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깨 관절경 수술
본 내용은
"
Shoulder Arthroscopy 컨퍼런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28
문서 내 토픽
-
1. 관절경 수술관절경 수술은 관절 내부의 문제(손상 또는 질병)를 직접 보고, 확인하고, 진단하며 치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절경은 관절 내부의 여러 구조물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작은 유리섬유 거울과 밝게 조명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TV 화면으로 전송하여 다른 사람도 볼 수 있게 합니다. 관절경 수술은 작은 피부 절개를 통해 관절 내부로 삽입하고, 화면을 보면서 손상된 조직을 수술기구로 치료합니다. 장점으로는 작은 절개, 적은 통증, 정확한 진단, 동시 수술, 적은 출혈과 감염 위험, 빠른 회복 등이 있습니다.
-
2. 회전근개 파열회전근개는 어깨뼈에서 시작하여 상완골 위쪽에 붙는 4개의 근육과 힘줄로 구성되어 어깨 회전 기능을 담당합니다. 나이가 들면서 특별한 외상 없이도 퇴행성 변화로 인해 파열되어 통증을 유발합니다. 관절경 수술을 통해 마찰되는 부위를 제거하고 파열된 부위를 봉합할 수 있습니다.
-
3. 오십견오십견은 나이가 들면서 특별한 이유 없이 또는 회전근개 파열, 당뇨 등 질환이 있을 때 이차적으로 어깨 관절막이 굳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약물 및 물리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 관절경 수술을 통해 관절막을 절개하여 부드러운 관절을 만들 수 있습니다.
-
4. 습관성 탈구습관성 탈구는 어깨 관절이 빠지는 불안정한 상태로, 관절경 수술을 통해 끊어진 연골과 인대를 재접합하여 통증을 없애고 안정된 관절을 만들 수 있습니다.
-
5. 관절염 및 활액막염관절 내 물이 계속 차는 경우 활액막 제거술을 시행하거나 염증을 일으키는 부위를 제거 및 세척할 수 있습니다.
-
6. 관절 연골 손상외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한 관절 연골 손상은 자가연골이식술이나 자가연골 세포배양술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
7. 수술 전 간호수술 전 간호에는 정맥로 확보, 검사 확인, 수술 동의서 작성, 금식 교육, 수술부위 표시 등이 포함됩니다.
-
8. 수술 후 간호수술 후 간호에는 활력징후 확인, 호흡 운동 격려, PCA 관리, 체중 변화 확인, 배뇨 확인, 드레싱, 물리치료 등이 포함됩니다.
-
9. 합병증감염, 정맥염, 출혈,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10. 사례 연구58세 여성 환자의 사례로, 회전근개 파열 진단 하에 관절경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전후 간호 과정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
1. 관절경 수술관절경 수술은 최소 침습적인 수술 방법으로 관절 내부를 직접 관찰하고 필요한 치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관절경 수술은 관절 내부의 병변을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으며, 회복 기간이 빠르고 통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 중 합병증 발생 가능성, 장비 사용에 따른 비용 증가 등의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병변의 정도를 고려하여 관절경 수술의 적응증을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
2. 회전근개 파열회전근개 파열은 어깨 통증과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파열의 정도가 심하거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관절경 수술, 개방 수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파열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 후 재활 치료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어깨 기능을 최대한 회복할 수 있습니다. 회전근개 파열의 예방을 위해서는 어깨 근력 강화 운동과 올바른 자세 유지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3. 오십견오십견은 어깨 관절의 가동범위 제한과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관절 주변 조직의 섬유화와 유착이 주요 병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관절 주변 조직의 유착을 해소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관절 가동범위와 기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오십견의 예방을 위해서는 어깨 관절의 유연성과 근력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4. 습관성 탈구습관성 탈구는 반복적인 관절 탈구로 인해 관절 주변 조직이 약화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관절 주변 조직을 보강하는 수술, 관절 재건 수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탈구 정도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관절 기능을 최대한 회복할 수 있습니다. 습관성 탈구의 예방을 위해서는 관절 주변 근력 강화와 유연성 유지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5. 관절염 및 활액막염관절염과 활액막염은 관절 내부의 염증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손상과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활액막염은 관절 내부의 활액막 염증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관절 세척술, 관절 연골 이식술, 관절 치환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병변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관절 기능을 최대한 회복할 수 있습니다. 관절염과 활액막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관절 보호와 운동, 체중 관리 등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6. 관절 연골 손상관절 연골 손상은 관절 기능 저하와 통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연골 손상의 원인은 외상, 퇴행성 변화, 선천적 요인 등 다양하며, 손상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지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방법으로는 관절 연골 이식술, 연골 재생술, 관절 치환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병변의 정도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가 중요하며, 이를 통해 관절 기능을 최대한 회복할 수 있습니다. 관절 연골 손상의 예방을 위해서는 관절 보호와 운동, 체중 관리 등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7. 수술 전 간호수술 전 간호는 수술 후 합병증 예방과 회복 촉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전 간호 목표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준비를 돕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 사정, 수술 관련 정보 제공, 수술 전 처치 수행, 환자 교육 등의 역할을 합니다. 또한 환자의 불안감 해소와 협조적인 태도 형성을 위해 심리적 지지도 제공해야 합니다. 수술 전 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과 함께 의료진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할 것입니다.
-
8. 수술 후 간호수술 후 간호는 수술 후 합병증 예방과 회복 촉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수술 후 간호 목표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회복을 돕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환자의 활력징후 및 상처 관찰, 통증 관리, 수액 및 배액관 관리, 조기 이동 및 운동 지도, 환자 교육 등의 역할을 합니다. 또한 환자의 불안감 해소와 회복 동기 부여를 위해 심리적 지지도 제공해야 합니다. 수술 후 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전문성 향상과 함께 의료진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요할 것입니다.
-
9. 합병증수술 후 합병증은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전부터 합병증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감염, 출혈, 혈전증, 신경손상, 관절 강직 등이 있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무균술 준수, 출혈 및 혈전 예방, 조기 재활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수술 후 합병증 관리를 위해서는 의료진 간의 긴밀한 협력과 환자 교육이 필수적일 것입니다.
-
10. 사례 연구사례 연구는 특정 질환이나 치료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데 유용합니다. 사례 연구를 통해 환자의 특성, 진단 과정, 치료 방법, 예후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사한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과 의사결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례 연구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나 기존 치료법의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사례 연구 수행 시 환자 정보 보호와 윤리적 고려가 필요하며,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
arthro shoulder 병태생리 정보1. 어깨 뼈 (shoulder bones) 어깨는 3개의 뼈(쇄골 clavicle, 견갑골 scapula, 상완골 humerus), 3개의 관절(흉쇄관절 sternoclavicular joint, 견봉쇄골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 견관절 shoulder joint), 12개의 인대 및 15개 이상의 근육을 포함하는 복합관절로 이루어...2025.01.17 · 의학/약학
-
케이스스터디 A+-방카르트 파열 및 수술(bankart lesion),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1. Bankart lesion(관절와순 파열) 어깨에는 어깨뼈와 팔뼈를 연결해주는 링 모양의 섬유연골조직, 관절와순이 있다. 관절와순은 평소 어깨나 팔이 움직일 때 근육과 관절막 등이 관절과 잘 부착되어있도록 도와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절와순이 파열될 경우 극심한 통증과 함께 어깨가 탈구되거나 팔을 움직이기 힘들어진다. 이때...2025.05.06 · 의학/약학
-
회전근개 파열 수술 사례 보고1. 회전근개 파열 회전근개란 어깨 관절 주위를 덮고 있는 4개의 근육인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가리킨다. 이 4개의 근육은 어깨 관절의 회전운동 및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들 4개의 근육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파열되어 팔과 어깨에 통증을 발생시키는 질환이 바로 '회전근개 파열'이다. 회전근개의 손상은 어깨 관절에 ...2025.01.12 · 의학/약학
-
수술실 회전근개파열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1. 회전근개파열 회전근개는 어깨의 표면에 위치한 삼각근의 내부에 있는 4개의 근육(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총칭하는 것으로, 어깨 관절의 회전운동을 담당한다. 회전근개의 파열은 어깨 관절의 운동 제한과 통증을 유발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2. 관절경 회전근개 봉합술 관절경 회전근개 봉합술은 어깨 관...2025.01.06 · 의학/약학
-
회전근개 손상 Rotator Cuff injury A+자료1. 회전근개 손상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네 개의 근육 및 건(힘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상완골의 대, 소결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의 퇴행성 변화, 부상 등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 힘줄이 끊어져 통증이 있고 팔을 움직이는 힘이 약해지는 것입니다. 2. 원인 회전근개 손상의 원인은 ...2025.05.08 · 의학/약학
-
수술실 간호_회전근개 봉합술(Rotator Cuff Repair) 수술과정 리포트1. 회전근개 봉합술 회전근개(Rotator Cuff)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4개의 힘줄로 팔의 회전운동에 관여하고 어깨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들 4개의 근육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파열되어 통증을 발생시키거나 외전을 불가능하게 한다면 회전근개 파열이라고 한다. 파열된 회전근개를 원상태로 붙이기 위해 회전근개 봉합술을 시행한다...2025.05.0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실습 A+] 교수님도 극찬한 꼼꼼함!! 수술실 실습 어깨 관절경 수술 케이스 스터디 17페이지
수술실 실습< 어깨 관절경 수술case study >과목담당 교수실습 병원실습 기간학교학번목 차1. 사례연구1) 수술 전 대상자 준비 확인2) 마취3) 수술4) 마취 후 회복 평가2. 참고문헌1. 사례연구1) 수술 전 대상자 준비 확인이 름성별/나이F/50진료과OS수술명Lt. shoulder arthroscopy(예정된 수술명)Lt. shoulder arthroscopic repair(시행 수술명)수술일자수술 전 진단명수술 후 진단명Lt. shoulder RCTLt. shoulder IST rupture의식수준? alert □ dr...2022.02.23· 17페이지 -
수술실 사례보고서 (케이스) - 견갑상신경 포착 증후군 (어깨 관절경 수술) 18페이지
수술실 사례보고서Arthroscopic decompression of shoulderSuprascapular nerve entrapment syndrome(견갑상신경 포착 증후군) - 관절경 수술? 목차 ?(1) 수술환자 기본사항(2) 수술 정보수술기구 및 장비수술 과정수술 중 간호(3) 회복실 간호수술 후 합병증수술 후 나타날 증상간호 중재 및 의학 중재(1) 수술환자 기본사항이름: ? ? ?성별: M연령: 58세진료과: O.S진단명: Suprascapular nerve entrapment syndrome (견갑상신경 포착 증후군...2021.01.29· 18페이지 -
생로병사의 비밀_인체의 구조 및 질환(어깨 수술편) 7페이지
TV 방송 생로병사의 비밀 중에인체의 구조 및 질환에 관한 프로그램TV 생로병사의 비밀 848회(2022.12.21.) : 불편한 어깨, 수술해야 할까?목 차Ⅰ. 개요 --------------------------------------------------------------------------------- 1PⅡ. 본론 ----------------------------------------------------------------------------------- 1P⑴ 관련된 어깨의 구조⑵ 어깨 관련 질환⑶ 어깨 관련 ...2023.11.24· 7페이지 -
A+ 어깨 관절염 케이스입니다! 42페이지
목 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목적) --------------------------------------------- p. 12. 문헌고찰 ------------------------------------------------------- p. 1~81) 질병의 정의 ---------------------------------------------------- p. 12) 해부학적 구조·기능 -------------------------------------------- p. 1~33) 병리 -------------------...2024.01.05· 42페이지 -
정형외과 간호사 견관절(어깨)질환의 이해 11페이지
정형외과 간호사견관절(어깨)질환에 대한 이해[ 목 차 ]Ⅰ. 견관절의 구조Ⅱ. 이학적 검사(physical examination)Ⅲ. 진단 및 치료Ⅳ. 재활물리치료 종류[ 견관절 Shoulder ]검사 : Rt/Lt shoulder series(AP,Axillary LAT,Caudal tilt view,Supraspinatus outlet)and USG or MRI checkⅠ. 견관절의 구조중요한 관절 4개 관절을 기억해 두자.1. 흉쇄관절(sternoclavicular joint)2. 견쇄관절(acromioclavicular j...2021.07.06·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