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염, 2도 방실차단, 영구심박동기 VVI 성인간호 케이스 보고서
본 내용은
"
심근염, 2도 방실차단, 영구심박동기 VVI 성인간호 케이스 보고서(간호진단3개,간호과정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1
문서 내 토픽
  • 1. 심근염
    45세 남자 회사원이 발열, 현훈, 경한 호흡곤란으로 입원했습니다. 심전도상 1도 방실차단, 완전 방실차단, 완전 우각차단, 심방조동 등이 나타났고 심한 서맥(38/min)도 동반되었습니다. 심근염 및 부정맥으로 진단받고 소염제, 교감신경자극제 등으로 치료하여 증상이 호전되었습니다.
  • 2. 2도 방실차단
    20년 3월 계단을 오르다가 갑자기 심한 쇠약감이 생겨 입원했습니다. 2도 방실차단에 심실박동수(33/min)이었고 교감신경 자극제를 투여하여 심박동수를 정상으로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퇴원 후 자주 전신 쇠약감이 나타나 21년 7월 영구 심박동기 시술을 받았습니다.
  • 3. 영구심박동기 VVI
    영구 심박동기는 우측 대흉근 부위에 삽입되었고 전극은 우측 쇄골하 정맥을 통해 우심실 첨부에 위치하도록 하였습니다. Mode는 VVI(Ventricular stimulation, ventricular sensing Inhibitory type)이었습니다. 심박동기 삽입 후 심장 리듬의 이상이나 감염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관리되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심근염
    심근염은 심장근육의 염증성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감염, 자가면역 질환, 독성 물질 노출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근염 환자는 흉통, 호흡곤란, 부정맥 등의 증상을 경험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 증상 관리, 심장 기능 보존 등이 있습니다. 심근염 환자는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재발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심근염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환자와 의료진의 긴밀한 협력이 치료 성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2. 2도 방실차단
    2도 방실차단은 심장의 전도 장애로, 방실 결절을 통과하는 전기 신호가 부분적으로 차단되는 상태입니다. 이로 인해 심실 수축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며, 증상으로는 어지러움, 실신, 피로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도 방실차단은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영구적인 심박동기 삽입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원인 질환 치료, 약물 조절, 심박동기 삽입 등이 있습니다. 2도 방실차단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생활 습관 관리와 함께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합니다.
  • 3. 영구심박동기 VVI
    영구심박동기 VVI는 심장의 전도 장애나 부정맥 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의료 기기입니다. VVI 모드는 심실 수축만을 감지하고 자극하는 방식으로, 심방 수축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 모드는 심방 부정맥이 있거나 심방 수축이 약한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영구심박동기 삽입술은 심각한 부정맥이나 전도 장애 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 방법이며, 삶의 질 향상과 생명 연장에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삽입 과정에서의 합병증 위험, 배터리 수명 제한, 전자기기 간섭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