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교육의 개념과 목표 및 등장배경
본 내용은
"
순환교육의 개념과 목표 및 등장배경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7.15
문서 내 토픽
  • 1. 순환교육의 등장 배경
    순환교육(Recurrent education)은 스웨덴의 경제학자 렌(Rehn, G)이 제창하고 1968년 베르사이유에서 개최된 유럽 교육부 장관회의에서 스웨덴의 교육부 장관인 팔매(Palme, O)가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그 이후 1970년에 OECD에서 순환교육을 평생교육 구체화 전략의 하나로 채택하였고, 1973년 OECD의 연구기관인 CERI에서 '순환교육: 평생학습을 위한 전략'이라는 보고서를 통하여 순환교육의 개념과 원리를 명확히 하여 회원국들에게 적극적인 적용과 확산을 독려함으로써 국제적으로 보급되었다. OECD는 순환교육을 단순한 이념수준에 머물지 않고 국제적인 정책 수준까지 끌어올려서 계속적인 조사, 연구, 정보교환을 통해 가맹국으로 하여금 그것을 정책으로 실천할 것 권고하였다.
  • 2. 순환교육의 개념
    순환교육은 모든 사람들에 대해 의무교육 또는 기초교육 종료 후의 교육에 관한 종합전략이고, 그 본질적 특징은 개인이 평생에 걸쳐 교육을 번갈아가면서 행하는 방법에 있다. 즉 교육은 다른 여러 활동, 특히 노등과 레저 및 은퇴생활을 번갈아 가면서 행하는 것이다. 순환교육은 혈액이 인체를 순환하는 것처럼, 교육은 개인의 평생에 걸쳐 순환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집중되어 있던 교육(의무교육 제외)을 개개인의 평생에 걸쳐서 제공하여야 하며, 또한 조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3. 순환교육의 목표
    순환교육이 지향하는 것은 공평, 직업적 탄력성, 교육과 실생활의 통합이라는 세 가지 목표였다. 첫째, 공평이라는 관점에서 순환교육은 과거의 교육기회의 불평등을 청산하는 동시에 성인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둘째, 직업적 탄력성이라는 관점에서 순환교육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가르치고 재훈련하며 교육과 노동세계를 더 유연성 있게 연결시키고자 한다. 셋째, 학교 교육이 이제까지 달성하지 못했던 교육과 실생활과의 통합이라는 과제에 대해서 순환교육은 이 두 가지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고자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순환교육의 등장 배경
    순환교육은 기존 교육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입니다. 전통적인 교육은 지식 전달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와 실천적 경험이 부족했습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창의성, 문제 해결력, 협력 능력 등 핵심 역량 개발이 어려웠습니다. 순환교육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했으며, 학생 중심의 실천적 학습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 개발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2. 순환교육의 개념
    순환교육은 학생 중심의 실천적 학습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을 개발하는 교육 방식입니다. 이는 기존의 지식 전달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실제 문제 상황에 직면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순환교육의 핵심 요소는 '경험-반성-개념화-실험'의 순환적 학습 과정입니다. 학생들은 실제 상황에서 경험을 하고, 이를 반성하며,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고, 이를 실험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자신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력, 협력 능력 등을 기를 수 있습니다.
  • 3. 순환교육의 목표
    순환교육의 주요 목표는 학생들의 핵심 역량 개발입니다. 기존 교육이 지식 전달 중심이었다면, 순환교육은 학생들이 실제 문제 상황에 직면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실천적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구체적으로 순환교육은 학생들의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협력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지향합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실제 상황에서 경험을 하고, 이를 반성하며,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고, 이를 실험하는 순환적 학습 과정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실천적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순환교육의 핵심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