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진통 산부 간호에 대한 비판적 사고
본 내용은
"
조기진통 산부 간호에 대한 비판적 사고(우선순위4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18
문서 내 토픽
  • 1. 조기진통의 정의와 유발요인
    조기진통의 정의는 임신 20주에서 37주 사이에 자궁의 수축과 함께 산모의 자궁경부가 짧아지고, 자궁경부의 확장이 동반된 상태를 말한다. 조기진통의 유발요인으로는 산모측 요인(연령, 흡연, 스트레스, 피로, 당뇨, 고혈압, 감염 등)과 태아측 요인(태아 기형) 등이 있다.
  • 2. 김00 산부의 산과력
    김00 산부의 산과력은 다음과 같다: T(term birth) : 0, P(preterm birth) : 0, A(abortion) : 1, L(living baby) : 0
  • 3. 김00 산부의 조기분만 위험요소
    김00 산부의 조기분만 위험요소는 연령(40세 이상), 산과적 과거력(유산력), 현재 산과적 요인(32주 경관 1cm 이상 개대) 등이다.
  • 4. 간호사의 사정
    간호사는 김00 산부의 활력징후(10~15분 간격, 빈맥 또는 저혈압 시 의사 보고), 혈액검사(3~6시간마다 혈당, 칼륨, 나트륨, 혈색소 수치 사정), 지속적인 임부 및 태아 사정(NST, 폐 성숙), 조기파수 및 제대탈출 유무 확인 등을 해야 한다.
  • 5. 황산마그네슘 투여 시 사정사항
    황산마그네슘 투여 중 간호사가 사정해야 할 중요한 증상은 호흡수(12~14회 이하 시 투여 중단), 심부건반사 소실(투여 중단), I&O(25ml/hr 이하 시 독성 위험), 중추신경계 반응(불안, 기면, 운동실조증 등) 등이다.
  • 6. 조기진통 관리를 위한 약물
    조기진통 관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는 리도트린(자궁 수축력 감소), 황산마그네슘(자궁 수축력 감소), 아토시반(옥시토신 길항제), 스테로이드(태아 폐성숙 촉진) 등이 있다.
  • 7. 조기진통 관리를 위한 약물 투여 전제조건
    조기진통 관리를 위한 약물 투여 전제조건은 양수 파막이 되지 않았을 것, 태아가 생존력이 있을 것, 태아 질식 증세가 없을 것, 임상검사에서 임신을 지속할 수 없는 이상이 없을 것, 임부가 지시를 잘 이행할 수 있을 것, 경관개대 4cm 이하, 경관소실 50% 이하일 것, 자궁수축이 20분에 3~4회 정도로 강하지 않을 것 등이다.
  • 8. 김00 산부에 대한 간호중재 우선순위와 이론적 근거
    1. EFM(외부태아감시기)를 적용하여 태아 질식 증세와 태아 생존력 여부를 확인한다. 2. IV를 시작하고 magnesium sulfate 투여를 시작한다. 자궁수축을 억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므로 약물 투여를 먼저 시작한다. 3. Betamethasone을 IM으로 투여하여 태아 폐 성숙을 촉진한다. 4. 침상안정의 필요성과 다른 간호중재에 대해 교육한다. 자궁수축 자극을 줄이고 magnesium sulfate 투여로 인한 독성반응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 9. 제태기간 22주 시 간호중재
    제태기간이 22주라면 다음과 같은 간호중재가 필요할 수 있다: Group B streptococous 검사 실시 및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 투여, 태아 폐 성숙을 위한 스테로이드 투여(34주까지), 안정과 수액 치료로 조기진통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 자궁수축억제제 투여, 자궁경부무력증 관련 소견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결찰술 시행 등.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조기진통의 정의와 유발요인
    조기진통은 임신 37주 미만에 자궁수축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조기진통의 유발요인으로는 감염, 자궁 내 감염, 자궁 내 출혈, 자궁 내 스트레스, 다태임신, 자궁 기형, 자궁 경부 무력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자궁 수축을 유발하여 조기진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부의 건강 상태와 위험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김00 산부의 산과력
    김00 산부의 산과력을 살펴보면, 이번이 첫 임신이며 임신 기간은 22주입니다. 이전에 다른 임신 경험이 없으므로 초산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임신 22주라는 시기는 조기진통의 위험이 높은 시기이므로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초산모인 만큼 임신과 출산에 대한 교육과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김00 산부의 조기분만 위험요소
    김00 산부의 조기분만 위험요소로는 임신 22주라는 조기 임신 시기, 초산모라는 점, 그리고 조기진통이 발생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임신 22주는 조기진통의 위험이 높은 시기이며, 초산모인 경우 임신과 출산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여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 조기진통이 발생했다는 점은 조기분만의 직접적인 위험 요인이 되므로 면밀한 관찰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간호사의 사정
    간호사는 김00 산부의 조기진통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사정을 수행해야 합니다. 첫째, 산모의 자궁 수축 양상, 자궁 경부 변화, 양막 파수 여부 등 산모의 임상 증상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둘째, 태아의 심박동, 태동, 자궁 내 성장 등 태아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셋째, 산모의 활력징후, 체온, 검사 결과 등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넷째, 산모의 과거력, 현재 상황, 위험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사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조기진통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계획할 수 있습니다.
  • 5. 황산마그네슘 투여 시 사정사항
    황산마그네슘은 조기진통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황산마그네슘 투여 시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사정해야 합니다. 첫째, 산모의 활력징후, 특히 혈압과 호흡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황산마그네슘은 혈압 강하 및 호흡 억제 등의 부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산모의 반응과 부작용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셋째, 태아의 심박동과 태동 등 태아 상태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넷째, 투여량, 투여 속도, 투여 경로 등 약물 투여 관련 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안전한 약물 투여와 부작용 예방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6. 조기진통 관리를 위한 약물
    조기진통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주요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궁 수축 억제제인 베타-아드레날린성 작용제(ritodrine, terbutaline 등)가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자궁 수축을 억제하여 조기진통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둘째, 코르티코스테로이드(betamethasone, dexamethasone 등)가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태아 폐 성숙을 촉진하여 조기 출생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셋째, 항생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감염성 조기진통을 치료하기 위함입니다. 이 외에도 마그네슘 제제, 자궁 이완제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7. 조기진통 관리를 위한 약물 투여 전제조건
    조기진통 관리를 위한 약물 투여 전에는 다음과 같은 전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첫째, 임신 기간이 적절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임신 24-34주 사이에 약물 투여가 고려됩니다. 둘째, 조기진통의 원인이 명확해야 합니다. 감염, 출혈, 다태임신 등 유발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치료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셋째, 태아의 상태가 양호해야 합니다. 태아 곤란 징후가 없어야 약물 투여가 가능합니다. 넷째, 산모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안정적이어야 합니다. 활력징후, 검사 결과 등이 정상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어야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 투여가 가능합니다.
  • 8. 김00 산부에 대한 간호중재 우선순위와 이론적 근거
    김00 산부에 대한 간호중재의 우선순위와 이론적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조기진통 관리를 위한 약물 투여가 가장 시급한 중재입니다. 자궁 수축 억제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는 조기진통을 지연시키고 태아 폐 성숙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Neuman's Systems Model). 둘째, 산모와 태아의 상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활력징후, 자궁 수축, 태아 심박동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위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Orem's Self-Care Deficit Theory). 셋째, 산모 교육과 상담이 중요합니다. 임신과 출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불안감을 해소하여 산모의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9. 제태기간 22주 시 간호중재
    제태기간 22주의 김00 산부에게 필요한 간호중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조기진통 관리를 위한 약물 투여가 가장 시급합니다. 베타-아드레날린성 작용제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를 통해 자궁 수축을 억제하고 태아 폐 성숙을 촉진해야 합니다. 둘째,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자궁 수축, 자궁 경부 변화, 태아 심박동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위험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해야 합니다. 셋째, 산모 교육과 상담을 통해 불안감을 해소하고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임신과 출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산모의 요구사항을 경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