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심정맥관 종류 및 관리방법 (central venous catheter, CVC, C-line)
본 내용은
"
중심정맥관 종류 및 관리방법 (central venous catheter, CVC, C-lin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5
문서 내 토픽
-
1. 중심정맥관 (central venous catheter, CVC, C-line)중심정맥관은 카테터 종류에 따라 short term non-tunneled catheter, PICC, Long term tunneled catheter, Implantable port 등으로 나뉩니다. 삽입부위는 subclavian vein, antecubital vein에서 basilic vein 또는 cephalic vein으로 upper anterior chest로 나옵니다. 중심정맥관 사용 기간은 40-60일, 6개월 전후, 6개월-수년 등으로 다양합니다. 히크만 카테터는 중심정맥관의 일종으로 보통 잦은 채혈과 약물주입이 필요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
2. 히크만 카테터 관리히크만 카테터 관리에는 소독, 개방성 유지 등이 포함됩니다. 소독 시 베타딘 소독액, 멸균거즈 등을 사용하며, 개방성 유지를 위해 헤파린 희석액 주입 또는 생리식염수 flushing을 합니다. 히크만 카테터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는 혈액 역류 감소, 폐색, 감염, 이탈, 혈전증, 손상 등이 있습니다.
-
3. 케모포트 (ChemoPort)케모포트는 쇄골하정맥을 통해 삽입되는 중심정맥관의 일종으로, 피하에 설치된 포탈에 연결되어 있어 관리가 쉽습니다. 케모포트 관리에는 주사부위 준비 및 주사액 주입, 주사바늘 제거, 헤파린 flushing 등이 포함됩니다. 케모포트 관련 주요 문제로는 역류 감소, 폐색 등이 있으며 이 경우 urokinase 사용 등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1. 중심정맥관 (central venous catheter, CVC, C-line)중심정맥관은 중요한 의료 기기로, 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 투여, 수액 공급, 혈액 채취 등이 가능하며, 특히 중증 환자나 장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유용합니다. 그러나 중심정맥관 삽입 및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염, 혈전, 혈관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숙련된 기술과 철저한 관리가 중요하며, 환자 또한 관리 지침을 잘 따라야 합니다. 중심정맥관은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되지만, 동시에 주의 깊게 다뤄져야 할 의료 기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히크만 카테터 관리히크만 카테터는 장기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유용한 의료 기기입니다. 이를 통해 약물 투여, 수액 공급, 혈액 채취 등이 가능하며, 반복적인 정맥 천자를 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히크만 카테터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염, 혈전, 카테터 폐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철저한 관리와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삽입 및 관리 과정에서 무균 술식을 준수해야 하며, 환자는 일상적인 관리와 청결 유지에 힘써야 합니다. 히크만 카테터는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되지만, 동시에 주의 깊게 다뤄져야 할 의료 기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
3. 케모포트 (ChemoPort)케모포트는 항암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유용한 의료 기기입니다. 이를 통해 약물 투여, 수액 공급, 혈액 채취 등이 가능하며, 반복적인 정맥 천자를 피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케모포트 관리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염, 혈전, 포트 폐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철저한 관리와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삽입 및 관리 과정에서 무균 술식을 준수해야 하며, 환자는 일상적인 관리와 청결 유지에 힘써야 합니다. 케모포트는 항암 치료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만, 동시에 주의 깊게 다뤄져야 할 의료 기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중심정맥관의 종류와 이해1. CVC 정의 CVC(중심정맥관, Central venous catheter)는 큰 중심정맥인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으로 삽입되어 끝(tip)이 상대정맥, 하대정맥 또는 우심방 내에 거치하도록 하는 인체 내 삽입도구이다. 2. CVC 적응증 CVC는 다량의 수액 투여가 필요한 경우, 고농축 수액 및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는 약물 투여가 필요한 ...2025.01.21 · 의학/약학
-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 종류1. Central Venous Catheter의 종류 Central Venous Catheter(중심정맥관)은 심장으로 들어가는 대정맥(쇄골하 정맥, 경정맥, 대퇴 정맥 등)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혈역학적 측정, 다량의 급속 혈액주입, 말초 정맥 카테터 사용이 어렵거나 장기간 사용이 필요한 경우, 고농도 정맥 주사약 투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Cen...2025.01.29 · 의학/약학
-
중심정맥관의 이해1. 중심정맥관의 정의 중심정맥관(중심정맥카테터)은 손이나 발 등의 작은 말초 정맥이 아닌 몸통에서 심장으로 연결되는 큰 정맥인 쇄골 하 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되는 관을 말한다. 2. 중심정맥관 삽입부위 중심정맥관은 내경정맥, 쇄골하정맥, 대퇴정맥 등에 삽입될 수 있다. 내경정맥은 상대정맥으로의 주행거리가 짧고 곧아 성공률이 높아 선호되는 부위...2025.01.06 · 의학/약학
-
E-tube, T-tube, CVC, perm-cath, PICC, CTD, PCD, HV, JP, EVD1. TUBE 삽입과 관리 TUBE는 기체 또는 액체를 실어 나르는 관으로, 금속관(G)과 플라스틱관(Fr)으로 구분됩니다. E-tube는 사면(bevel)과 Murphy eye가 있으며, 기도 내 고정과 흡인 예방을 위한 cuff가 있습니다. E-tube 삽입 길이는 남자 22~24cm, 여자 19~21cm이며, 위치 확인 및 고정이 중요합니다. T-tu...2025.04.30 · 의학/약학
-
성인간호실습_ 중환자실_ 사전과제_ A+자료1. Hemodynamic monitoring 혈역학 감시란 대상자의 혈역학 상태를 평가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진단하여 그에 맞는 치료 및 중재를 선택할 수 있는 근거가 되며 후의 결과 평가 지표가 되기도 한다. 혈역학 지표에는 심박수, 동맥압, 중심정맥압, 폐동맥압, 심박출량이 포함된다. Swan Ganz 카테터는 1개의 도관으로 측정할 수 있는 카테터이...2025.01.17 · 의학/약학
-
중심정맥압(CVP) 측정법 및 관리1. 중심정맥압(CVP)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은 우심방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순환혈류량과 우심실의 기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CVP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수압력계 방법이나 변환기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정상범위는 4~12cmH2O(1~7mmHg)입니다. CVP가 증가하면 세포외액 과다로 인...2025.01.16 · 의학/약학
-
중심정맥관 관리 3페이지
1. 중심정맥관(central vein catheter, CVC)의 정의: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2. 위치① 쇄골하정맥(빗장밑정맥, subclavian vein):카테터의 삽입부위의 드레싱 유지가 쉽다.환자의 자세에 따른 안정성 유지가 용이하다.② 경정맥(속목정맥, jugular vein):중심 정맥관 카테터 삽입 시 가장 성공률이 높다.상대정맥과 우심장으로의 진행이 수월하다③ 대퇴정맥(넙다리정맥, femoral vein)※ 카테터 tip은 상대정맥(superior vena cava),상대정맥과 우심방의 연결...2021.12.18· 3페이지 -
C-line, 중심정맥관 간호(종류, 적응증, 시술준비, 시술후간호, 합병증, 합병증간호) 14페이지
중심정맥관 (Central Venous Catheter, CVC)경정맥, 쇄골하 정맥으로 관이 삽입되어 상대정맥이나 우심방 끝에 관이 위치하게 함.목적(1) 비경구적인 방법을 이용해 다량의 약제를 혈액 내로 투여 시(2) 정맥내로 수액이나 약제투여가 장기간 필요 시(TPN)(3) 정맥주사용 약제가 말초혈관에 자극을 주는 경우(승압제(Norpin), 항암제 등)(4) 카테터의 삽입과 유지가 어려운 경우(라인이 안 잡힐 때)(5) 중심정맥압 측정중심정맥을 통해 들어가는 약제 종류(1) pH < 5, pH > 9 의 약제.(2) Osmo...2020.03.25· 14페이지 -
check list(아산) 21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보고서check list수기 내용관찰수행구체적인관찰/수행내용입/퇴원환자간호입원환자간호(활력증상측정,신체계측,병실 안내,간호력 조사)122W에선 매 Duty의 chargd선생님이 담당하여 작성하였다. 간호력을 조사한 뒤 병실을 안내해 주었으며 환자가 안정된 상태에서 V/S을 측정하였다.퇴원환자간호(퇴원시건강관리교육,투약, 외래예약)퇴원은 보통 하루 전에 결정되어서 그 다음날에 퇴원간호를 시행하는데 퇴원하기 전에는 환자에게 필요한 각종서류가 있는지 있으면 종류를 작성하고 의사에게 보고하여 퇴원할 때 발급받도록 한다. 퇴원시...2011.12.22· 21페이지 -
EKG, V/S, 각종 line유지간호 9페이지
EKG monitoring & V/S monitoring, 각종 line유지.@심전도(EKG monitoring)1.정의 : 심장의 탈분극(전기적 자극이 심근으로 퍼질 때 P, QRS파 생성)-재분극(자극된 근육들이 휴식상태로 돌아갈 때 ST분절, T, U파 생성) 과정에서 신체표면으로 전달되는 전류를 발생시키는데, 피부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이러한 전기적 활동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심근의 전기적 변화를 기록한 것이 심전도이다.종류로는 12-lead ECG, single-lead monitoring이 있다.·12유도- 표준사지...2009.12.14·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