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BG 관상동맥우회술
본 내용은
"
CABG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7
문서 내 토픽
-
1. 심장의 위치성인의 심장무게는 남자는 약 300~350g이며 여자는 약 250~300g으로 체중의 0.5%를 차지한다. 대략 원추형으로 넓이 9cm, 길이 12cm이다. 심장은 종격동(mediastinum)에서 제 2늑골과 제 6늑골 사이에 위치한다. 심장은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1/3은 우측에 2/3은 좌측에 존재하며, 위쪽이 넓고 아래쪽에 심첨이 위치한다.
-
2. 혈액순환폐순환을 통해 산화되지 않은 혈액이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흘러가며 점차적으로 작은 동맥과 세동맥들을 통해 폐의 모세혈관으로 흘러간다. 산화된 혈액은 세정맥과 정맥을 통하여 폐정맥으로 돌아온 후 좌심방으로 간다. 전신순환을 통해 대동맥은 신체의 각 기관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들로 세분된다. 관상동맥순환을 통해 심방실을 통해 흐르는 혈액은 심근세포에 산소나 기타 영양소들을 공급한다.
-
3. 관상동맥우회술(CABG)관상동맥우회술은 협착이나 막힌 관상동맥으로 인하여 혈액공급이 감소된 심근에 환자의 동맥이나 정맥 혈관을 이용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주는 심근 재혈관화수술 방법이다. 적용대상은 좌측 주관상동맥(LMCA)이 50% 이상의 협착을 보이거나 좌우 관상동맥의 주요 혈관 3개에 70% 이상 협착이 있는 경우, 협착 부위가 긴 경우, 심장기능이 감소되어 있는 환자 등이다. 수술 전 간호, 수술 방법, 수술 후 간호 등이 제공된다.
-
4. 수술 전 간호과거력을 파악하고, 수술 전 임상 병리 검사를 시행한다. 수술 시 기타 동의서를 받고, 자정부터 금식하도록 교육한다. 시술 부위 Shaving 후 marking하고 CHXG를 시행한다. 오른쪽 팔에 18G IV line을 확보한다. 보호자가 상주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필요시 ENT, DENT, EYE에 consult 요청한다. 수술 전 대상자 교육, 부종과 호흡곤란 관리, 약물 관리 등이 이루어진다.
-
5. 수술 후 간호심맥관 상태 파악 및 안정을 위한 간호, 호흡 증진을 위한 간호, 수액, 영양,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간호 등이 제공된다. 활력징후, 정맥압과 폐모세혈관압 측정, 심전도 측정, 인공호흡기 적용, 기도 내 분비물 제거, 배액 관리, 수액 공급 및 수혈, 염분제한 식이 제공, 요배설 관찰 등의 간호가 이루어진다.
-
6. 수술 방법전신마취 하에 중앙흉골절개술로 심장을 노출시킨 후 관상동맥우회술을 실시한다. 주로 내흉동맥, 요골동맥, 위 대망동맥, 하지의 복재동맥 등이 사용된다. On-pump CABG와 Off-pump CABG 두 가지 방법이 있다. On-pump CABG는 인공심폐기를 이용하고, Off-pump CABG는 심장의 거상과 고정을 이용한다.
-
7. 적용대상좌측 주관상동맥(LMCA)이 50% 이상의 협착을 보이거나 좌우 관상동맥의 주요 혈관 3개에 70% 이상 협착이 있는 경우, 협착 부위가 긴 경우, 심장기능이 감소되어 있는 환자 등이 적용대상이다. 또한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급성 심근경색증, 심근경색 후 협심증 등의 경우에도 CABG가 적용될 수 있다.
-
8. 금기증폐동맥 고혈압을 동반한 만성 심부전증,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EF : 20% 이하) 등이 CABG의 금기증이다.
-
1. 심장의 위치심장은 흉강 내에 위치하며, 정확히는 흉곽 중앙부에 있습니다. 심장은 폐 사이에 위치하며, 앞쪽으로는 흉골, 뒤쪽으로는 척추에 인접해 있습니다. 심장의 위치는 개인차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흉골 중앙부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심장의 위치는 호흡 시 약간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체위에 따라서도 약간의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심장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심장 관련 질환 진단 및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2. 혈액순환혈액순환은 심장이 펌프 역할을 하여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고 다시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산소와 영양분이 온몸으로 공급되고 노폐물이 제거됩니다. 혈액순환은 크게 폐순환과 전신순환으로 나뉩니다. 폐순환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폐로 가서 산소를 공급받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과정이며, 전신순환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온몸으로 공급되고 노폐물이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과정입니다. 이러한 혈액순환 과정은 우리 몸의 생명유지에 필수적이며, 순환 장애 시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관상동맥우회술(CABG)관상동맥우회술(CABG)은 관상동맥 질환 치료를 위한 수술 방법입니다. 관상동맥이 협착되거나 막혀 있는 경우, 다른 혈관을 이용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하는 수술입니다. 주로 환자의 다리나 가슴 내부에서 혈관을 채취하여 막힌 관상동맥 부위에 연결합니다. 이를 통해 심장으로 가는 혈액 공급을 개선하여 심장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CABG는 관상동맥 질환의 표준 치료법 중 하나로, 약물 치료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에 비해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4. 수술 전 간호수술 전 간호는 수술을 받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필요한 검사와 처치를 수행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수술 과정과 주의사항을 충분히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전 금식, 피부 준비, 투약 관리 등의 실제적인 간호 활동도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하고, 수술 후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전 간호는 환자 안전과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수술 후 간호수술 후 간호는 수술 후 환자의 회복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후 환자의 활력징후, 출혈, 통증, 감염 등을 면밀히 관찰하고 관리합니다. 또한 수술 부위 관리, 배액관 관리, 수액 및 영양 공급, 운동 및 휴식 등의 간호 중재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도모하고 합병증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심장 수술 환자의 경우 호흡기 관리, 심혈관 기능 모니터링 등 전문적인 간호가 필요합니다. 수술 후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6. 수술 방법관상동맥우회술(CABG)은 크게 개흉 수술과 최소 침습 수술로 나뉩니다. 개흉 수술은 흉골을 절개하여 심장에 직접 접근하는 방식이며, 최소 침습 수술은 작은 절개창을 통해 수술하는 방식입니다. 개흉 수술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술 경험이 풍부한 의사에 의해 주로 시행되며, 최소 침습 수술은 최근 발전한 기술로 수술 시간과 회복 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술 방법 선택 시 환자의 상태, 병변 정도, 의사의 수술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 방법에 따라 수술 과정, 회복 과정, 합병증 발생률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7. 적용대상관상동맥우회술(CABG)은 주로 관상동맥 질환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구체적으로는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해 심장으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환자들이 대상이 됩니다. 또한 약물 치료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로 증상 호전이 어려운 경우에도 CABG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혈관 질환, 좌주간지 협착, 당뇨병 등 고위험 환자에게 CABG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령, 신장 기능 저하, 말초혈관 질환 등 수술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CABG 적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ABG 적용 대상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심장 질환 정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
8. 금기증관상동맥우회술(CABG)에는 몇 가지 금기증이 있습니다. 첫째, 심각한 심장 기능 저하로 수술 위험이 높은 경우입니다. 둘째, 말기 신부전, 간경화 등 다른 장기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된 경우입니다. 셋째, 최근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넷째, 심각한 말초혈관 질환이 있는 경우입니다. 다섯째, 심각한 폐 질환이나 호흡 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입니다. 여섯째, 수술에 대한 환자의 거부감이 강한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CABG 수술의 위험성이 높아 다른 치료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CABG 수술 적용 시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수술 위험도를 면밀히 평가해야 합니다.
-
관상동맥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레포트1. 관상동맥우회술 (CABG) 관상동맥우회술은 관상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발생한 협심증 및 심근경색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입니다. 좁아진 관상동맥에 환자의 다른 혈관을 이용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심장근육으로 흐르는 혈류를 개선시키는 수술입니다. 장기적으로 우수한 개통률과 생존률을 보이며, 재수술 및 합병증 발생률이 낮아 표준 치료로...2025.04.27 · 의학/약학
-
CCU daily note, 실습노트, A+자료1. CABG(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관상동맥 우회술) CABG는 개흉을 하여 수술하는 외과적 중재방법으로, 협착이나 막힌 관상동맥으로 인하여 혈액공급이 감소된 심근에 환자의 동맥이나 정맥혈관을 이용하여 우회로를 만들어 주는 심근 재혈관화수술 방법입니다. 수술 전에 정확한 병소와 협착부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상동맥 조영술이 시...2025.05.07 · 의학/약학
-
CABG (STEMI) case study 간호 실습 케이스 스터디1.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MI)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MI)은 관상동맥 질환(CAD, coronary artery disease)으로 인해 심근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심근이 요구하는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심근에 국소 빈혈을 초래하는 질환이다...2025.01.21 · 의학/약학
-
A+받음! 성인간호학실습 CABG 수술실 사례연구보고서1. Acute MI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중의 하나이다.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 막(fibrous cap)이 생기는데, 이 섬유성 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2025.04.30 · 의학/약학
-
A+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CABG case1. 협심증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동맥경화증으로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서 발생하는 데 비해, 협심증은 어느 정도의 혈류가 유지되기 때문에 주로 심장 근육의 산소 요구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불안정형 협심증은 만성적으로 진행된 안정형 협심증과 급성 심근경색의 중간 단계에 위치한 ...2025.01.1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A+ 우회술(bypass) (진단명, 수술명, 마취종류, 수술체위, 피부소독부위, 수술시간, 수술 참관 소감)1. NSTEMI (비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NSTEMI는 비 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을 의미합니다. 이는 관상동맥이 급성으로 막혀 심장 근육의 일부가 괴사되는 질환입니다. 심전도 검사에서 ST분절 상승이 나타나지 않지만, 심근효소 검사에서 상승이 확인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흉통, 호흡곤란, 불안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심전도, 심근효소 검사, ...2025.05.14 · 의학/약학
-
CABG 관상동맥우회술 케이스스터디 37페이지
CABG관상동맥우회술목차I.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사례로 선택한 동기 1II. 본론1. 간호과정 21) 자료수집2. 질병에 대한 기술 61) 관상동맥이란?2) 관상동맥 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3. 투약84. 주요 치료 과정 (Dr oder 참조) 135. 치료 및 검사 166. 간호문제 목록 277. 간호과정기록지33참고문헌 35I.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심장 근육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의 꾸준한 공급이 필요하다.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관상동맥이 이러한 혈액...2022.12.07· 37페이지 -
성인간호학 심근경색/홀터검사/관상동맥우회술(CABG) 문헌고찰 7페이지
심근경색/홀터검사/관상동맥우회술(CABG) 문헌고찰목차Ⅰ. 심근경색 문헌고찰정의병태생리증상 및 징후진단 및 치료가능한 간호진단목록Ⅱ. 홀터검사 문헌고찰정의목적 및 적응증방법검사 전 간호가능한 간호진단목록Ⅲ. 관상동맥 우회술 문헌고찰목적적응증방법시술전∙후 간호가능한 간호진단목록Ⅳ. 참고문헌심근경색/홀터검사/관상동맥우회술(CABG)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심근경색은 허혈심장질환(IHD)에 포함된 질병으로, 허혈심장질환은 심장동맥질환(CAD)라 불리며 심근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2023.11.26· 7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CABG(관상동맥우회술)에 관한 수술과정/수술기록, 간호진단, 간호중재 리포트 3페이지
수술 간호 기록지(CS / CABG / 관상동맥우회술)수술 중 간호기록마취종류 : ? 전신마취 □ 국소마취 □ 기타수 술 체 위 : ? Supine□ Prone □ Lithotomy□ Jack-knife□ Rt. Lateral □ Lt. Lateral □ 기타수술부위 표시: □ 무 ? 유ESU(electric surgical unit) plate : □ 아니오 ? 예수술과정 (수술과 관련된 해부구조를 그림을 첨부하여 설명-시간적 순서대로 기술) :환자는 앙와위를 취하고 전신마취를 시행한 후 수술부위를 마킹한다. 수술부위를 소독한 후...2022.11.09· 3페이지 -
[A+] 관상동맥 우회술에 관한 수술 전 간호 5페이지
관상동맥 우회술에 관한 수술 전 간호기초개념▶ 관상동맥 우회술(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부분적으로 막힌 관상동맥의 일부분을 대신하여 다른 혈관으로 우회하는 길을 만들어 심장에 원활히 혈액을 보낼 수 있게 하는 수술- 좁아진 혈관이 공급하던 심근의 허혈 등을 해소할 수 있다.▶ 고혈압이란? 고혈압이란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를 말한다.▶ 울혈성 심부전이란?- 울혈성 심부전이란 혈액을 짜주는 심장의 기능 저하로 신체 각 조직에 필요한 ...2021.01.05· 5페이지 -
성인간호학 수술실 CABG 관상동맥우회술 CASE STUDY A+++받은 자료입니다. 14페이지
CABG(관상동맥우회술)- Unstable Angina(불안정형 협심증) -실습교과목담당교수님실습기관실습부서실습기간학번반이름목 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12. 해당 질환에 대한 통계적인 자료 1Ⅱ. 본론A. 문헌고찰2B. 사례연구 5C. 중환자실 기록지 11Ⅲ. 참고문헌12Ⅰ. 서론1. 대상자 선정 이유협심증은 심장혈관센터 병동 환자의 50%를 차지하는 흔한 질환 중 하나이다. 그만큼 협심증에 대한 간호와 치료에 대한 임상적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번 Case Study를 통하여 협심증과 CABG에 대하여 많은 지식을 습득하고 ...2022.02.09·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