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내과계 중환자실 사전학습
문서 내 토픽
  • 1. 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와 전·후 간호
    중환자실에서 주로 시행하는 검사로는 A-line, CVP, PAP/PCWP monitoring 등이 있다. A-line은 동맥관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혈압 감시, 동맥혈 가스 분석과 각종 검사를 위한 채혈을 하는 데 사용된다. CVP는 중심정맥압을 측정하여 순환혈류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PAP/PCWP monitoring은 폐동맥압과 폐모세혈관쐐기압을 측정하여 좌심실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간호사는 이러한 검사 시행 전후로 환자의 상태를 사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 2. 인공 환기요법과 간호
    인공 환기요법에는 강제조절환기(CMV), 보조조절환기(ACMV), 동시성 간헐강제환기(SIMV), 지속성 기도양압(CPAP), 압력지지 환기(PSV) 등의 방식이 있다. 간호사는 환자의 반응을 평가하고 인공호흡기 설정 상태를 확인하며, 기도 유지와 분비물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의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 3. 혼수 환자 간호
    혼수 환자 간호의 핵심은 기도 유지와 환기 관리, 수분 및 영양 균형 유지, 피부와 각막 통합성 유지, 체온 조절, 배뇨/배변 관리, 감각 자극 제공 등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필요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 4.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적용 환자 간호
    CRRT 적용 환자 간호에서는 환자의 체중, I/O, 혈액검사 결과 등을 모니터링하고 출혈, 저혈압, 감염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CRRT 기계 관리, 투석액 교환, 카테터 관리 등의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
  • 5. 약물중독 환자 간호
    약물중독 환자 간호에서는 호흡 유지, 신속한 신체사정, 정확한 병력 청취, 해독 및 배설 촉진, 합병증 예방 등의 응급 처치가 필요하다. 또한 환자의 심리적 지지, 자살 예방, 퇴원 후 관리 등이 중요하다.
  • 6. 심장질환
    심장질환에는 협심증, 부정맥, 심부정맥 등이 있다. 협심증은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허혈성 통증이며,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적 자극전도 변화로 인한 리듬 장애이다. 심부정맥은 심장박동의 속도나 규칙성에 문제가 생기는 질병이다. 이들 질환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에 대해 학습해야 한다.
  • 7. ARDS(급성호흡기장애증후군, 성인호흡곤란증후군)
    ARDS는 허파꽈리와 세기관지의 염증으로 인한 호흡부전 상태이다. 주요 원인은 패혈증, 다발성 외상, 흡인성 폐렴 등이다. 기계적 환기, 약물 및 수액 요법, 영양 요법 등의 치료와 함께 호흡 양상 개선, 가스교환 개선, 합병증 예방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 8. 폐렴
    폐렴은 허파꽈리와 세기관지의 염증으로 인한 질환이다. 지역사회 감염 폐렴과 병원 감염 폐렴의 원인균과 위험요인이 다르다. 진단을 위해 다양한 검사가 필요하며, 항생제 치료와 함께 호흡 개선, 분비물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의 간호가 중요하다.
  • 9. 약물중독
    약물중독은 해로운 물질이 신체에 들어가 손상을 주는 것을 말한다. 섭취성 중독과 경피 중독이 있으며, 응급 처치로 호흡 유지, 신체사정, 해독 및 배설 촉진 등이 필요하다. 또한 심리적 지지, 자살 예방, 퇴원 후 관리 등의 간호가 중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인공 환기요법과 간호
    인공 환기요법은 호흡 부전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필수적인 치료법입니다. 간호사는 인공 호흡기 사용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기도 유지, 산소 공급, 인공 호흡기 설정 관리 등의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인공 호흡기 관련 합병증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인공 기도 관리, 흡인, 체위 변경, 피부 간호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호흡 기능 회복을 도모하고,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인공 환기요법 중단 시기 결정과 이에 따른 간호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주제4: CRRT(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적용 환자 간호
    CRRT는 급성 신부전 환자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지속적 신대체요법입니다. 간호사는 CRRT 적용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체액 상태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른 간호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혈압, 체온, 소변량 등의 활력징후 관찰,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검사, 체액 균형 유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또한 CRRT 장비 관리, 합병증 예방, 환자 및 가족 교육 등의 전문적인 간호를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CRRT 적용 환자의 안전과 건강 증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심장질환
    심장질환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심장질환 환자의 증상 관리, 합병증 예방, 재활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활력징후 모니터링, 투약 관리, 산소 공급, 운동 및 식이 지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의 교육과 상담을 통해 질병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아가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환자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돕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심장질환 환자의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폐렴
    폐렴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와 간호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폐렴 환자의 증상 관리, 감염 예방, 합병증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활력징후 모니터링, 산소 공급, 객담 배출 관리, 투약 관리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의 교육과 상담을 통해 질병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아가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여 환자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돕는 것도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폐렴 환자의 건강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성인간호학실습 내과계 중환자실 사전학습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4.13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