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혈관계 간호 요약정리
본 내용은
"
심혈관계 간호 요약정리 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3
문서 내 토픽
-
1. 순환기계순환기계란 우리 몸의 모든 세포들이 지속적으로 혈액을 공급받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혈액은 우리 몸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도록 하며, 세포에서 발생한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혈액은 혈관을 통해서 흐르게 되며, 혈관은 탄력성이 있는 관으로 동맥, 모세혈관, 정맥으로 구성된다. 심장과 혈관을 통칭하여 순환기 계통이라고 한다.
-
2. 심장의 구조심장은 약 0.5kg 정도의 근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왼쪽 가슴부분에 위치한다. 사람의 주먹 정도 크기로, 속은 혈액으로 차여 있다. 심장은 중격이라는 근육으로 왼쪽, 오른 쪽으로 나뉘며, 각각은 다시 판막으로 심방과 심실로 나뉘게 된다. 심장은 총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나뉘며, 심방에서 혈액을 받아서 하부의 심실에서 몸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
3. 심장의 기능심장은 규칙적인 수축과 이완을 통하여 혈액의 순환이 이루어 지게 한다. 심장의 우심실의 수축으로 폐로 보내진 혈액은 산소 공급을 받으며,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고, 좌심방으로 돌아와 좌심실의 수축 이후, 대동맥을 통하여 몸 전체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게 된다. 심장을 통하여 정상 성인의 경우 휴식 시에 1분에 60~70회 가량 박동하게 되며 약5L의 혈액이 순환한다.
-
4. 혈액의 흐름온 몸을 순환한 후에 돌아오는 혈액은 대정맥이라 불리는 큰 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들어온다. 혈액은 우심방에서 우심실로 이동되어, 폐를 거쳐 산소를 공급 받은 후, 좌심방으로 돌아온다.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이동한 혈액은 대동맥을 거쳐 온 몸으로 공급되어 순환을 한다.
-
5. 혈관의 구성동맥은 두꺼운 근육질의 관으로 심장으로부터 혈액을 운반하며, 폐동맥 이외의 모든 동맥은 산소가 풍부하다. 모세혈관은 얇은 혈관 벽을 가지고 있어 산소, 영양소 및 노폐물의 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모세혈관은 우리 온 몸에 널리 퍼져 있으며 이를 늘리면 96,000km이나 된다고 한다. 모세혈관을 통해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받은 혈액은 우심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폐정맥을 제외한 모든 정맥은 심장 수축이 새로 시작할 때 마다 우심방으로 혈액을 되돌리는 관이 된다.
-
6. 심장의 박동심장 자체로 전기적인 전도체계를 가지고 있고 동방결절(Sinoatrial Node)이라 불리는 심장 부위에서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신호는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히스속(HIS Bundle) 등의 심장의 전기적인 길을 따라 전도되어 심장근육에 전기적인 자극을 전달한다. 자극을 받은 근육은 수축을 하게 되며, 심방과 심실의 적절한 수축과 이완 활동을 통하여 혈액을 전신으로 순환시킨다.
-
7. 급성 심근경색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심근으로의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어 심근에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으로써 죽상경화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가 발병 후 입원하여 집중관리를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환자의 치료방향을 결정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심근경색증의 급성기에 관상동맥의 재관류를 시도하는 방법에는 혈전용해제 투여와 응급 경피적관상 동맥 확장 성형술(PTCA) 및 이들의 병합요법, 그리고 관상동맥우회술(CABG or CABS)등의 응급 수술방법이 있다.
-
8. 심근경색의 심전도 변화급성심근경색(STEMI)의 전형적인 심전도 변화는 2개 이상의 인접 유도에서 'ST분절 상승'과 '병적 Q파'의 출현이다. 심근경색 유형에 따라 12유도 심전도 변화를 통해 어떤 혈관에 문제가 생겼는지 유추할 수 있다.
-
9. 심근효소심근효소는 심근이 괴사되어야만 혈중으로 유출되므로 STEMI나 NSTEMI의 경우에서만 증가하고, 안정형 또는 불안정형 협심증에서는 증가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심근 트로포닌(cardiac troponin I)과 CK-MB(creatine kinase,myocardial bound)가 있다.
-
10. 관상동맥 재관류요법STEMI환자는 증상 발견 12시간 이내인 경우 적극적인 재관류 요법을 조기에 시행해야한다. 관상동맥 재관류 치료는 관상동맥중재술(PCI; PercutaneousCoronary Intervention), 혈전용해술(Fibrinolysis), 외과적 수술(CABG : Coronary Artery Bypass Graft)이 있다. STEMI가 의심되는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했다면 도착에서 혈관 확장(doorto balloon)까지 90분 이내를 목표로 관상동맥중재술(PCI) 시행을 권고하고 있다.
-
11. 관상동맥중재술 간호관상동맥중재술(PCI) 시술 전에는 환자를 안정시키고 활력징후를 측정하며, 심전도 모니터를 적용하고 제세동기를 준비한다. 정맥로를 확보하고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시술 후에는 도관 삽입부위를 확인하고 출혈여부를 확인하며, 심전도 모니터링과 산소포화도 유지, 보행훈련 등의 간호를 제공한다.
-
1. 순환기계순환기계는 심장, 혈관, 림프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 몸의 가장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이 시스템은 산소와 영양분을 온몸으로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순환기계의 원활한 기능은 우리 몸의 건강과 생명유지에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순환기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심장의 구조심장은 순환기계의 핵심 기관으로, 4개의 방(심방 2개, 심실 2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장의 구조는 매우 정교하고 복잡하며, 각 부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심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심장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심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심장의 구조적 특징은 심장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3. 심장의 기능심장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혈액을 온몸으로 펌프질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심장은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아 박동수와 수축력을 조절하며, 심방과 심실의 협조적인 수축을 통해 혈액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킵니다. 또한 심장은 혈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심장의 기능 장애는 다양한 심혈관 질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심장의 기능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4. 혈액의 흐름혈액은 심장에 의해 순환되며, 동맥을 통해 온몸으로 보내지고 정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돌아옵니다. 이 과정에서 혈액은 폐를 거쳐 산소를 공급받고,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며, 노폐물을 수거합니다. 혈액의 원활한 흐름은 우리 몸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혈액 순환 장애는 다양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혈액 순환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
5. 혈관의 구성혈관은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구조와 기능이 다릅니다. 동맥은 혈액을 온몸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며, 정맥은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려 보냅니다. 모세혈관은 조직과 혈액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혈관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혈액 순환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 및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혈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생활습관 관리의 중요성도 강조됩니다.
-
6. 심장의 박동심장의 박동은 심방과 심실의 규칙적인 수축과 이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심장 내 전기 신호가 발생하며, 이를 통해 심장의 기능이 조절됩니다. 심장 박동의 이상은 다양한 심장 질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심장 박동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심장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7. 급성 심근경색급성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혀 심근에 산소 공급이 차단되어 발생하는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심근이 손상되고 기능이 저하되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급성 심근경색의 주요 증상으로는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오심 등이 있으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관상동맥 재관류 요법, 약물 치료, 생활습관 개선 등의 다각도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심근 손상을 최소화하고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8. 심근경색의 심전도 변화급성 심근경색 발생 시 심전도 상에서 특징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ST 분절 상승, Q파 형성, T파 변화 등이 대표적인 소견으로, 이를 통해 심근경색의 위치와 범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심전도 변화 양상은 심근경색의 진단과 치료 방향 결정에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심전도 변화의 의미와 해석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심근경색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방향 설정이 가능합니다.
-
9. 심근효소심근경색 발생 시 심근 세포가 손상되면서 심근효소가 혈액 내로 유출됩니다. 이러한 심근효소 수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심근경색의 진단과 경과 관찰에 매우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심근효소로는 CK-MB, 트로포닌 등이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진단적 가치가 다릅니다. 심근효소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심근경색의 진단, 중증도 평가, 예후 예측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방향을 설정하고 환자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10. 관상동맥 재관류요법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 신속한 관상동맥 재관류 요법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막힌 관상동맥을 신속히 재개통시켜 심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재관류 요법으로는 혈전용해제 투여,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병원 환경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재관류 요법의 시행 시기와 방법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의료진의 숙련도와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
11. 관상동맥중재술 간호관상동맥중재술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주요 치료법 중 하나입니다. 이 시술에는 전문적인 의료진의 기술과 함께 체계적인 간호 관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시술 전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합병증 예방 및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시술 과정과 주의사항을 충분히 설명하여 이해도를 높이고, 퇴원 후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등 환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관상동맥중재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진단검사와 간호/요약집/비뇨기계/위장관계/심혈관계/핵심정리/1. 위장관계(Digestive System) 게실염(Diverticulitis)은 게실(憩室;diverticulum)이라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장기의 바깥쪽으로 돌출한 비정상적인 작은 주머니, 특히 대장에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게실증은 여러 개의 게실이 있는 경우이며, 게실염은 게실안으로 변, 오염물질이 들어가 염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부 위장관 촬...2025.05.06 · 의학/약학
-
모성간호학 요약 정리1. 여성의 성과 간호 바르톨린샘, 질 원개, 자궁 경부, 난관, 난소의 주기와 난소 호르몬, 질 점액검사, 뇌하수체 성선자극 호르몬, 난소 호르몬, 자궁내막 주기와 월경, 남성 생식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임부 간호 난황낭의 기능, 초기 배엽, 탈락막과 융모막, 태아발달 순서, 시기별 주요 발달 과정, 태반의 기능, 양수, 면역계, 유전자 이상...2025.05.06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 현문사 - 심혈관계 - 요약정리 17페이지
Ⅰ 심장의 건강과 질병구조· 무게: 300g(성인 주먹)· 심첨(apex): 횡격막 위쪽 / 심장의 기저(base)· 심장 조직: 심외막, 심근, 심내막(심장가장 안쪽)1. 심방과 심실1) 심방[atrium]: 우심방(정맥혈을 받음), 좌심방(폐정맥으로부터 동맥혈을 받음)2) 심실[ventricle]: 우심실(우심방으로부터 정맥혈 받아들여 폐로 보냄), 좌심실(대동맥을 통해 전신동맥순환계로 방출)3) 중력에 의해 약 70~80%가량 혈액이동* 심낭: 심장을 싸고 있는 막-섬유성 심낭, 장액성 심낭2. 판막1) 방실 판막: 심실에서 ...2022.12.12· 17페이지 -
성인간호학 심혈관계, 호흡기계 요약정리 시험대비 11페이지
심혈관계 (시촉타청)*출혈로 심박출량 감소시 심장보상기전-빈맥, 심박수 증가, 심실확대, 심실비대, renin-aldosterone체계에 의한 수분재흡수 증가(소변량감소).*중심정맥압(심장기능반영지표) 압력측정부위: 우심방*심전도 P파:심방수축/QRS파:심실수축/T파심실재분극*SWAN-GANZ CATHETER삽입하는 이유?-전박정맥 또는 우측내경정맥을 통해 우심장을 통해폐동맥에 삽입하는 쐐기압(폐모세혈관압)을 측정하는카테터/ 폐울혈과 좌심장의 기능을 정확하게 사정시*심음청취부위-대동맥판막: 흉골 우측 2번째 늑간-폐동맥판막: 흉골 ...2021.06.22· 11페이지 -
간호학과, 심혈관계 요약정리 과제(심장, 고혈압, 관상동맥대상자, 심부전, 부정맥유형) 10페이지
년도 학기성인간호학 5자기주도학습 과제심혈관계cardiovascular system지도교수 : 교수님제 출 자 : 학번제 출 자 : 성명제 출 일 : 년 월 일1. 심혈관계 구조와 기능1) 심장(1) 크기: 무게 250~300g(2) 위치: 종격동(mediastitum) 내 위치, 2~5번째 늑간까지 12~14cm 정도 걸쳐 있음(3) 특징- 4개의 방으로 구성- 1분에 72회 박동, 1회 70cc 정도의 혈액 분출, 하루 7000L이상 분출- 심장은 3개의 층으로 구성심외막장측 심낭과 같은 구조로 심장의 가장 바깥층심근선 모양의 ...2021.06.05· 10페이지 -
[성인간호학] [심혈관계 part] 구조와 기능, 건강사정(간호력, 신체검진) 내용 요약정리 자료입니다.(A+) 12페이지
R E P O R T주제 : 순환계, 혈관계의 구조와 기능,건강사정(간호력, 신체검진)과 목 명담 당 교 수학 번 / 반이 름제 출 일- 차 례 -Ⅰ.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Ⅱ. 순환계에 대한 건강사정ⅰ. 간호력ⅱ. 신체검사Ⅲ. 혈관계의 구조와 기능Ⅳ. 혈관계에 대한 건강사정ⅰ. 간호력ⅱ. 신체검사※ 참고 문헌 ※Ⅰ.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1. 심장? 4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근육 기 관, 대략 자신의 주먹과 그 모양 이나 크기가 유사하다.? 복장뼈(흉골) 몸통 바로 아래 흉곽 의 중앙부인 가슴세로칸(종격)에 위치하고 있다.? 성인의 경...2020.12.23· 12페이지 -
성인간호 심혈관계/순환기계 정리본/사전학습/요약집 13페이지
심혈관계/순환기계1) 심장의 구조와 기능심장 /심장의 전도계(우측)심장은 혈액의 역순환을 막기 위해 혈액을 오직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판막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2가지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방실판막(삼첨판·승모판)이며 또 하나는 반달판막(폐동맥판막·대동맥판막)이다. 방실판막은 얇고 잎 모양이며 심방과 심실 사이에 있다. 오른방실구멍은 뾰족한 3개의 잎사귀가 겹쳐진 모양의 삼첨판막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각 첨판은 심장속막이 접혀져 만들어진 것이다. 힘줄끈(chordae tendineae)은 각 첨판 가운데 지지층의 심실 ...2025.03.01· 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