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카테터의 이해와 간호
본 내용은
"
각종 카테터의 이해와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6
문서 내 토픽
-
1.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중심정맥관은 비터널형과 터널형으로 나뉜다. 비터널형은 C-line(약 2주간)과 PICC(약 6개월~1년)가 있으며, 터널형은 chemoport, Hickman, Permcath가 있다. 항암제 사용, 혈관작용 약제 투약, 혈액제제 빠른 주입 등에 사용된다. 간호는 환자 활력징후 확인, X-ray 시행, 삽입 부위 통증·부종·삼출액 여부 확인, 2% 클로르핵시딘으로 소독한다. 제거는 치료 완료 또는 합병증·감염 위험 시 시행한다.
-
2. 비위관(Nasogastric Tube, L-tube)비위관은 경관영양 공급 목적으로 두부·목 수술 후 연하곤란 환자, 의식 없는 환자에게 사용된다. 성인은 14~18Fr 사용하며, 길이는 코끝에서 검상돌기까지 측정한다. 삽입 전 위 내용물 잔류량 250cc 이상 시 시행하지 않는다. 위치 확인은 X-ray, 위액 흡입, 청진기로 공기 주입 시 버블음 확인 방법이 있다. 영양액 주입 후 역류방지를 위해 반좌위 30분 이상 유지한다.
-
3. 유치도뇨관(Foley Catheter)유치도뇨관은 장시간 자연배뇨 불가능 시, 회음부 수술 시 수술부위 오염 방지, 방광 세척·약물 주입, 시간당 소변배설량 측정, 하복부 수술 시 방광 팽창 방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성인은 14~18Fr, 소아는 8~12Fr 사용한다. 삽입 전 ballon에 공기 주입하여 누수 확인 후 멸균 증류수를 용량만큼 준비한다. 약 10~15cm 삽입 후 소변 흐름 확인, ballooning 후 고정, urine bag 연결한다.
-
4. 정맥주사 카테터(IV Catheter)정맥주사는 응급상황에서 약물 효과를 빠르게 볼 수 있으며, 수분·전해질 보충, 영양 공급, 약물 혈중 농도 유지, 수혈, 혈액검사에 사용된다. 주의사항은 빠른 부작용 발생, 공기색전 위험, 감염 위험, 속도 조절(순환계 과부담·폐부종 유발 가능)이다. 주사 부위는 지정맥, 중수정맥, 요측피정맥, 부요측피정맥, 척측피정맥, 정중정맥 등이 있다.
-
1.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중심정맥관은 중환자 치료에서 필수적인 의료기구로, 장기간의 정맥영양공급, 약물투여, 혈역학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말초정맥으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나 고농도 약물 투여가 필요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만 감염, 혈전, 천공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으므로 무균술 준수, 정기적인 관리, 필요시 적절한 시점에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진의 충분한 교육과 환자 모니터링을 통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2. 비위관(Nasogastric Tube, L-tube)비위관은 경구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의 영양공급과 위 감압에 효과적인 도구입니다. 수술 후 회복 기간, 의식 저하 환자, 연하곤란 환자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 시 코 점막 손상, 식도염, 흡인성 폐렴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위치 확인, 정기적인 관리, 필요시 경장영양관으로의 전환 검토가 필요하며,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세심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3. 유치도뇨관(Foley Catheter)유치도뇨관은 요폐, 요실금, 수술 중 정확한 요량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중환자나 장기 입원 환자의 배뇨 관리에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요로감염, 요도손상, 방광염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으므로 무균술 준수, 정기적인 교환, 필요시 적절한 시점에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환자의 이동성 제한과 심리적 불편감도 고려해야 하며, 최소 필요 기간만 사용하는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
4. 정맥주사 카테터(IV Catheter)정맥주사 카테터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의료기구로, 약물 투여, 수액 공급, 혈액 채취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말초정맥 접근이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합병증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다만 정맥염, 감염, 혈전, 외삽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삽입 기술, 무균술 준수,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 선택과 정기적인 교환이 중요합니다.
-
중환자실 ICU 사전과제-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E-cart, 임종 환자 간호 등)1.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중환자실은 병원 내 각종 부서와 연관을 맺고 있으므로 병원의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수술실, 회복실, 중환자실 등을 같은 층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환자실의 병상은 각종 의료장비를 배치하고 감염관리를 위해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중환자실에는 간호사 스테이션, 청결물실, 오염물실, 기기창고, 직원 휴게실...2025.05.14 · 의학/약학
-
성인 간호 사전학습보고서1. 심혈관계와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심장은 일반적으로 대략 주먹 크기이며 네 개의 빈방으로 구성된 근육 기관이다. 이것은 흉곽 내의 좌우 늑막강으로 분리된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가장 안쪽의 얇은 심내막(endocardium), 근육층인 심근(myocardium)과 가장 바깥층에 섬유질인 심외막(ep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다. 심장은 얇...2025.04.29 · 의학/약학
-
임상포트폴리오1. 호흡기 내과 실습 실습 중 만난 75세 여성 환자의 의식 수준, 활력징후, 검사 결과, 각종 카테터 관리, 호흡 간호 등을 관찰하고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 간호에 대한 경험을 쌓았으며,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2. 기관절개관 삽입 환자 간호 실습 중 기관절개관 삽입 환자 간호에 대해 잘 모르는 것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2025.05.07 · 의학/약학
-
혈관조영술(Angiography)의 정의, 종류, 방법 및 간호1. 혈관조영술의 정의 및 원리 혈관조영술은 첨단 영상장비를 이용한 혈관 검사로, 특별히 훈련된 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피부에 3mm 정도 크기의 절개를 한 뒤 2mm 내외의 가느다란 카테터를 환자의 혈관에 넣고 조영제를 주입하여 엑스선을 통해 혈관(동맥, 정맥)을 관찰하는 검사이다. 혈관자체의 이상유무 판별, 각종 장기의 이상유무 판별, 혈관의 동태...2025.11.14 · 의학/약학
-
A+ 2024 [Fulminant hepatic failure, FHF 전격성 간부전] 성인간호학 /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3개1. 전격성 간부전 전격성 간부전은 주로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독성이 강한 경우나 또 간의 저항일 경우에 볼 수 있는 것으로 증상외에 발열, 황달을 나타내고 또 불안, 불면, 흥분상태, 경련 등의 신경증상을 나타내고 이어서 간성혼수에 빠져 대개 2주 이내에 사망한다. 평균 생존율은 63%로 비전격성 간질환의 평균 생존율인 78%보다 다소 낮다. 이러한 이유로...2025.01.15 · 의학/약학
-
심방세동 질환보고서1. 심방세동의 정의 심방세동은 심방 벽에서 발생되는 이소성 자극에 의해 심방의 여러 부위가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로, 지속성 부정맥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심방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여러 부위가 무질서하게 뛰는데, 이에 대한 심전도 소견은 매우 빠르고 불규칙적인 세동파가 분당 350~600회의 매우 빠른 파형을 만들고, 이로 인하여 불...2025.01.12 · 의학/약학
-
중환자실 사전학습 21페이지
1. Glasgow Coma Scale에 대해 설명하고 의식수준의 단계를 정리하시오.◆ GCS (Glasgow coma scale): 의식손상 정도를 사정하는 빠르고 실제적이며 표준화된 신경학적 도구: ①눈뜨기(개안반응), ②언어반응, ③운동반응으로 구성: 15점은 정상(가장 높은 점수), 7점은 심한 혼수상태를 의미Glasgow coma scale (글라스고 혼수 척도)행동점수개안반응(eye opening)*C: 부종으로눈 감김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spontaneous)4불러서 눈을 뜬다. (to speech)3통증자극에 눈을...2020.12.15· 21페이지 -
중환자실 ICU 사전과제-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 E-cart, 임종 환자 간호 등) 31페이지
중환자실 ICU 사전학습보고서 (선행학습보고서)1) 중환자실의 종류와 구조2) 중환자실 안전관리3) 중환자실 장비 및 기계(ventilator, Hemodynamic monitor, warmer, ECMO, Defibrillator 등)4) Hemodynamic monitor용 catheter(Swan-Ganz, PCWP, NIBP, A-line, CVP 등)5) 중환자실 감염 관리6) 중환자 flow-sheet 이해 및 기록7) 중환자 기도관리 : Intubation tube, Tracheostomy 관리8) I/O check9)...2023.08.20· 31페이지 -
각종 자연/흡인 배액 적응증과 간호 4페이지
각종 자연/흡인 배액 적응증과 간호▶흡인의 개념?기도 흡인간호흡인(suctioning)이란 이동식 흡인기나 벽 흡인기에 연결된 고무나 폴리에틸관을 통하여 구강과 목의 이물을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육안으로 보이는 곳만 흡인하며 인후 등 보이지 않는 곳에 억지로 카테터를 삽입하면 안 된다(성인 12-16Fr, 소아 10-12Fr, 75세 이상 10-14Fr). 카테터 끝에는 작은 구멍이 여러 개가 나있어 이 구멍으로 흡인시에 발생하는 음압을 광범위하게 분배함으로써 호흡점막의 한 곳에 집중하는 과도한 자극을 방지한다.흡인 전에는 ...2019.03.05· 4페이지 -
A+ 항암화학요법 간호진단 조직손상위험성 / 일혈 예방 간호과정 4페이지
《간호사정주관적 자료(1) “약이 들어가면 뭔가 들어가는 느낌이 나요. ”(2) “항암제는 다른 약보다 독한 거죠? ”객관적 자료(1) 대상자는 소세포폐암 진단받고 항암 화학 요법 위해 입원함.(2) 대상자 항암화학요법 시작함: chemo regimen에서 Vincran Injection 항암제 투여(Vincristine Sulfate 1mg IV).⇒Vincristine은 발포제(vesicants)로 항암제가 혈관에서 조직으로 유출될 시 세포 손상, 조직 파괴를 일으키는 일혈(extravasation) 위험성이 있는 세포독성 항암...2022.02.01· 4페이지 -
성인간호학 ARF 급성신부전 IPF 특발성 폐섬유증 CASE STDUY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57페이지
CASE STUDYAcute Renal failure (ARF),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목 차Ⅰ. 서론3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32. 문헌고찰3Ⅱ. 본론151. 자료수집15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문제443.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464. 간호과정 적용······································································································47Ⅲ. 결론57※ 실습소감58※ 참고문헌59※ 비...2025.02.16· 57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