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RT 보고서
문서 내 토픽
  • 1. CRRT 란?
    CRRT는 1977년 Kramer에 의해 임상에서 처음 시도되어 종래의 혈액투석에 비해 용질의 제거가 서서히 지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혈역동학적 상태가 불안정한 급성신부전 환자에게 보다 안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간헐적 혈액투석요법만큼이나 널리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산의 원리에 의해 용질의 이동이 일어나는 간헐적 혈액투석요법에 비해 생체적합성과 투과성이 우수한 혈액여과막을 통해 대류에 의한 용질 이동현상을 이용하여 혈액을 이용한 투석요법의 적용사유가 소멸될 때까지 24시간이상 계속적으로 투석치료를 시행하는 방법이다.
  • 2. HD 및 PD 및 CRRT 비교
    투석요법의 종류는 혈액투석(HD: hemodialysis), 복막투석(PD: peritoneal dialysis) 그리고 지속적 신대체 요법(CRRT: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이 있다. 혈액투석은 노폐물 제거 속도가 높아 급성신부전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며 복막투석은 노폐물 제거속도가 느리지만 혈액투석과 관련된 혈역동학적 변화를 견딜 수 없는 환자에게 유용한 방법이다. 혈액투석과 지속적 신대체 요법은 특수한 혈관통로(vascular access)를 통하여 몸 밖으로 유도된 혈액이 기계장치와 연결된 체외순환 라인을 거쳐 다시 몸 안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투석이 이루어지며 복막투석은 복강 속으로 삽입한 도관을 통하여 투석액을 주입하였다가 일정시간 경과 후 배액시키는 행위를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치료목적이 달성되는 방법이다.
  • 3. Indication & Goal
    CRRT의 적응증은 혈액량 과다, 치료 불응성 고칼륨혈증, 치료 불응성 대사성 산증, 뚜렷한 요독 증상, 뇌부종, 고카타볼릭 상태, 급성 중독 등이며 목표는 서서히, 부드럽고 지속적으로 체액,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고 신장 손상을 예방하며 신장 회복과 치유를 촉진하고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 4. CRRT의 원리
    CRRT의 원리는 확산, 대류, 초여과, 삼투현상, 교질 삼투압, 정수압, 흡착 등이다. 확산은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반투막을 통한 작은 분자량 용질의 수동적 이동이며, 대류는 압력 경사에 의해 물이 막을 통과할 때 용질이 물과 함께 이동하는 현상이다. 초여과는 반투막을 통한 액체 이동 과정으로 압력차에 따라 혈액 쪽의 수분을 투석액 쪽으로 이동시켜 체내 과잉 수분을 제거한다.
  • 5. CRRT의 기본요소
    CRRT의 기본요소는 혈관통로, 투석기, 투석액과 보충액, 항응고요법 등이다. 혈관통로는 혈액이 체외로 빠져나와 체외순환 라인을 통해 투석기로 전달되었다가 다시 신체로 복귀되는 경로이며, 투석기는 세공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질을 통과시킬 수 있는 반투막을 가진 기구이다. 투석액과 보충액은 혈액 내 노폐물 제거와 부족한 물질 보충을 위해 사용되며, 항응고요법은 혈액이 체외순환 통로에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 6. CRRT의 Mode
    CRRT의 주요 모드에는 SCUF(지속적 저속 초여과), CVVH(지속적 정정맥 혈액여과), CVVHD(지속적 정정맥 혈액투석), CVVHDF(지속적 정정맥 여과투석) 등이 있다. 각 모드는 수분 제거, 소분자 및 중분자 용질 제거 등의 목적에 따라 선택되며, 확산, 대류, 초여과 등의 원리를 활용한다.
  • 7. 기계 Setting 및 Priming, Calibration
    Prisma와 Prismaflex 기계의 설정 및 프라이밍,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전원 켜기, 세트 연결, 프라이밍, 캘리브레이션 등의 단계별 절차와 주의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 8. Prisma와 Prismaflex 비교
    Prisma와 Prismaflex 기계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다. Prismaflex는 Pre Blood Pump, 더 큰 튜브 크기, 더 높은 최대 유량 능력, 모드 변경의 유연성, 다양한 희석 방식, 공기 제거 필터 등의 특징이 있다.
  • 9. Alarm 원인 및 해결
    Prisma와 Prismaflex 기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고 및 주의 알람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혈액 누출, 공기 감지, 필터 응고, 압력 이상 등의 알람에 대한 대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10. EMR의 실제 응용
    CRRT 치료 과정에서 전자의무기록(EMR)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간호 처치 처방, 약물 처방, 도관 관리, 실제 처방 기록 등의 EMR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11. 합병증 및 간호 중재
    CRRT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출혈, 저혈압, 저체온, 전해질 불균형 등)과 이에 대한 간호 중재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혈역학적 안정, 체온 유지, 영양 관리, 감시 및 조절 등의 간호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CRRT 란?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는 급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지속적인 신대체요법입니다. CRRT는 혈액투석(HD)이나 복막투석(PD)과 달리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천천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체액과 용질을 제거합니다. 이를 통해 급성 신부전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대사 이상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CRRT는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에 비해 더 부드럽고 점진적인 치료 방식을 제공하여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게 적합한 치료법입니다.
  • 2. HD 및 PD 및 CRRT 비교
    HD(혈액투석), PD(복막투석), CRRT(지속적 신대체요법)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HD는 빠른 용질 제거와 효율성이 높지만 혈역학적 불안정성이 있습니다. PD는 천천히 용질을 제거하여 혈역학적 안정성이 높지만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CRRT는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용질 제거로 혈역학적 안정성이 높지만 비용이 많이 듭니다.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이 세 가지 방법 중 가장 적절한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 3. Indication & Goal
    CRRT의 주요 적응증은 급성 신부전, 중독, 대사 이상, 패혈증 등입니다. CRRT의 주요 목표는 체액과 용질의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제거를 통해 혈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대사 이상을 교정하는 것입니다. 또한 CRRT는 신장 기능 회복을 돕고 장기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CRRT의 목표와 적응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4. CRRT의 원리
    CRRT의 원리는 확산과 여과를 통한 용질 및 체액 제거입니다. 확산은 농도 차이에 의해 용질이 이동하는 현상이며, 여과는 압력 차이에 의해 용질과 체액이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CRRT에서는 이 두 가지 원리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용질과 체액을 제거합니다. 또한 CRRT에서는 교환액을 사용하여 전해질과 산-염기 균형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CRRT의 원리는 급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 5. CRRT의 기본요소
    CRRT의 기본요소는 혈액 회로, 여과기, 교환액, 펌프, 모니터링 시스템 등입니다. 혈액 회로는 환자의 혈액을 순환시키고, 여과기는 용질과 체액을 제거합니다. 교환액은 전해질과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펌프는 혈액과 교환액의 흐름을 조절하며, 모니터링 시스템은 치료 과정을 감시합니다. 이러한 기본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CRRT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 6. CRRT의 Mode
    CRRT에는 다양한 모드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모드로는 CVVH(지속적 정정맥 여과), CVVHD(지속적 정정맥 혈액투석), CVVHDF(지속적 정정맥 혈액여과투석) 등이 있습니다. 각 모드는 확산과 여과의 비율, 교환액 사용 여부 등에 따라 다릅니다.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한 CRRT 모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CVVHDF는 확산과 여과를 모두 활용하여 용질 제거 효율이 높은 반면, CVVH는 여과만 사용하여 혈역학적 안정성이 높습니다.
  • 7. 기계 Setting 및 Priming, Calibration
    CRRT 기계 설정, 프라이밍, 교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기계 설정에서는 혈류량, 여과량, 교환액 속도 등을 환자 상태에 맞게 조절해야 합니다. 프라이밍 과정에서는 공기 제거와 회로 내 혈액 채우기가 이루어집니다. 교정 과정에서는 압력, 온도, 용질 농도 등을 정확히 측정하여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입니다. 이러한 과정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CRRT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습니다.
  • 8. Prisma와 Prismaflex 비교
    Prisma와 Prismaflex는 CRRT 기계의 대표적인 모델입니다. Prisma는 이전 세대 모델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Prismaflex는 최신 모델로 더 다양한 기능과 모드를 제공합니다. Prismaflex는 Prisma에 비해 더 정밀한 모니터링과 제어가 가능하며, 자동화된 기능이 많아 사용이 편리합니다. 하지만 Prismaflex는 Prisma에 비해 가격이 높습니다.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Prisma 또는 Prismaflex 중 적절한 기계를 선택해야 합니다.
  • 9. Alarm 원인 및 해결
    CRRT 기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알람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혈액 회로의 압력 변화, 혈류량 감소, 교환액 부족, 기계 오작동 등이 알람의 주요 원인입니다. 이러한 알람이 발생하면 신속히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혈액 회로의 막힘이 발생하면 회로를 교체하고, 교환액이 부족하면 신속히 보충해야 합니다. 알람 발생 시 체계적인 대응 절차를 숙지하고 있어야 CRRT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10. EMR의 실제 응용
    EMR(Electronic Medical Record)은 CRRT 치료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EMR을 통해 환자의 임상 정보, 치료 기록, 검사 결과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EMR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CRRT 치료의 효과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EMR 데이터를 활용하여 CRRT 치료 프로토콜을 개선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EMR은 CRRT 치료의 질 향상과 환자 안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 11. 합병증 및 간호 중재
    CRRT 치료 중에는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혈압, 전해질 불균형, 출혈, 감염 등이 대표적인 합병증입니다.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혈압, 체온, 출혈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해질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무균 술기 준수, 감염 징후 관찰 등의 간호 활동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CRRT 치료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CRRT 보고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30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