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 A+ 소아외과 척추측만증 케이스 스터디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실습 A+ 소아외과 척추측만증 케이스 스터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19
문서 내 토픽
  • 1.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옆으로 휜 것을 지칭한다. 척추가 옆으로 휘어져있는 변형일 뿐만 아니라, 옆에서 볼 때 정상적인 곡선 또한 변형되고, 척추체 자체도 비정상적인 회전 변형을 일으키는 3차원적인 변형이다. 대부분(85~90%)의 척추측만증은 그 원인을 알 수 없으며, 이를 특발성 척추측만증이라고 한다. 임상적으로 가장 흔한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 환자는 보통 외관상 변형 외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으나, 드물게 증상이 있는 경우 요통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척추측만증의 치료 목적은 정도가 크지 않은 측만은 더 이상 측만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고, 중등도 이상의 측만인 경우 변형을 교정하고 유지하여 신체의 균형을 얻게 함으로써 기능 및 미용을 호전시키려는 것이다.
  • 2. 척추측만증 치료
    척추측만증의 치료는 크게 관찰, 보조기 치료,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관찰은 측만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방사선 촬영과 신체검사를 통해 관찰하는 것이다. 보조기 치료는 측만이 유연하여 쉽게 교정되고, 측만 각도가 20~40도이고, 성장이 적어도 2년 이상 남아 있는 환자에서 효과적이다. 수술적 치료는 측만이 이미 상당한 정도로 진행되어 외관상 용납될 수 없을 정도로 변형이 심할 때, 성장기의 아동에게 보존적 치료를 하였음에도 측만이 계속 진행되면서 40~50도 이상의 측만이 보일 때, 성인에서 몸통의 불균형이 심한 경우와 이차적으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 3.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에는 수술 전 검사 시행 및 수술 동의서 작성 확인, 수술 후 심호흡 미리 교육, Skin prep은 불필요, 수술 후 유지할 자세, Q-setting exercise 교육, 수술 후 사용할 큰 쿠션 베개 미리 준비 등이 포함된다.
  • 4.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간호에는 IV PCA 작동법 및 부작용 설명, 식이 진행 교육(수술당일 NPO, POD #1 SOW, POD #2 SD, POD #3일부터 RD), 침상 안정 기간 중 lateral position으로 식사하도록 교육, SMC 주기적 사정, Hb & Albumin 수치 확인, 심호흡 격려, William's position과 통나무 굴리기(log rolling) 교육, Q-setting exercise 시작 교육, Hemovac 배액 양상 사정 및 배액관 관리, 드레싱 관리, Foley catheter 관리 및 소변 양상 사정, V/S와 I/O 체크 등이 포함된다.
  • 5. 건강사정
    건강사정에는 일반적 특성, 환경, 발달, 수면양상, 배변습관, 특이할 만한 습관, 친구관계, 놀이, 언어와 의사소통 기술, 적응력 또는 문제해결 능력, 모아관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전신상태, 피부, 머리-눈-귀-코-구강-목-호흡기계-심맥관계, 위장관계, 비뇨생식기계, 신경계 등의 신체사정 내용이 포함된다.
  • 6. 약물
    수술 후 처방된 약물에는 진통제(Dilid, Tridol, Pethidine), 항생제(Cefazolin), 거담제(Nadoxol), 제산제(Gaster), 항구토제(Nasea) 등이 있다. 각 약물의 작용기전, 투여방법, 투여목적, 부작용 등이 설명되어 있다.
  • 7. 임상검사
    임상검사에는 일반혈액검사(CBC), 일반화학검사, 동맥화학검사(ABGA), 혈액은행검사(Crossmatching, Ab screening) 등이 포함된다. 각 검사의 목적과 결과 해석이 설명되어 있다.
  • 8. 수술
    수술은 Correction, posterior fusion with instrumentation without anterior release (T5-L3)로, 척추를 정면으로 맞춰주고 핀을 박아 고정해주는 수술이다. 수술의 목적, 방법, 결과 등이 설명되어 있다.
  • 9. 간호과정
    간호과정에는 급성통증(OP site)과 수술로 인한 조직 손상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에 대한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중재 및 평가가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 10. 참고문헌
    NANDA 간호진단, 약학정보원,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척추측만증 관련 의학정보 등 다양한 참고문헌이 제시되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척추측만증
    척추측만증은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는 질환으로, 주로 청소년기에 발생합니다. 이 질환은 유전적 요인, 성장 과정의 불균형, 근육 불균형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척추측만증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지만, 진행되면 통증, 호흡 곤란, 외모 변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관리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 2. 척추측만증 치료
    척추측만증의 치료 방법은 환자의 나이, 증상 정도, 곡선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합니다. 초기에는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운동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도하지만, 증상이 악화되거나 곡선의 각도가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은 척추를 교정하고 고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수술 후 재활 치료가 중요합니다. 척추측만증 치료에는 환자의 상태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며, 의료진과 환자 간의 긍정적인 협력이 치료 성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3. 수술 전 간호
    척추측만증 수술을 받는 환자에게 수술 전 간호는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상태를 사정하고 이에 맞는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수술 전 환자 교육을 통해 수술 과정과 주의사항을 충분히 설명하고,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영양 상태 개선, 호흡 운동, 근력 강화 등의 중재를 통해 수술 후 회복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술 전 간호사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간호 제공은 수술 결과와 환자의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4. 수술 후 간호
    척추측만증 수술 후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후 출혈, 감염, 신경학적 합병증 등의 징후를 면밀히 관찰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또한 통증 관리, 호흡 운동, 조기 보행 등의 재활 간호를 제공하여 환자의 회복을 돕습니다. 수술 후 심리적 지지도 중요한데,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격려해야 합니다. 수술 후 간호의 질은 환자의 예후와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간호사의 전문성과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5. 건강사정
    척추측만증 환자의 건강사정은 치료 계획 수립과 간호 중재 선택에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상태를 종합적으로 사정해야 합니다. 신체 사정에서는 척추 변형의 정도, 호흡 기능, 근력, 관절 가동범위 등을 평가하고, 심리사회적 사정에서는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 가족 지지 등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개별화된 간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건강사정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의 변화에 따른 간호 중재의 수정이 필요합니다.
  • 6. 약물
    척추측만증 환자에게 약물 치료는 증상 관리와 합병증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진통제,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통증 조절, 근육 경직 완화, 염증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물 치료는 부작용의 위험이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적절한 용량과 투여 기간을 준수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약물 투여 전후 환자의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부작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약물 사용의 목적, 방법, 주의사항 등을 교육하여 약물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7. 임상검사
    척추측만증 환자의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다양한 임상검사가 활용됩니다. 대표적인 검사로는 방사선 검사,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척추 변형의 정도, 신경학적 이상, 합병증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폐기능 검사, 근력 검사 등의 기능 검사도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검사 전 환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검사 과정에서 불편감을 최소화하며, 결과 해석과 관리에 참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8. 수술
    척추측만증 환자에게 수술은 심각한 변형을 교정하고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수술 방법은 환자의 나이, 곡선의 정도, 성장 잠재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수술로는 후방 유합술, 전방 유합술, 복합 유합술 등이 있습니다. 수술 후에는 합병증 예방과 조기 재활을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수술 전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의사와 협력하여 최선의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에게 수술 과정과 예후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여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9. 간호과정
    척추측만증 환자의 간호과정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사정을 통해 간호 진단을 내리고, 이에 따른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계획에는 환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간호 중재와 목표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간호 중재 시행 후에는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와 가족의 참여를 독려하여 간호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다학제 팀과의 협력을 통해 통합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계적인 간호과정 적용은 척추측만증 환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10. 참고문헌
    척추측만증 환자 간호에 관한 참고문헌은 다양한 분야에서 제공되고 있습니다. 의학 및 간호 분야의 학술지, 교과서, 가이드라인 등에서 척추측만증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간호 중재 등에 대한 최신 지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 교육 자료, 온라인 자료 등을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이러한 참고문헌을 활용하여 전문성을 높이고, 근거 기반 간호를 실천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새로운 연구를 통해 척추측만증 환자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