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내과 daily case report
본 내용은
"
심장내과 daily case repor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1
문서 내 토픽
-
1. Atrioventricular block, second degree70세 여성 환자로, 2도 방실차단과 2:1 방실차단 진단을 받고 영구 심박동기 삽입술을 위해 입원했습니다. 환자는 과거력으로 우측 어깨 수술, 좌측 손목 골절 수술, 심실 전도 이상, 골관절염 등이 있었습니다. 입원 기간 동안 환자의 활력징후와 의식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심박동기 삽입술 후 심박수가 정상화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수술 부위 통증과 발열 등의 합병증이 발생했지만 적절한 간호 중재로 호전되었습니다. 환자는 입원 생활과 수술 전후 주의사항에 대한 교육을 받았습니다.
-
1. Atrioventricular block, second degreeAtrioventricular (AV) block, second degree is a cardiac conduction disorder in which some, but not all, atrial impulses are conducted to the ventricles. This condition is characterized by a progressive delay in the conduction of electrical impulses from the atria to the ventricles, resulting in an irregular heart rhythm. In second-degree AV block, there is a partial blockage of the electrical signals between the atria and ventricles, causing some atrial contractions to be conducted to the ventricles while others are not. This can lead to a slower heart rate and an irregular heartbeat, as the ventricles do not receive a consistent number of impulses from the atria. There are two main types of second-degree AV block: Mobitz type I (Wenckebach) and Mobitz type II. In Mobitz type I, the PR interval (the time between the atrial and ventricular contractions) gradually lengthens until a ventricular contraction is dropped, resulting in a pause in the heartbeat. In Mobitz type II, the PR interval remains constant, and the dropped ventricular contractions occur in a more unpredictable pattern. The causes of second-degree AV block can include ischemic heart disease, myocardial infarction, congenital heart defects, electrolyte imbalances, and certain medications. Symptoms may include dizziness, fatigue, syncope (fainting), and palpitations. Management of second-degree AV block depends on the underlying cause and the severity of the condition. In some cases, no treatment may be necessary, and the condition may be monitored. In more severe cases, a pacemaker may be required to maintain a regular heart rhythm and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heart failure or sudden cardiac death. Overall,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and management of second-degree AV block is crucia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to provide appropriate care and prevent potential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his cardiac conduction disorder.
-
성인간호학 실습 대퇴골절(고관절) 사례연구 case <간호과정-간호진단3개> 9페이지
CASE STUDY◎ 사례환자의 질환 연구 :fracture of other parts of neck of femur, closed이론(책으로 공부한 내용)실제 환자에게 관찰한 내용1. 원인 및 병태생리대퇴경부란 많은사람들이 잘 알고있는 고관절부위이며, 골반과 이어지는 대퇴골의 가장 윗부분이다.대퇴경부(고관절)골절의 대부분의 원인은 골다공증이 있는 고령의 여자에게서 미끄러짐, 낙상 등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 넘어지면서 대퇴골의 대전자 부위에 직접적인 충격이 가거나, 다리가 밖으로 돌면서 대퇴 경부의 후방부위가 비구에 부딪히면서 발생...2022.05.22· 9페이지 -
R실습!!!무조건A+!!! 충수돌기염 Appendicitis (간호진단, 간호과정 7개!!!!), 충수돌기염 (병인론) + 수술과정(피부준비,체위,봉합기구,침,수술방법 및 절차,수술 중 활력징후,마취형태,마취약물/간호중재, 회복실에서의 간호)!!모든게 다 있습니다!!수술실 실습이라면 무조건 구매추천!! 46페이지
REPORT과 목 :성인간호학실습 Ⅳ담 당 교 수 :제 출 일 자 :전 공 :간호학과이 름/학 번 :목 차[Case Study 1]1[Daily 일지]22[Case Study 1]1. 간호력(Nsg. Hx)이름(Name)병실(Ward)나이(Age)10성(Sex)F결혼 여부미혼교육 정도입원일시진료과GS수술일시과거력 : 소아류마티스의증가족력 : 외조모 (설암), 친조부 (심장질환), 외조부 (HTN)진단명(수술 전) : Acute appendicitis, other and unspecified (급성 충수염, 기타 및 상세불명)진단명(...2023.09.07· 46페이지 -
[A+++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 NSTEMI ] 많은 정보, 문헌고찰, 케이스 환자 대입 34페이지
Report제목(진단명) : NSTEMI과제물 제출 전 자가 체크리스트1. 인용한 모든 자료(책⋅논문⋅인터넷자료 등)의 인용표시를 하였다. ◼2. 과제물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거나 구매하여 제출하지 않았다. ◼3. 이 과제물과 동일한 내용을 다른 교과목의 과제물로 제출한 적이 없다. ◼과 목 명성인간호학실습Ⅰ학번 / 성명실습기관 및 병동실습기간학년/분반/ 조제 출 일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우리 지금 사회의 생활 문화나(술, 담배) 식생활 습관의 변화로 인해 최근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으로 인해 심혈관 순...2020.07.16· 34페이지 -
급성 호흡 부전 case study, ARF, acute respiratory failure, 간호 과정, 진단, 케이스, 성인 간호 실습 , A+ 받았습니다. 9페이지
성인간호실습CASE STUDY[ 급성 호흡 부전, Acute respiratory failure , type 1 (hypoxic) ]▶ 목차 ◀1. 일반적 정보, 진단명, 주호소, 현병력, 과거력, ROS, 사회력2. V/S3. mentality4. 적용중인 의료 및 간호기구/장치5. 간호사 인수인계 사항6. 주관적 호소, 관찰 사항, 간호7. 식이8. I/O9. 약물10. 검사 및 시술11. lab12. 협진 및 타부서 의뢰사항13. 간호 사정, 진단, 우선 순위 설정 근거일반적 정보이름: 생략 나이:80Y 성별 : M입원날짜 :...2017.08.30·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