병, 외상 등 다양하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안전한 생활 습관과 보호 장비 사용 등 예방 노력도 필요할 것입니다.
-
6. 귀 장애귀 장애는 청력 저하, 이명, 현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는 질환군입니다. 대표적인 귀 장애로는 난청, 중이염, 메니에르병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일상생활과 의사소통에 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귀 장애의 원인은 유전, 노화, 감염, 외상 등 다양하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청력 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보청기 착용, 약물 치료, 수술 등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소음 노출 제한, 청력 보호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할 것입니다.
-
7. 코, 부비동 장애코와 부비동 장애는 코와 부비동 관련 질환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알레르기 비염, 부비동염, 비용종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코막힘, 비루, 두통, 후각 장애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코와 부비동 장애의 원인은 알레르기, 감염, 구조적 문제 등 다양하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약물 치료, 수술 등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알레르기 예방, 감염 관리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할 것입니다.
-
8. 입, 인두 장애입과 인두 장애는 구강, 인두 관련 질환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구강 암, 구내염, 편도선염, 인두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통증, 삼킴 곤란, 발음 장애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입과 인두 장애의 원인은 감염, 외상, 암 등 다양하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구강 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약물 치료, 수술 등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구강 위생 관리, 금연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할 것입니다.
-
9. 호흡기계 장애호흡기계 장애는 폐, 기관, 기관지 등 호흡기 관련 질환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폐렴, 폐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호흡 곤란, 기침, 객담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호흡기계 장애의 원인은 감염, 흡연, 대기 오염, 유전 등 다양하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약물 치료, 산소 요법, 수술 등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금연, 공기 정화, 예방접종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할 것입니다.
-
10. 신경계 장애신경계 장애는 뇌, 척수, 말초신경 등 신경계 관련 질환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운동 장애, 감각 장애, 인지 기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신경계 장애의 원인은 유전, 노화, 외상, 감염 등 다양하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 약물 치료, 재활 치료, 수술 등의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건강한 생활 습관, 스트레스 관리 등의 예방 노력도 중요할 것입니다.
-
아동간호학 천식 케이스/ 소아 천식/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 3개1. 천식 천식은 폐로 연결되는 통로인 '기관지'의 질환으로, 특정한 유발 원인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기관지의 염증에 의해 기관지가 심하게 좁아져 기침, 천명,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점액이 분비되고 기관지가 막혀 숨이 차게 됩니다. 이것이 반복되면...2025.04.29 · 의학/약학
-
A+받은 정상 분만 (NSD) 케이스 스터디 (정말 상세한 간호과정) 진단 2개1. 정상 분만 (NSD) 정상 분만이란 산부가 거의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이 없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이 완성되는 것을 말한다. 정상 분만 과정은 뚜렷하게 지속되면서 동시에 다음 3가지 보조진행이 이루어진다. - 규칙적인 자궁수축 - 자궁경관의 거상과 개대 - 선진부위의 지속적인 하강. 분만 1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에서...2025.04.28 · 의학/약학
-
간호관리학실습 간호과정1. 병동 특성 파악 병동 963은 주로 정형외과와 류마티스 내과 환자를 담당하고 있으며, 총 40병상 중 32명의 환자가 입원해 있어 병상 가동률이 80%입니다. 환자 연령층은 주로 60대와 80대가 많으며, 병실 구성은 특실 1개, 1인실 1개, 2인실 2개, 4인실 4개, 6인실 3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요 진단명은 화농성 관절염, 대퇴골 골절, ...2025.05.16 · 의학/약학
-
건강사정 실습 시험 총정리, 실습 시험 정리 A+ 받음 10페이지
수시로 손소독 하기눈, 귀라이트 불빛, 자, 면사 (면봉), 차폐카드, 이경, 소리굽쇠눈 시진“먼저 시진을 통해 눈썹,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동공크기를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손소독① 눈썹 - 눈썹 만지면서 보기 (눈썹 양, 눈썹 아래 피부)② 결막, 공막 - “위를 잠깐 보시겠어요?” 엄지로 눈 밑 내리면서 보기(색, 결절, 종창, 혈관)③ 결막, 공막 - 엄지와 검지로 눈 벌리고 “아래를 보시겠어요?”(상안검도 검사해야 하는지??)④ 각막 - 비스듬하게 불빛 비추어서 양 눈 보기 (각막 혼탁 여부)⑤ 홍채 귀 쪽에서 불빛...2021.10.24· 10페이지 -
[건강사정및실습]신체검진방법 요약정리 5페이지
REPORT건강사정 과제-신체검진법-과 목 명:건강사정 실습담당교수님:000 교수님학 과:간호학과학 년:0학 번:000000000성 명:000[신체검진법]에 관하여 정리객관적인 검진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4가지 기본 기법 사용.★순서: 시진→촉진→타진→청진★1.시진(inspection):시각을 사용한 검진법② 펜라이트(동공반사 확인 시), 검안경(동공을 통해 망막, 시신경 유두, 황반부 관찰), 이(耳)경, 비(鼻)경, 질경 등의 기구 사용③ 대상자를 만날 때부터 시작하여 대상자-간호사 관계가 종료될 때까지 지속?언어적·비언어적 표...2024.02.12· 5페이지 -
[A+,하이퀄리티]지역사회 건강사정 레포트(지역사회간호진단, 간호과정 2개 포함) 29페이지
지역사회 건강사정 보고서제목지역사회 건강사정보고서담당교수학교/학과조원/학번제출일2019년 4월 19일(금)지역사회 건강사정1.자료수집 방법사정방법적용여부적용내용1차자료현지조사X대덕구 주민들의 성별, 나이, 건강력 및 생활환경 등을 직접 조사함지역사찰X가족도를 이용한 마을 전체적인 구조 파악.지역지도자 면담X마을대표 및 보건진료소장자의 면담을 통해 지역의 전반적인 특성 및 궁금증 해결설문조사X참여관찰X보건진료소 내 재활치료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고 관찰함.가정방문X지역사회 내 취약가족 방문을 통해 건강사정 및 정서적지지, 보건사업 홍보...2022.10.31· 29페이지 -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의성) 39페이지
- 지역사회 간호과정 -CONFERENCE지역사회 간호과정(Conference)[지역사회 건강사정]1. 지역사회 현황분석1) 지역사회의 인구현황행정구역별(읍면동)2019총인구(명)남자 (명)여자 (명)내국인-계 (명)내국인-남자 (명)내국인-여자 (명)의성군49,47724,11425,36348,56623,60124,965행정구역별(읍면동)2019외국인-계 (명)외국인-남자 (명)외국인-여자 (명)가구-계 (가구)일반가구 (가구)의성군91151339823,96923,767행정구역별(읍면동)2019집단가구 (가구)외국인가구 (가구)주택...2024.03.16· 39페이지 -
A+ [모성간호학, 모아실습] 사례연구 보고서 - 신생아 황달_N-J_Neonatal Jaundice_두혈종 19페이지
사례연구- N-J -실습기관실습부서실습기간학 교 명학 번이 름교 과 목담당교수제 출 일- 목 차 -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 고찰 ................................................................................................................2020.10.25· 1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