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성인간호학 호흡기계 폐렴 흉막삼출 임상사례보고서2025.01.141. pleural effusion 흉막강은 흉벽, 횡격막, 종격동을 덮고 있는 벽측 흉막과 폐엽 간 틈새를 포함한 폐를 덮고 있는 장측 흉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뜻하며 정상적으로 흉막강에는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이 마찰하지 않고 매끄럽게 움직이게 하는 윤활제 역할을 하는 소량의 액체(10-20ml)가 존재한다. 흉막 삼출이란 흉막강 내 액체가 정상 수준 이상으로 고이는 것을 말한다. 2. transudate와 exudate transudate(누출성)는 혈관으로부터 빠져 나온 물질로, 누출성 흉막삼출은 1차적으로 단백질의 소실이나...2025.01.14
-
[성인간호학]검사 및 투약간호2025.05.091. CBC (Complete Blood Count) CBC는 채혈을 통해 모아진 소량의 검체를 통해 신체의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임상검사입니다. 채혈 시 피부를 준비하고, 정맥주사를 맞고 있는 팔은 피합니다. 검사 결과 해석 시 WBC, RBC, Hb, PLT 등의 정상범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X-ray, CT, MRI, 내시경, 골반초음파, 심장초음파 X-ray, CT, MRI, 내시경, 골반초음파, 심장초음파 등 다양한 영상검사 방법이 있습니다. 각 검사 전 준비사항과 검사 시 주의사항을 숙지하고 있어야 ...2025.05.09
-
호흡기계 진단검사2025.05.131. X-ray X-선 검사는 폐결핵 등 폐의 이상을 발견해내는 방법으로 집단 검진시에 사용되거나 병원에 입원하는 사람에게는 정규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다. 또한 그 밖의 심장질환이나 종격동의 이상, 종양 등의 이상을 발견해낼 수 있다. 검사 전 간호로는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옷이나 금속제품은 허리 아래로 내리게 하여 금속의 음영이 찍히지 않도록 하며, 자세를 취해준 후 숨을 깊게 들이마시게 한 다음 사진을 찍을 동안 잠시 숨을 참도록 한다. 2. PFT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는 폐기능 장애를...2025.05.13
-
A+자료 성인간호학 Pleural effusion 흉막 삼출증(흉수) Case study(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2025.05.071. Pleural effusion 흉수란 흉막강 내 정상 이상으로 고인 액체를 말한다. 흉막강은 흉벽, 횡격막, 종격동을 덮고 있는 벽측 흉막과, 폐엽 간 틈새를 포함한 폐를 덮고 있는 장측 흉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뜻한다. 여기에는 정상적으로 소량(5~10mL, 0.1~0.2mL/Kg)의 흉수가 존재하며, 생리적으로 호흡 운동 시 폐 확장을 촉진하는 한편, 폐와 흉벽을 연결함으로써 폐의 팽창을 유지하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흉수는 벽측 흉막에서 만들어지며 모세혈관의 정수압과 삼투압의 차이 및 림프관으로의 배출 등을 ...2025.05.07
-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및 시술 간호2025.01.101.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 PCD(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몸 안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게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늘고 긴 관을 초음파 및 투시 촬영술을 이용하여 몸 밖에서부터 고름집 안으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농양에 의해 생기는 증상(고열, 발한 등)이 없어지고 혈액 검사 수치가 정상화되는 등 임상적으로 충분한 호전이 있으면서 카테터를 통해 나오는 액체의 양이 거의 없어지면 카테터를 제거하게 됩니다. 필요한 경우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촬영(CT)...2025.01.10
-
성인간호학 Conference - 농흉(Pleural empyema)2025.01.281. Pleural empyema 농흉은 흉막강 내에 농이 축적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원인은 폐렴, 폐농양, 흉막삼출액의 감염, 외상 등이다. 폐렴이나 폐농양이 흉막으로 전파되거나 림프절 폐쇄로 감염된 림프가 흉막강 내로 역행한다. 간농양이나 횡격막하 농양이 횡격막 림프계를 통해 폐 주위로 퍼질 수 있다. 흉곽수술이나 흉부외상을 통해 세균이 흉막강 속으로 직접 침입하기도 한다. 외상에 의해 혈액이 흉막강 내에 축적되고, 완전히 배액되지 못하면 세균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1. Pleural empyema Pleural empyem...2025.01.28
-
Empyema(농흉) case study2025.05.161. Empyema(농흉) 농흉의 약 50%는 폐의 일차적인 병변으로 인해 흉막강이 오염되면서 발생한다. 그 원인으로는 폐결핵, 폐렴, 폐농양, 늑막염, 흉부 외상, 흉부 수술 후 이차 감염, 횡격막하 농양, 자발성 기흉의 합병증 및 전신 패혈증 등이 있다. 농흉은 흉막이 두꺼워지고 섬유성 조직이 폐와 흉벽을 유착시키기 때문에 치료하기가 매우 어렵다. 농흉 치료에는 초기 배농이 중요하며, 급성기인 경우 흉막액의 점도가 낮아 항생제 등으로 적절히 치료하면 폐가 팽창하여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수 있다. 하지만 초기 치료에도 불구하고 충...2025.05.16
-
A+ [모성간호학 실습] 자궁절제술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간호진단 8개2025.05.071. 비효과적 호흡양상 대상자는 얕은 호흡, 호흡곤란, 흉곽 움직임 제한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 산소포화도가 낮고 흉수 및 복수 등으로 인한 폐내 수분 정체가 관찰되어 비효과적 호흡양상 간호진단이 필요하다. 편안한 자세 유지, 심호흡 운동, 산소 공급 등의 중재를 통해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2. 만성 통증 대상자는 암 치료로 인한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통증 사정과 함께 비약물적 중재(이완요법, 관심전환요법 등)와 약물 중재(서방형 및 속효성 진통제)를 병행하여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2025.05.07
-
호흡기계 대상자 간호2025.05.051. 호흡기관의 기능 호흡기관의 주요 기능은 공기의 이동 통로 역할, 음식물 전달 통로, 기도 보호, 발성, 호흡 등이다. 코와 부비동은 공기의 이동 통로이자 뇌의 과열 방지 역할을 한다. 인두와 후두는 음식물 전달 통로이며, 후두덮개는 음식물이 기관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보호한다. 성대는 발성 기능을 하고, 기관과 기관지는 호흡 시 공기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섬모운동과 점액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폐포와 모세혈관은 가스 교환을 담당한다. 2. 호흡생리 호흡생리에는 환기, 관류, 기체교환, 폐 순응도, 탄성...2025.05.05
-
흉막삼출액케이스 pleural effusion case2025.05.091. Pleural Effusion 심막강 내에 염증성 삼출액이 축적된 상태이며 심하면 심장이 압박을 받아 심장활동에 제한을 받는다. 심막강 내에 삼출액이 빠르게 축적되거나 다량의 액체가 고이게 되면 심장눌림증으로 진전된다. 주요 원인으로는 심낭염, 감염, 전신홍반성 루프스 등이 있으며, 임상증상으로는 호흡곤란, 좌위 호흡, 간비대, chest pain 등이 나타난다. 치료로는 심막천자, 개심술, 심막절제술 등이 있으며, 간호중재로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영양관리, 심리상태 사정 등이 필요하다. 2. 심낭삼출액 심막강 내에 염증성 삼...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