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심정맥압(CVP) 측정법 및 관리
문서 내 토픽
-
1. 중심정맥압(CVP)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은 우심방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순환혈류량과 우심실의 기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CVP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수압력계 방법이나 변환기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정상범위는 4~12cmH2O(1~7mmHg)입니다. CVP가 증가하면 세포외액 과다로 인한 과혈량 상태를 의미하며, 감소하면 세포외액 감소로 인한 저혈량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
2. CVP 측정방법CVP 측정방법에는 수압력계 방법과 변환기 방법이 있습니다. 수압력계 방법은 카테터를 삽입하고 수액을 주입하여 압력계로 측정하는 방식이며, 변환기 방법은 카테터를 삽입하고 변환기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압력곡선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입니다. 두 방법 모두 대상자의 자세, 카테터 삽입부위, 영점 설정 등의 과정이 중요합니다.
-
3. CVP 증가 시 관리CVP가 증가하면 세포외액 과다로 인한 과혈량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이뇨제 투여, 정맥주입 속도 조절, 활력징후 모니터링, 저염식이, 수분제한, 단백질 보충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심부전으로 인한 CVP 증가 시에는 이뇨제, ACE inhibitor, 강심제 투여, 수분/염분 제한, 침상안정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
4. CVP 감소 시 관리CVP가 감소하면 세포외액 감소로 인한 저혈량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체액 손실 조절을 위한 수액 공급, 수혈, 구토나 설사 등의 원인 교정, 체위 변경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또한 전신 정맥 확장으로 인한 CVP 감소 시에는 기도 유지, 산소 투여, 심박출량 유지, 항생제 투여, 혈압 유지 등의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
1. 중심정맥압(CVP)중심정맥압(CVP)은 심장의 기능과 혈액량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CVP는 우심방 내압을 반영하며, 이는 심장 전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 CVP 측정은 환자의 혈역학적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수액 및 약물 치료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정상 CVP 범위는 0-8 mmHg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심각한 임상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VP 측정은 침습적 방법이지만, 환자 상태 평가와 치료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
2. CVP 측정방법CVP 측정은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중심정맥관은 경정맥, 쇄골하정맥 또는 대퇴정맥을 통해 삽입되며, 우심방 근처까지 위치합니다. CVP 측정 시 중심정맥관 끝부분의 압력이 측정되며, 이는 우심방 압력을 반영합니다. CVP 측정은 침습적이지만, 환자 상태 평가와 치료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측정 시 무균 기법을 준수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시 환자의 호흡 주기와 자세 변화에 따른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
3. CVP 증가 시 관리CVP가 증가하는 경우, 이는 심장 전부하 증가를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심부전, 폐색전증, 폐고혈압, 상대정맥 폐쇄 등이 있습니다. CVP 증가 시 환자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원인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액 제한, 이뇨제 투여, 혈관확장제 사용 등의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CVP 감소를 위해 적절한 수액 관리와 함께 심장 기능 개선을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4. CVP 감소 시 관리CVP가 감소하는 경우, 이는 심장 전부하 감소를 의미하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저혈량성 쇼크, 심장 기능 저하, 폐동맥 고혈압 등이 있습니다. CVP 감소 시 환자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원인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액 투여, 혈관수축제 사용, 심장 기능 개선을 위한 약물 치료 등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CVP 증가를 위해 적절한 수액 관리와 함께 심장 기능 개선을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혈역학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중심정맥압(CVP) ward class/중심정맥압 측정법/중심정맥압 측정방법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8
-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분담주제(중심정맥압, 좌심방압, 폐동맥압, 폐모세혈관쐐기압, 심박출량,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 10페이지
성인간호학 Ⅲ 실습- 분담사례보고서 -과목명교수님조원제출일■ 분담주제 발표 내용 및 보고서 양식분담주제발표병동성인간호학 Ⅲ 실습주제- 중환자실 모니터링(중심정맥압, 좌심방압, 폐동맥압, 폐모세혈관쐐기압, 심박출량, 호기말 이산화탄소분압)내용* 혈역학 감시(hemodynamic monitoring): 환자의 혈역학 상태 ? 심혈관계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 및 중재의 지침을 제공함과 동시에 중재 후 결과를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말초동맥, 중심 정맥, 폐동맥 등에 침습적인 카테터를 삽입하여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환자의...2022.02.03· 10페이지 -
ICU - 체액 불균형 환자 관리 5페이지
체액 불균형 환자 관리1.BP측정법(1)정의: 동맥혈압은 심혈관계의 기능을 평가하는 기본적이고도 관습적인 임상징후중의 하나이며 모든 조직의 관류에 관여하나 특히 뇌혈류와 관상혈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2)측정방법①직접 또는 침습적 방법: Polyethylene 재질로 만들어진 카테터를 말초동맥내로 삽입하고 이것을 transducer를 통해서 감시장치(monitor)에 연결하거나 또는 압력계 (manometer)에 연결하여 동맥혈관 내의 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며 쇼크나 출혈 등에 의해서 간접법으로는 동맥혈압을 측정하...2008.09.27· 5페이지 -
성인간호 HCC(간암) case 40페이지
성인간호Case studyH P B S( HCC HBV )과 목지도교수학 년반학 번이 름송원대학교 간호학과목 차Ⅰ. 서 론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문헌고찰질환조사(병태생리, 원인, 증상 및 징후, 치료 검사와 간호)Ⅲ. 연구기간 및 방법Ⅳ. 간호과정1. 간호사정1) 개인력2) 건강력3) 간호력4) 진단을 위한 검사5) 투약 기록지6) 치료 및 경과7) 자료 조직(의미있는 자료 도출)2. 간호진단3. 간호계획4. 간호중재5. 간호평가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우리나라는 최근 인구의 고령화가 뚜렷하며...2015.11.30· 40페이지 -
심혈관계 호흡관계 case study <동맥혈 가스분석(ABGA), 중추신경계, 비뇨기계, 호흡기계, 심혈관계, 동맥혈압 Arterial blood pressure> 9페이지
Monitoring심혈관계동맥혈압 Arterial blood pressure혈압은 혈관 내의 혈압이 혈관벽에 대해 나타내는 압력을 말하며, 심실수축 시 가장 높은데 이를 수축기 혈압, 심실이완 시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이라고 한다. 심박출량, 말초저항, 동맥의 탄력성, 순환 혈액량, 혈액의 점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간접 측정법상지나 하지의 동맥을 폐쇄시키는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cuff를 구성하는 기낭을 동맥위에 감아서 수축기 혈압보다 더 높게 팽창시킨 후 cuff의 공기를 서서히 제거하면서 측정한다.Cuff가 너무 좁거나 ...2014.12.27· 9페이지 -
체액 불균형 환자 관리 3페이지
? 체액 불균형 환자 관리 ?BP/CVP/폐동맥쐐기압 측정법♣ BP1. 도관은 요골, 상완, 또는 대퇴동맥에 삽입2. 측정하기 전 Allen 검사 또는 도플러 초음파 검사로 순환장애 여부 확인3. 동맥내압 측정하기 위한 도관은 three way 연결자로 변환기에 연결4. 수액은 50mL 생리식염수에 처방된 소량의 헤파린(보통 200~300unit을 주입하여 준비)- 동맥내압보다 높아야 주입되므로 생리식염수 주머니에 압력 비닐백으로 300mHg 정도의 압력을 가하여 시간당 약 2~3cc의 속도로 IV pump 통해 주입? 추후관리1....2009.02.23·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