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도뇨관 제거 후 배뇨장애 간호진단 및 중재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배뇨장애 간호진단. (유치도뇨관 제거와 관련된 배뇨장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4
문서 내 토픽
-
1. 배뇨장애(Urinary Dysfunction)유치도뇨관 자가제거 후 발생한 배뇨곤란으로, 환자는 오전 8시 500ml 배뇨 이후 배뇨 불능 상태를 보임. 하복부 불편감 호소 및 배뇨 시도 시 배뇨 불가 관찰됨. 활력징후는 정상 범위 유지. 약물 투여(하루날디) 후에도 개선 없어 foley catheter 재삽입(16Fr, 11/8 1:00) 시행. 삽입 후 시간당 소변량 측정으로 배뇨 상태 모니터링 중.
-
2. 유치도뇨관(Foley Catheter) 관리환자에게 foley catheter 삽입 후 소변백 관리 교육 실시. 소변백은 항상 아래로 향하게 유지하고 바닥에 닿지 않도록 주의. 이동 시 줄이 꼬이지 않도록 관리. 삽입 후 시간당 소변량 측정(11/8 5:00 1200ml, 13:00 1000ml, 21:00 1600ml)으로 배뇨 상태 지속적 평가. 이차적 감염 예방을 위한 위생 관리 필수.
-
3. 배뇨장애 약물치료(Pharmacological Treatment)배뇨장애 치료를 위해 하루날디(tamsulosin hcl) 0.2mg 경구 투여. 약물은 방광 및 요도 근육에 작용하는 알파차단제로 배뇨 촉진 목적. 부작용으로 어지러움, 두통, 졸음, 신경과민, 불면,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 위장장애, 코막힘, 부종, 성기능장애 등 가능. 본 환자는 약물 투여 후에도 배뇨 개선 없어 foley catheter 재삽입 결정.
-
4. 간호사정 및 모니터링(Nursing Assessment)주기적 활력징후 측정으로 환자의 기본 건강 상태 평가. 배뇨양상을 1시간 간격으로 사정하여 배뇨 상태 변화 관찰. 11/6 21:00 636ml, 11/7 8:00 500ml 배뇨 후 배뇨 불능 상태 확인. 하복부 불편감 호소 및 배뇨 시도 시 배뇨 불가 관찰. 의사에게 즉시 보고하여 적절한 의료 중재 시행.
-
1. 배뇨장애(Urinary Dysfunction)배뇨장애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복합적인 임상 문제로,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신경학적 손상, 전립선 질환, 요로감염 등 다양한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의 첫 단계입니다. 배뇨장애는 단순한 증상이 아니라 기저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진단과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환자 개인의 상황과 선호도를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중요하며, 약물치료, 행동치료, 기계적 중재 등 다층적인 치료 전략이 필요합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2. 유치도뇨관(Foley Catheter) 관리유치도뇨관은 배뇨장애 환자에게 필수적인 의료기구이지만, 감염, 폐색, 손상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어 신중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무균 삽입 기술, 정기적인 소독, 적절한 고정 및 배액 관리가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도뇨관 유지 기간을 최소화하고 필요시 정기적으로 제거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 교육과 가족 참여를 통해 자가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합병증 감소와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집니다. 장기 유치도뇨관 사용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임상 평가와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
3. 배뇨장애 약물치료(Pharmacological Treatment)배뇨장애의 약물치료는 원인과 증상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항콜린제, 알파차단제, 5-알파환원효소억제제 등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각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환자의 전신 상태, 동반 질환, 복용 중인 다른 약물을 고려한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약물 반응은 개인차가 크므로 치료 초기에 충분한 모니터링과 용량 조절이 중요합니다. 약물치료의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 다른 치료 방법과의 병합 사용을 고려해야 하며,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치료 계획을 조정해야 합니다.
-
4. 간호사정 및 모니터링(Nursing Assessment)간호사정은 배뇨장애 환자의 전체적인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계획하기 위한 기초입니다. 배뇨 양상, 증상의 특성, 신체 검진, 요검사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문제를 정확히 규명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치료 반응을 평가하고 합병증 발생 여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심리사회적 상태, 자가 관리 능력, 가족 지지 체계도 함께 사정하여 전인적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재사정과 기록을 통해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간호계획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성인실습 장폐색(ileus) 근거기반 간호과정 보고서1. 장폐색(Ileus)의 임상 특성 및 진단 70세 남성 환자가 복부불편감으로 내원하여 10일간 배변 불가, 구토, 복부통증 호소. 조영제 CT 검사 결과 우측 하복부의 bezoar를 동반한 기계적 소장폐색 및 우측 상복부 소장의 분절성 벽 비후 관찰됨. 환자는 enterotomy 및 bezoar 제거술 시행 후 급성신부전, 고혈압, 저산소혈증 등 합병증...2025.11.14 · 의학/약학
-
전신마취와 관련된 배뇨장애/간호과정/간호진단1. 전신마취와 관련된 배뇨장애 전신마취 후 대상자의 경우 방광이 팽창해도 요의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이때 간호사는 복부촉진과 타진을 통해 방광팽창을 사정할 수 있다. 전신 마취하에 수술 후 유치도뇨관을 제거한 후 방광이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잔뇨량 측정이 필요하다. 잔뇨량의 정도에 따라 단순도뇨를 시행할 수 있다. 2. 간호과정 간호사정은 ...2025.05.06 · 의학/약학
-
급성 충수염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및 중재1. 급성 충수염(Acute Appendicitis) 급성 충수염은 소장 말단부에서 대장으로 이행하는 부위에 붙어 있는 약 10cm 길이의 충수돌기에 생기는 염증을 의미한다. 대부분 수술적 절제가 필요한 급성 복통을 일으키며, 20~30대에 가장 흔히 발생한다. 충수염은 충수돌기의 폐색, 부종, 분석(대변돌)에 의해 발생하며, 염증 시작 후 24시간 내 2...2025.11.1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양성전립선비대증 CASE STUDY1. 양성전립선비대증(BPH)과 TURP 수술 64세 남성 환자가 정기검진에서 양성전립선비대증(BPH)으로 진단받았으며, 경요도전립선절제술(TURP)을 시행받았다. 환자는 빈뇨, 잔뇨감, 소변줄기 약화 등의 증상을 호소했다. 과거력으로 고혈압, 당뇨병, 지방간,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있었다. 수술 후 방광 세척, 유치도뇨관 삽입, 항생제 투여 등의 치료가 이루...2025.11.14 · 의학/약학
-
A+ 간호과정 SOAPIE 차팅 사례집 간호진단 8개 (실습_과제 필수 자료)1. 우발적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적 손상의 위험 83세 여성 환자는 경도인지장애가 있으며, 최근 1주일 사이 낙상이 1회 발생했고 반복적으로 침상 난간을 넘어 이동하려는 시도가 관찰되었다. 환자에게 다양한 치료 기기(유치도뇨관, CTD, Rt. 24G, nasal prong)가 부착되어 있어 우발적 움직임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침상 ...2025.01.2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간호과정: 호흡, 심혈관, 배뇨 장애1. 비효과적 호흡양상 급성 호흡부전, 기관지확장증, 폐렴으로 인한 폐기능 손상으로 비효과적 호흡양상이 나타남. 환자는 숨이 차고 말할 때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산소 2-3L/min을 비강캐뉼라로 투여 중. ABGA 검사로 산증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관지확장제와 거담제 투약, Semi-Fowler's position 유지로 폐 용적 증가를 도모. 간호목표...2025.11.16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A+ 간호과정] 유치도뇨관 제거 및 전신마취와 관련된 배뇨장애 4페이지
간호진단#1. 유치도뇨관 제거 및 전신마취와 관련된 배뇨장애 (10/1)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소변이 잘 안나와. ” (대상자)“ 소변 안보고 싶은데 왜 자꾸 보라해. ” (대상자)■ 객관적 자료- 전신 마취하에 Lt. side THR 시행함 (9/30)- 수술 시 삽입했던 f-cath remove 후 6시간 지남- 현재 self voiding (-)- 하복부 불편감 호소함- 배뇨 시도하지만 잘 되지 않아 다시 눕는 모습 다수 관찰됨- V/S : 150/100-37.4-110-20- 요도 통증(burning sense) 호소...2021.03.24· 4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 내과]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케이스 [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1개/완벽한 간호과정] 43페이지
사 례 연 구 보 고 서- 성인간호학실습 I -실 습 기 관 :실 습 기 간 :상 병 명 : 내과 병동제 출 자 :학 번 :제 출 일 :교 수 :0000 대 학 교사례보고서 목차I. 서론1. 연구사례선정 이유..........................................................................................3II. 서론1. 정의 및 원인................................................................................2023.04.12· 43페이지 -
간호관리학 간호표준사례보고서 4페이지
Ⅱ. 간호표준 사례 보고서-병원간호사회와 ~병원의 유치도뇨 환자 간호 표준 비교-목적1) 유치도뇨 삽입 간호 표준을 이용하여 요로감염 위험 요인을 사정한다.2) 요로감염 위험요인에 따라 적절한 요로감염 예방 간호를 수행한다. (배액관리)간호실무표준-유치도뇨 삽입병원간호사회 간호표준(2023)병원간호사회 간호표준(2023)~병원표준Ⅰ. 자료 수집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한다.기준: 간호사는개인, 가족, 지역사회 및 건강팀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다.대상자의 건강 상태나 요구의 긴급성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다.주관적인 ...2024.01.29· 4페이지 -
모성간호실습 케이스 스터디] 출산 후 감각 운동 장애와 관련된 배뇨장애 7페이지
실습 레포트과목: 모성간호학교수님:병원:병동:이름:환자 초기평가일반적 배경이름: 심**연령: 37종교: 없음결혼 상태: 유직업: 자영업가족력: 무건강력수술력: 무입원력: 무음주력: 무흡연력: 무투약력: 무알러지: 무약물 이상반응: 무낙상기왕력: 무욕창여부: 무통증: 무신체사정: 식욕: 좋음신체손상/기형: 무수면상태: 정상감각기계: 정상신경계: 정상. T/P/P +/+/+호흡기계: 정상근골격계: 정상비뇨기계: 정상소화기계: 정상. 배변 1회/일피부: 정상순환기계: 정상산과력GTPAL: 3/1/0/1/1임신 주수: 40주 0일EDC: ...2024.08.17· 7페이지 -
주제보고서 (부인과 수술의 종류와 수술 전 후 간호) 5페이지
부인과 수술의 종류와 수술 전·후 간호 Ⅰ. 필요성 자궁절제술은 자궁의 경부와 체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여성 생식기 질병으로 인한 수술 중 제왕절개 다음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2019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주요수술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궁절제술 건수는 41,707건이었으며, 인구 10만 명 당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대상자는 162명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나날이 발전하는 의학기술로 인해 자궁절제술의 합병증이나 사망률이 낮아져 수술로 인한 신체적인 위험성은 많이 줄었지만, 자궁절제술을 경험한 여성들은 자궁의 ...2025.03.24· 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