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흡기계 진단검사 목적 및 방법, 검사 전후 간호
본 내용은
"
호흡기계 진단검사 목적 및 방법, 검사 전후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10
문서 내 토픽
-
1. Chest X-ray흉부 X-선 검사는 폐결핵 등 폐의 이상을 발견해내는 방법으로 집단 검진시에 사용되거나 병원에 입원하는 사람에게는 정규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다. 또한 그밖의 심장질환이나 종격동의 이상, 종양 등의 이상을 발견해낼 수 있다. 검사 방법은 후전면(PA) 촬영법, 측면 촬영법, 사선(oblique) 촬영법 등이 있다. 검사 전에는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옷이나 금속제품을 제거하며, 숨을 깊게 들이마시게 한 다음 사진을 찍도록 한다.
-
2. PFT폐기능 검사는 폐기능 장애를 발견하여 분류하고, 손상 정도를 평가하고, 폐질환의 경로를 찾고, 치료의 반응을 평가하고, 흉부수술 대상자의 간호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검사 전에는 담배를 피우거나 기관지 확장제를 먹어서는 안되며, 검사 후에는 체위성 저혈압 유무를 확인하고 수분섭취를 충분히 하여 조영제를 제거한다.
-
3. ABGA동맥혈액 가스 분석은 폐의 가스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며,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검사이다. 동맥혈의 Pco₂와 PO₂를 측정하여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는 대상자와 COPD등 폐질환을 갖고 있는 대상자의 호흡기능을 평가한다. 검사 과정은 요골동맥, 상완동맥, 대퇴동맥에서 채혈하여 검사한다. 검사 전에는 채취할 부위를 소독하고, 검사 후에는 천자 부위에 드레싱을 하고 압박하여 출혈을 방지한다.
-
4. Pulse oximetry맥박 산소포화도 검사는 산소포화상태를 평가하는 간편하면서도 안전한 방법이다. 적외선을 조직에 통과시킨 후 손가락이나 발가락 또는 귀에 부착된 감지기로 산화 헤모글로빈의 산소포화를 보여준다. 검사 전에는 대상자에게 모니터가 필요하고 비 침습적이며 통증이 없다는 것을 알려주며, 감지기가 움직이면 잘못 판독될 수 있으므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
5. Skin test피부 검사는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 항원을 판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진단방법이다. 피내에 항원을 주사하여 과민성 반응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꽃가루나 먼지와 같이 흡입하는 항원의 경우 계절성 고 초열(hay fever)이나 계절성 천식, 과민성 비염의 원인이 된다. 튜베르쿨린 검사는 결핵을 검진하기 위한 집단 검진에 이용된다. 검사 과정에서는 피부에 주사하여 수포를 만들고, 15분 후에 주사부위를 확인한다.
-
6. CT(chest)흉부 컴퓨터 단층촬영검사는 신체 조직을 통과하는 방사선 흡수율을 컴퓨터로 분석하여 각 장기질환의 진단이나 병변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소요시간은 30분에서 1시간 정도이며, 검사 전에는 조영 제에 대한 알러지 검사를 실시하고 조영 제 주입 시 부작용을 관찰한다. 검사 후에는 검사의 목적과 방법 등 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불안을 최소화 시킨다.
-
7. MRI자기공명 영상 검사는 신체에 외상을 가하지 않는 비 침습적인 검사로 자장을 이용하여 연조직과 혈과의 교차면 영상을 만들어 낸다. 검사 전에는 금속물질로 되어있는 모든 장신구나 소지품을 제거하고, 검사 중에는 움직임, 재채기, 기침, 심호흡 등이 금지된다. 검사 후에는 금식과 불안 감소를 위한 이완기술 교육 등이 필요하다.
-
8. PET양전자방출핵종단층촬영은 체내의 기능 또는 대사 기능을 단층영상으로 검사하는 방법으로 암을 진단하고자 할 경우 암세포의 특정 대사 기능을 영상화한다. 검사 전에는 4-6시간의 금식, 24시간 동안 알코올, 카페인, 담배 금지, 당뇨 환자의 경우 인슐린 주사 후 식사 등의 준비가 필요하다. 검사 후에는 체위 성 저혈압을 피하기 위해 천천히 일어나게 한다.
-
9. Bronchography기관지 조영 술은 카테터나 기관지경을 통해 기관지 내로 요오드 염료를 주입한 후 기관지의 모습을 X-선 필름에 찍히도록 하는 것으로, 종양, 낭종, 이물에 의한 기관지 폐색을 찾거나 지속적인 객혈과 폐렴의 재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한다. 검사 전에는 구강간호와 체위배액을 하고, 검사 중에는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검사 후에는 조영제를 제거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
10. Pulmonary angiography폐혈관 조영 술은 조영 제를 혈관에 주입한 후 혈관촬영을 하여 폐의 장애를 평가한다. 검사 전에는 조영 제에 대한 설명과 동의서 작성, 과거력 확인 등이 필요하며, 검사 후에는 합병증 발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11. Bronchoscopy기관지경 검사는 기관과 기관지를 검사하는 것으로, 국소마취제를 사용하여 기도를 마취시킨 후 기관지경을 삽입한다. 검사 전에는 검사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서를 받으며, 검사 중에는 대상자의 긴장을 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검사 후에는 합병증 발생에 주의를 기울이고 검사 결과를 활용한다.
-
1. Chest X-rayChest X-ray is a fundamental diagnostic tool in pulmonary medicine. It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lungs, heart, and surrounding structures, allowing for the detection of various pathologies such as pneumonia, lung cancer, heart failure, and more. The simplicity, accessibility, and relatively low cost of chest X-rays make them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initial evaluation and ongoing management of respiratory conditions. While chest X-rays have limitations, such as the inability to visualize small details or detect early-stage diseases, they remain a crucial first-line imaging modality that can guide further diagnostic testing and inform clinical decision-making.
-
2. PFTPulmonary function tests (PFTs) are a crucial diagnostic tool in pulmonary medicine,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about lung function and the underlying pathophysiology of respiratory disorders. PFTs, such as spirometry, lung volumes, and diffusion capacity, allow for the assessment of airflow, lung volumes, and gas exchange, respectively. These tests can help differentiate between obstructive and restrictive lung diseases, quantify the severity of impairment, and monitor the progression or response to treatment. PFTs are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valuation of conditions like asthma, COPD, interstitial lung diseases, and neuromuscular disorders. While PFTs require patient cooperation and technical expertise, they remain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respiratory health.
-
3.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ABGA) is a valuable diagnostic tool in pulmonary medicine, providing direct measurement of the partial pressures of oxygen (PaO2) and carbon dioxide (PaCO2), as well as the pH of the blood. ABGA is crucial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respiratory and metabolic disorders, as it allows for the assessment of gas exchange and acid-base balance. ABGA can help identify the underlying cause of respiratory distress, guide oxygen therapy, and monitor the response to treatmen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management of acute respiratory failu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nd other conditions that affect gas exchange. While ABGA requires an arterial blood draw, which can be uncomfortable for patients, it remains an essential diagnostic tool in pulmonary medicine due to its ability to provide direct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blood gas parameters.
-
4. Pulse oximetryPulse oximetry is a non-invasive and widely used diagnostic tool in pulmonary medicine, providing a simple and convenient way to measure the oxygen saturation of hemoglobin in the blood (SpO2). This information is crucial in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various respiratory conditions, as it allows for the monitoring of oxygenation status and the need for supplemental oxygen therapy. Pulse oximetry is particularly useful in the evaluation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chronic lung diseases, and during surgical or procedural interventions. While pulse oximetry has limitations, such as the potential for inaccuracies in certain clinical situations, it remains an invaluable tool that is readily available and easy to use, making it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respiratory health.
-
5. Skin testSkin tests, such as the tuberculin skin test (TST) and allergy skin tests, are important diagnostic tools in pulmonary medicine. The TST is used to detect exposure to Mycobacterium tuberculosis, the causative agent of tuberculosis, and can help guide the need for further evaluation and treatment. Allergy skin tests, on the other hand, are used to identify specific environmental or food allergens that may be triggering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asthma or allergic rhinitis. These tests involve the controlled introduction of small amounts of potential allergens or tuberculosis antigens into the skin, and the subsequent measurement of the immune system's response. While skin tests require specialized training and can be uncomfortable for patients, the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inform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arious respiratory and allergic conditions.
-
6. CT(chest)Chest computed tomography (CT) is a powerful imaging modality in pulmonary medicine, providing detailed and high-resolution images of the lungs, mediastinum, and surrounding structures. Chest CT scans can detect a wide range of pathologies, including lung nodules, interstitial lung diseases, pulmonary embolism, and lung cancer, with great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compared to chest X-rays. The ability of CT to visualize small details and provide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makes it an essential tool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omplex respiratory conditions. While chest CT scans involve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and are more expensive than other imaging modalities, they remain a crucial diagnostic tool in pulmonary medicine, particularly when more detailed information is needed to guide clinical decision-making.
-
7.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an emerging diagnostic tool in pulmonary medicine, offering several advantages over traditional imaging modalities like chest X-rays and CT scans. MRI does not involve ionizing radiation, making it a safer option, particularly for patients who require repeated imaging or have concerns about radiation exposure. Additionally, MRI can provide excellent soft tissue contrast, allowing for the detailed evaluation of lung parenchyma, mediastinal structures, and vascular components. While the use of MRI in pulmonary medicine has historically been limited due to technical challenges, such as motion artifacts and poor visualization of air-filled structures, advancements in MRI technology have expanded its applications. MRI can now be used to assess lung function, detect lung nodules, evaluate interstitial lung diseases, and even guide interventional procedures. As the role of MRI in pulmonary medicine continues to evolve, it may become an increasingly valuable complement to other imaging modalities i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respiratory conditions.
-
8.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is a powerful imaging modality that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respiratory conditions, particularly lung cancer. PET scans utilize radioactive tracers, such as fluorodeoxyglucose (FDG), to detect metabolic activity within the body, which can help identify areas of increased cellular activity, such as those associated with malignant tumors. In the context of pulmonary medicine, PET imaging can be used to detect and stage lung cancer, assess the response to treatment, and identify metastatic disease. Additionally, PET can be useful in the evaluation of other respiratory conditions, such as interstitial lung diseases and infection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metabolic activity within the lungs. While PET scans involve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and are more expensive than other imaging modalities, they offer unique and 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significantly impact the diagnosis, staging, and management of respiratory disease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oncology.
-
9. BronchographyBronchography is a specialized diagnostic procedure in pulmonary medicine that involves the instillation of a contrast medium into the airways to visualize the bronchial tree. This imaging technique can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and patency of the airways, which can be particularly useful in the evaluation of conditions such as bronchiectasis, airway obstructions, and congenital lung abnormalities. Bronchography can help identify the location and extent of airway pathologies, guide treatment decisions, and monitor the response to interventions. However, the use of bronchography has declined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less invasive imaging modalities, such as CT and MRI, which can often provide similar or even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airways. While bronchography remains a valuable tool in select cases, its role in modern pulmonary medicine has become more limited, with a focus on specialized applications where the unique information it provides is deemed essential for clinical decision-making.
-
10. Pulmonary angiographyPulmonary angiography is a specialized diagnostic procedure in pulmonary medicine that involves the injection of a contrast medium into the pulmonary arteries to visualize the vascular structures of the lungs. This imaging technique can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atency and anatomy of the pulmonary vasculature,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conditions such as pulmonary embolism, pulmonary hypertension, and congenital vascular abnormalities. Pulmonary angiography can help identify the location and extent of vascular pathologies, guide treatment decisions, and monitor the response to interventions. However, the use of pulmonary angiography has become less common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less invasive imaging modalities, such as CT angiography and MRI, which can often provide similar or even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pulmonary vasculature. While pulmonary angiography remains a valuable tool in select cases, its role in modern pulmonary medicine has become more limited, with a focus on specialized applications where the unique information it provides is deemed essential for clinical decision-making.
-
11. BronchoscopyBronchoscopy is a crucial diagnostic and therapeutic tool in pulmonary medicine, allowing for the direct visualization and evaluation of the airways. This procedure involves the insertion of a flexible or rigid endoscope through the nose or mouth, providing healthcare providers with a detailed view of the trachea, bronchi, and surrounding structures. Bronchoscopy can be used to diagnose a wide range of respiratory conditions, such as lung cancer, infections, and interstitial lung diseases, by allowing for the collection of tissue samples or fluid for further analysis. Additionally, bronchoscopy can be us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such as the removal of foreign bodies, the treatment of airway obstructions, and the administration of targeted therapies. While bronchoscopy is an invasive procedure that requires specialized training and carries some risks, it remain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respiratory health, providing invaluable information that can guide clinical decision-making and improve patient outcomes.
-
성인 간호 사전학습보고서1. 심혈관계와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심장은 일반적으로 대략 주먹 크기이며 네 개의 빈방으로 구성된 근육 기관이다. 이것은 흉곽 내의 좌우 늑막강으로 분리된 종격동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가장 안쪽의 얇은 심내막(endocardium), 근육층인 심근(myocardium)과 가장 바깥층에 섬유질인 심외막(ep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다. 심장은 얇...2025.04.29 · 의학/약학
-
호흡기계 대상자 간호1. 호흡기관의 기능 호흡기관의 주요 기능은 공기의 이동 통로 역할, 음식물 전달 통로, 기도 보호, 발성, 호흡 등이다. 코와 부비동은 공기의 이동 통로이자 뇌의 과열 방지 역할을 한다. 인두와 후두는 음식물 전달 통로이며, 후두덮개는 음식물이 기관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보호한다. 성대는 발성 기능을 하고, 기관과 기관지는 호흡 시 공기의 이동 통로 역할을...2025.05.05 · 의학/약학
-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학습 확인, 중환자실의 장비와 기구 학습1.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로는 흉부 X-선, CT, MRI, 혈관조영술, 심전도, 심도자술, 동맥혈가스분석검사 등이 있다. 각 검사의 목적, 검사 전후 간호 등을 학습하였다. 2. 중환자실 장비와 기구 중환자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로는 중앙 및 침상 종합 모니터, 심박출량 측정기, 맥박 산소 계측기, ICP 모니터, 산소공급기...2025.01.16 · 의학/약학
-
나폐렴 환자 사전학습-시뮬레이션1. 폐렴 폐렴은 폐(허파)의 세기관지 이하 부위 특히, 폐포(공기주머니)에 발생한 염증이다.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 폐의 혈액공급, 호흡기계의 방어기전, 흡기와 호기, 폐렴의 유발요인 및 원인균, 병태생리와 증상, 치료와 간호에 대해 설명하였다. 2. 객담 배양검사 객담 배양검사는 호흡기 감염증상이 있는 경우 객담을 채취하여 배양검사를 시행하여 기관지염...2025.05.08 · 의학/약학
-
호흡기 간호 문제 형성1. 후두 구조와 기능 후두는 발성기관으로 위는 인두, 아래는 기관, 뒤에는 식도가 위치한다. 9개의 연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구개는 삼킬 때 후두를 막아 폐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후두의 기능으로는 삼키기, 말하기, 목소리 높이 조절 등이 있다. 2. 상부호흡기계 신체검진 상부호흡기계 신체검진은 시진 → 촉진 → 타진 → 청진 순으로 진행한다. 코 시...2025.01.10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실습 A+ 소아외과 척추측만증 케이스 스터디1.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한다. 척추가 옆으로 휘어져있는 변형일 뿐만 아니라, 옆에서 볼 때 정상적인 곡선 또한 변형되고, 척추체 자체도 비정상적인 회전 변형을 일으키는 3차원적인 변형이다. 대부분(85~90%)의 척추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를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고 한다. 임상적으로 가장 흔...2025.05.06 · 의학/약학
-
[간호학과] 호흡기계 구조와 진단검사 51페이지
호흡기계의 구조와 기능1. 상부기도 기본 구조 : 코 ( 비강 ), 부비동 , 인두 , 후두 기능 - 대기에서 흡입한 공기의 온도와 습도 조절 , 여과 - 폐로 운반하는 통로 - 이물질 및 과다한 분비물 배출 (1) 비강 (Nasal cavity ) - 코 뒤쪽 작은 공간 , 공기통로 역할 - 냄새 맡는 역할 ( 후각담당 ) - 흡입된 공기를 따뜻하게 함 - 비중격을 중심으로 좌우로 나뉨 - 비강 위측벽에 3 개의 돌기 : 상비갑개 , 중비갑개 , 하비갑개 - 비갑개 하부에 상비도 , 중비도 , 하비도그림 6-1 코 및 부비동의 구...2021.02.15· 51페이지 -
호흡기계 근골격계 진단검사 목적 및 방법 전후간호 23페이지
1. 호흡기계 진단검사2. 근골격계 진단검사검사명검사목적검사방법 및 특성검사 전, 후 간호(1)혈액검사전혈구 검사(CBC)신체검진 및 입원이나 수술 시 기본 혈액검사의 일부분으로 시행된다.환자의 신장, 영양상태의 문제, 혈액, 심장을 포함하여 많은 발병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된다.채취할 정맥의 피부를 소독 솜으로 닦아내고 압박대나 고무튜브를 팔의 상부에 감아 혈액의 흐름을 막아 정맥의 굵기를 증가시킨 다음 바늘을 정맥으로 천천히 삽입한다. 바늘을 제거한 후 바늘을 삽입했던 부위에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거즈나 밴드를 이용하여 압박해 준...2018.12.10· 23페이지 -
소화기계 질환(위암, 위선종) Ward Class 워드클래스 5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Ward Class소화기계 질환(내과)지도교수학교/전공학번이름소화기계 질환(내과)Ⅰ 소화기계 질환1. 위암① 정의 : 위점막 상피세포에 발생하는 악성종양. 위 점막에서 발생하는 선암이 90%② 진단 : 위내시경, 상부위장관 X-선 검사(바륨), 생검 사용하고 복부 CT로 위암 진단 후 암의 위치&크기 확인. PET로 전이 확인.③ 증상 : 상당한 진행 전까지 특이 증상 없는 경우 많음. 초기는 특이 증상 없고 암의 진행에 따라 메스꺼움, 구토, 복통, 어지러움, 설사, 연하곤란, 체중 감소, 피로, 흑색변 등 나타남④ ...2025.05.29· 5페이지 -
아동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크룹(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28페이지
CASE STUDY(Croup)과목아동간호학 임상실습담당교수실습병원/병동실습기간학번이름1. 김**(3세/M)2. 키 99cm/몸무게14kg3. 입원기간2023.53. 입원경로-2023.5.16. 8pm 평소와 다른 부분은 없었으나 갑자기 sore throat 호소-9pm부터 horsness, barking cough 시작됨.-10pm 상비약(콜태원) 복용했으나 갑자기 dyspnea 증상과 이후 힘없이 보호자 품에 안겨 있던 중 10:30pm 가지고 있던 nebulize 시행했으나 vomiting 총 2회(먹었던 음식물 종이컵2~3컵...2025.02.05· 28페이지 -
[아동간호학] 고위험 신생아 문헌고찰+간호과정(A+ 받은 자료) 14페이지
목차Ⅰ. 호흡곤란 증후군에 관한 문헌고찰 1~8p1. 정의2. 원인 및 병태생리3. 질환 관련 검사의 방법, 시기, 주의점 등4. 치료 및 간호5. 임상증상6. 예방 및 교육Ⅱ. 간호과정 8~10pⅢ. 참고문헌 11pⅠ. 호흡곤란 증후군에 관한 문헌고찰1. 정의2020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미숙아(임신 37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는 전체 출생의 8.3%에 이르며,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태아의 폐 성숙은 임신 35주 전후에 이루어지므로 미숙아로 태어나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등 호흡기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모든 신생...2024.02.06· 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