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내부평가와 외부평가, 프로그램 평가와 기관평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본 내용은
"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내부평가와 외부평가, 프로그램 평가와 기관평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7
문서 내 토픽
  • 1.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내부평가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운영을 담당하는 사람, 또는 동일 조직 내의 다른 조직구성원이 실시하는 평가를 의미하며 자체평가라고도 한다. 내부평가의 목적은 평가를 통해 얻은 정보를 조직 내에 환류함으로써 조직운영이나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것이다. 외부평가는 프로그램 수행주체가 아닌 외부의 제3자가 행하는 평가를 의미하며, 주로 조사연구기관이나 대학, 정부에서 위탁받은 연구팀 등이 수행한다. 외부평가의 목적은 내부평가와 동일하지만 평가결과가 외부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 2. 프로그램 평가와 기관평가
    기관평가의 경우에는 조직 자체의 효과성이나 목표달성 여부가 초점이 되는 반면,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 등에 관심이 있다. 사회복지기관의 경우에는 기관의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평가에 초점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 3.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형성평가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수행하는 도중에 실시되는 평가로, 프로그램의 개선과 개발에 목적이 있다. 총괄평가는 프로그램이 종결된 후에 실시되며, 프로그램의 성과와 비용에 평가의 초점이 있다. 즉,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효율성 평가에 역점을 두는 것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내부평가와 외부평가는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내부평가는 조직 내부의 전문성과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므로 실질적인 문제 진단과 개선방안 도출이 용이합니다. 하지만 객관성과 공정성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반면 외부평가는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므로 객관성과 공정성이 높지만, 조직 내부의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부평가와 외부평가를 적절히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실질적인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프로그램 평가와 기관평가
    프로그램 평가와 기관평가는 각각 다른 목적과 접근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평가는 특정 프로그램의 효과성, 효율성,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반면 기관평가는 전체 기관의 운영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합니다.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기관 전체의 성과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관평가는 기관 전체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개선방안 도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 평가와 기관평가를 적절히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개선과 기관 전체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는 평가 시점과 목적에 따라 구분됩니다. 형성평가는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실시되어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반면 총괄평가는 프로그램 종료 후 실시되어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성과와 효과성을 평가합니다. 형성평가는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지만, 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어렵습니다. 총괄평가는 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지만,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를 적절히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개선과 성과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