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문질환(직장질환)
본 내용은
"
항문질환(직장질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7
문서 내 토픽
-
1. 치핵치핵은 항문 주위의 정맥류로, 외치핵과 내치핵으로 구분된다. 외치핵은 항문 괄약근 아래쪽에 발생하며 증상으로 항문에 확장된 혹이 생기고 소양증, 통증이 있을 수 있다. 내치핵은 항문 괄약근 위쪽에 발생하며 보통 무증상이지만 배변 시 출혈이 동반될 수 있다. 치핵의 원인은 정맥 판막 결핍, 문맥 고혈압 등이며 치료로는 약물 관리, 식이 요법, 수술 등이 있다. 간호 중재로는 변비 예방, 수술 후 관리 등이 중요하다.
-
2. 치열치열은 항문관 후벽에 생기는 일종의 궤양이나 열상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급성 치열은 단단하고 큰 대변 통과 후 발생하며, 만성 치열은 음와염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배변 시 통증과 작열감이 있다. 대부분 표재성이며 저절로 치유되지만, 치유되지 않으면 수술이 필요하다. 간호 중재로는 배변 완화제 투여, 매일 배변하도록 교육 등이 있다.
-
3. 항문-직장 농양항문-직장 농양은 항문과 직장 주위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여 농양이 생긴 것으로, 대부분 치열이 동반된다. 증상으로는 앉거나 누울 때 불편감, 열과 오한, 국소적 종창과 압통 등이 있다. 치료는 농양 절개 및 배농, 관련 치루 절제 등이며, 간호 중재로는 옆으로 눕거나 엎드린 자세 취하기, 방광 팽만 예방 등이 있다.
-
4. 치루치루는 항문관에서 항문 밖 피부에 이르는 비정상적인 관 또는 직장 농양에서 항문관이나 항문 주위 피부로 누공이 생기는 것이다. 만성적인 염증성 질병으로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며, 간호 중재로는 부위 청결, 특히 배변 후 청결 강조 등이 있다.
-
5. 모소낭모소낭은 천골 기저부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모발을 가지고 있으며 감염되어 농양을 형성하고 누관이 생긴다. 주로 젊은 남성에게 발생하며, 증상으로는 피부 함몰, 급성 통증, 부종, 분비물 배출 등이 있다. 치료는 외과적 절제이며, 간호 중재로는 항생제 투여, 감염 예방 등이 중요하다.
-
6. 변실금변실금은 4세 이상에서 반복적으로 변, 가스 등을 자신의 의지대로 조절할 수 없는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이다. 노화, 외상, 당뇨, 직장탈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치료로는 식이요법, 약물요법, 운동요법, 수술 등이 있으며, 간호 중재로는 감염 예방, 피부 관리 등이 중요하다.
-
7. 노인을 위한 고려노인에서는 소장과 대장의 변화로 인해 배변 기능이 저하되어 변비, 설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증상 호소가 적고 조기 진단이 어려워 주의가 필요하다. 간호 시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
1. 치핵치핵은 항문 주변의 정맥이 확장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증상으로는 출혈, 통증, 불편감 등이 있으며 심한 경우 혈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좌욕, 연화제 복용 등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혈전제거술, 결찰술, 레이저 치료 등이 있습니다. 치핵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지만 방치하면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빨리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치열치열은 항문 주변의 피부가 갈라져 생기는 균열로, 통증, 출혈, 가려움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변비, 설사, 과도한 긴장 등이 있으며 방치하면 감염이나 농양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연화제 복용, 좌욕, 연고 도포 등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절개술, 레이저 치료 등이 있습니다. 치열은 초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므로 증상이 있다면 빨리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항문-직장 농양항문-직장 농양은 항문 주변에 생기는 농양으로, 통증, 발열, 부종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치열, 치핵, 크론병 등이 있으며 방치하면 항문-직장 누공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와 수술적 배농이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절개 배농술, 누공 절제술 등이 있습니다. 항문-직장 농양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빨리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치루치루는 항문과 피부 사이에 생기는 비정상적인 통로로, 지속적인 분비물 배출, 통증, 감염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항문-직장 농양, 크론병, 외상 등이 있으며 방치하면 만성화되어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좌욕, 연고 도포 등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누공 절제술, 괄약근 보존술 등이 있습니다. 치루는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재발이 잦고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빨리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모소낭모소낭은 항문 주변의 피지선에 생기는 낭종으로, 통증, 부종, 농양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피지선의 폐쇄, 감염 등이 있으며 방치하면 반복적인 감염이나 농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항생제 투여, 좌욕 등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낭종 절제술이 있습니다. 모소낭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완치가 가능한 질환이지만 방치하면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다면 빨리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변실금변실금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대변이 새어나오는 증상으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괄약근 약화, 신경손상, 직장 탈출 등이 있으며 고령, 임신, 수술 등의 위험요인이 있습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보존적 치료로는 생활습관 개선, 골반저근 운동, 약물 치료 등이 있으며 수술적 치료로는 괄약근 성형술, 인공괄약근 삽입술 등이 있습니다. 변실금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증상 호전이 가능하므로 증상이 있다면 빨리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7. 노인을 위한 고려노인들은 신체적, 정신적 기능 저하로 인해 다양한 건강 문제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노인들을 위한 의료 서비스 제공 시 이들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노인들의 복합 만성 질환에 대한 통합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둘째, 노인들의 신체적, 인지적 기능 저하에 대한 평가와 적절한 재활 서비스 제공이 중요합니다. 셋째, 노인들의 사회적 고립과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넷째, 노인들의 자립성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돌봄 서비스 확대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
-
변비 대상자 간호(정의, 치료, 간호)1. 변비의 정의 변비는 대장의 연동 운동이 저하되어 원활한 배변 운동을 하지 못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변비는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호소할 만큼 매우 흔한 증상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빈도가 증가하고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2. 변비의 원인 변비의 원인은 크게 원발성 변비와 이차적 변비로 나눌 수 있다. 원발성 변비는 대변의 대장...2025.01.16 · 의학/약학
-
실습 간호수행보고서(관장)1. 관장 대상자는 수술 부위 tatooing을 시행하기 위해 구불결장검사를 시행했다. 구불결장 검사란 내시경을 통해 항문, 직장, 구불결장의 내부를 직접 관찰하는 검사로, 항문으로부터 50cm까지 국한된 질환을 검사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검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자정부터 금식을 하고, 장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대상자는 렉크린액 관장을 했다. ...2025.05.15 · 의학/약학
-
치핵 문헌고찰1. 치핵 정의 치핵은 일반적으로 치질이라고 불리는 질환입니다. 치핵은 항문 및 직장에 존재하는 치핵 조직이 항문 밖으로 빠져나오는 내치핵과 항문 밖의 치핵 조직이 부풀어 올라 덩어리처럼 만져지는 외치핵으로 구분됩니다. 2. 치핵 원인 치핵은 항문이나 직장의 정맥 혈관의 압력 증가가 구조적 이상을 야기시켜 발생합니다. 변비나 설사 등으로 배변 시 과도한 힘...2025.05.01 · 의학/약학
-
혈변(Melena, Hematochezia) 응급 사례 관리1. 혈변의 정의와 원인 혈변은 대변에 선홍색의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을 말한다. 혈변의 원인에는 식도 질환, 위 질환, 소장 질환, 대장 질환, 직장 질환, 항문 질환 등이 있다. 혈변은 상부위장관 출혈과 하부위장관 출혈로 구분되며, 출혈 부위에 따라 대변의 색깔이 달라진다. 2. 혈변의 증상과 진단 혈변 환자는 오심, 복부팽만, 경련, 설사, 복명 등의 ...2025.01.06 · 의학/약학
-
기본간호학 요약 과제 배변1. 소화기계 소화기계는 입에서부터 항문에 이르는 약 7m 이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변은 이 중 대장과 항문에서 주로 이루어집니다. 대장은 신체의 우하복부의 회맹판에서 항문까지 이르는 길이 1.5~1.8m, 직경 2.5~7.5m로 맹장, 결장, 직장, 항문관 순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장의 주요 기능은 영양소와 수분 재흡수, 장을 보호하는 점액...2025.01.22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대장용종 케이스1. 대장(Large intestine) 대장은 소화기 중에 마지막에 위치하며 1.5미터 길이의 관 모양의 장기이다. 대장은 소장의 끝부분인 골반의 오른쪽 장골에서 시작되어 위로 올라가 상복부를 가로지르고 왼쪽 복부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직장을 통해 항문으로 연결된 모양을 하고 있다. 대장은 막창자, 결장, 직장으로 구분되며, 대장벽은 점막, 점막 하 조직...2025.01.2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_직장과 항문장애 레포트 7페이지
직장과 항문장애1. 직장과 항문의 구조와 기능구분직장항문관구조[그림 1-1 직장의 구조](자료원 : 국립암센터)[그림 1-2 항문의 구조](자료원 : 국립암센터)·직장 S상부·상부직장·하부직장·항문거근·속항문조임근·바깥항문조임근기능·배변을 할 때까지 변을 저장한다.·연동운동을 통해 변을 배출한다.·3~4cm의 짧은 길이지만, 배변 자제기능을 한다.2. 항문질환과 장애(1) 치핵(hemorrhoids)정의·항문 주위의 정맥류(perianal varicose veins)로, 항문이나 하부직장의 정맥총이 커지고 늘어나 덩어리를 형성한 상...2021.02.02· 7페이지 -
성인간호학 위십이지장질환 요약정리 33페이지
[ REPORT ]위? 십이지장 질환위?십이지장 질환< 위염 >: 위점막에 발생한 염증성 질환. 급성과 만성, 조직학적 소견, 해부학적 분포 및 병리적 기전에 따라 분류된다. 발생률은 50~60대, 음주, 흡연자 多내시경적 소견에 따른 위염 분류- 표재성 위염(superficial gastritis): 위점막이 충혈되고 부어 있으며, 출혈과 작은 미란 들이 있는 형태- 위축성 위염(atrophic gastritis): 위점막이 얇아져 군데군데 위축되있고, 벽세포와 주세포의 수가 줄어드는 것이 특징.- 비후성 위염(hypertroph...2021.11.01· 33페이지 -
염증성 장질환, 결장직장암, 간성뇌병증 관련 간호 중재와 이론적 근거 6페이지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 염증성 장질환 간호 -간호 진단간호 중재이론적 근거설사·혈액이나 지방의 유무뿐만 아니라 배변 횟수와 대변 색깔, 경도 등에 주의를 기울려 환자의 장배설 형태를 사정·지사제 투여·지사제 투여 시 배변 횟수와 배변의 경도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수분과 전해질의 균형 사정·아트로핀, 로페라마이드 섭취와 이에 따른 부작용 여부 관찰·배변 후 따뜻한 물로 피부를 청결이 닦고 건조시킴·설사를 조절하기 위해·졸음, 구강건조, 빈맥 및 소변정체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구강건조, 오심과 구토 및 변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2024.05.27· 6페이지 -
[성인간호학] [소화기계] 하부 위장관계 질환 정리 3페이지
성인간호학_하부 위장관계 질환 요약질환명정의, 원인주증상치료, 간호진단, 간호중재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다른 질환이나 해부학적 이상 없이 대장근육의 과민해진 수축 운동으로 인한 기능 장애로 발생장의 운동 이상, 내장기관의 과민성, 뇌와 장의 연관성, 장내세균의 증식 등의 원인복통, 아침이나 식후에 격심한 경련, 대변의 양상 변화, 복부 팽창, 가스 과다, 오심, 구토, 식욕부진 등증상 완화, 촉발인자 제거 또는 감소부피형성완하제, 항콜린성 약물, 지사제 적용충수염(appendicitis)...2023.10.07· 3페이지 -
성 매개성 질환 14페이지
[ 간호학 2-2-1 ]STD성 매개성 질환과 목 명간호학 2-2-1담당교수소 속조 장조 원제출일자[ 간호학 2-2-1 ]< 목 차 >Ⅰ.본 론 ----------------------------------------------------31. 성 전파성 질환 ---------------------------------------32. 세균성 감염 ------------------------------------------31) 매독2) 임질3) 연성하감4) 클라미디아3. 바이러스성 감염 ------------------------...2024.05.27·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