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장애의 정의
본 내용은
"
학습장애의 정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5
문서 내 토픽
  • 1. 학습장애의 정의
    학습장애(學習障碍, learning disability)란 용어는 1963년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교수였던 Samuel Kirk박사가 처음 사용하였다. 이전까지 학습장애를 지칭하기 위해 '뇌손상'이나 '미세 뇌기능 이상(minimal brain dysfunctio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들 용어가 내포하고 있는 부정적 의미 때문에 많은 사람이 이들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반대하였다. 지금까지 '학습장애'라는 용어가 제안된 이후로 다양한 정의가 제시되었으나, 학습장애 전문가들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정의는 1977년 미국 교육부의 정의이다. 미국 교육부에서 제안한 학습장애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습장애란 구어나 문어의 사용이나 이해와 관련된 기본적 인지기능의 장애를 말한다. 이 같은 인지기능의 장애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산수 등의 학습기능 수행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학습장애는 지각장애, 뇌손상, 미세 뇌기능 이상, 난독증, 발달실어증 같은 상태를 포함한다. 하지만 시각장애, 청각장애, 운동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로 인한 학습결손 그리고 환경, 문화, 경제적 결핍으로 인한 학습결손은 학습장애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2. DSM-5에서 제시한 학습장애 정의의 특징
    DSM-5에서 제시한 학습장애 정의의 특성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읽기학습 장애, 쓰기학습 장애 등으로 분리되었던 학습장애의 영역을 특정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로 통합하고 하위요소를 분류하였다. 둘째, 불일치 진단기준을 삭제하고 중재반응 모형(Response to Intervention : RTI)을 수용하였다. 셋째,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학습장애를 진단할 수 있는 시기를 확장하였다. 넷째, 학습장애의 정의와 관련된 배제요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난독증과 난산증에 관한 명확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학습장애의 정의
    학습장애는 개인의 지적 능력이 정상적임에도 불구하고 읽기, 쓰기, 수학 등 특정 학습 영역에서 현저한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신경학적 요인,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학습장애 학생들은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따르기 어려워 특별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학습장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함께 이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합니다.
  • 2. DSM-5에서 제시한 학습장애 정의의 특징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에서는 학습장애를 '학업 기술의 습득과 사용에 있어 지속적인 어려움'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정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학습장애를 특정 학업 기술의 습득과 사용에서의 어려움으로 보고 있습니다. 둘째, 이러한 어려움이 지속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셋째, 지적 능력이 정상적임에도 불구하고 학업 성취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를 학습장애로 간주합니다. 넷째, 학습장애의 원인을 신경학적, 생물학적, 유전적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DSM-5의 학습장애 정의는 학습장애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와 진단, 그리고 적절한 교육적 지원을 가능하게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