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고혈압제 적용환자의 간호
본 내용은
"
항고혈압제 적용환자의 간호 pp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7
문서 내 토픽
-
1. 고혈압고혈압은 혈액이 혈관 벽에 가하는 힘이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확장기 혈압은 심장이 이완할 때 혈관이 받는 압력입니다. 고혈압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본태성 고혈압과 신장, 내분비선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속발성 고혈압으로 구분됩니다. 고혈압은 심장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어 심비대, 심부전, 대동맥박리, 신부전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2. 항고혈압제 투여 목적원인을 모르는 본태성 고혈압에 항고혈압제를 사용합니다. 항고혈압제는 말초 혈관 확장과 심박출량 저하를 통해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혈관확장제, 칼슘 통로 봉쇄제, 교감신경 차단제, 이뇨제, ACE 억제제, ARB 등이 대표적인 항고혈압제입니다.
-
3. 혈관확장제혈관확장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피가 쉽게 흐르도록 합니다. Hydralazine, Minoxidil, Nitroprusside 등이 이에 속합니다. 간호 시 처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복용하도록 하고, 식사와 함께 복용하며, 의사나 약사와 상의 없이 임의로 용량을 변경하거나 중단해서는 안 됩니다. 정기적인 혈압 측정과 함께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중요합니다.
-
4. 칼슘 통로 봉쇄제칼슘 통로 봉쇄제는 칼슘 이온의 세포 내 유입을 억제하여 심근과 혈관 평활근의 수축을 억제합니다. Nifedipine, Amlodipine, Benidipine, Nicardipine, Diltiazem, Verapamil 등이 이에 속합니다. 간호 시 갑작스러운 저혈압, 서맥, 말초혈관질환 악화 등에 주의해야 하며, 천천히 체위 변경하고 부작용 발생 시 보고하도록 교육합니다.
-
5. 교감신경 차단제교감신경 차단제는 교감신경 수용체를 차단하여 혈압을 낮춥니다. α 수용체 차단제와 β 수용체 차단제로 구분됩니다. 간호 시 기립성 저혈압, 두통, 현기증, 심계항진 등의 부작용에 주의하고, 천천히 감량하여 투약을 중단해야 합니다.
-
6. 이뇨제이뇨제는 수분과 나트륨의 배설을 촉진하여 혈압을 낮춥니다. Thiazide계 이뇨제와 Loop 이뇨제가 대표적입니다. 간호 시 체중 변화, 전해질 불균형, 저혈압 등을 관찰하고, 탈수 예방을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를 교육합니다.
-
7. ACE 억제제ACE 억제제는 angiotensin II 생성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춥니다. Captopril, Enalapril, Ramipril 등이 이에 속합니다. 간호 시 신장 기능 저하, 고칼륨혈증 등을 모니터링하고, 첫 투여 시 실신 가능성에 주의해야 합니다.
-
8. ARBARB는 angiotensin II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혈압을 낮춥니다. Losartan, Valsartan, Telmisartan 등이 이에 속합니다. 간호 시 첫 투여 시 실신 가능성에 주의하고, 간 또는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
9. 항고혈압제 투여 환자 간호항고혈압제의 적응증, 투여 목적, 사용 원칙, 장단점을 환자에게 설명합니다. 약물의 특성, 부작용 등을 교육하고, 저혈압, 변비, 전해질 불균형 등의 증상 발생 시 즉시 보고하도록 합니다. 움직임이 적은 상태, 뜨거운 목욕, 과도한 음주, 운동 후 등의 상황에 주의하도록 교육합니다.
-
1. 고혈압고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으로 인해 심장, 뇌, 신장 등 주요 장기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고혈압 관리를 위해서는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필요한 경우 항고혈압제 투여를 통해 혈압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혈압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항고혈압제 투여 목적항고혈압제는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을 낮추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처방됩니다. 항고혈압제는 혈관을 확장시키거나 심장 박동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전으로 작용하여 혈압을 낮추게 됩니다. 항고혈압제 투여의 주된 목적은 장기적으로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예방하고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의사의 처방에 따라 규칙적으로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혈압 조절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약물 용량 조절 등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혈관확장제혈관확장제는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제의 한 종류입니다. 혈관확장제는 혈관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을 이완시키거나, 교감신경계에 작용하여 혈관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혈압을 낮추게 됩니다. 대표적인 혈관확장제로는 니트로글리세린, 히드랄라진, 미노ксidiil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혈관확장제는 단독 또는 다른 항고혈압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며, 혈압 조절에 효과적입니다. 다만 저혈압, 두통,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
4. 칼슘 통로 봉쇄제칼슘 통로 봉쇄제는 혈관 평활근 세포의 칼슘 유입을 차단하여 혈관을 이완시키고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제입니다. 대표적인 칼슘 통로 봉쇄제로는 암로디핀, 니페디핀, 딜티아젬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심장 박동 수와 수축력을 감소시키고 말초 혈관을 확장시켜 전반적인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냅니다. 칼슘 통로 봉쇄제는 단독 또는 다른 항고혈압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며, 비교적 부작용이 적은 편입니다. 다만 어지러움, 부종, 두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
5. 교감신경 차단제교감신경 차단제는 교감신경계에 작용하여 혈관 수축을 억제하고 심장 박동 수와 수축력을 감소시켜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제입니다. 대표적인 교감신경 차단제로는 프로프라놀롤, 메토프롤롤, 아테놀롤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베타 차단제라고도 불리며, 심근경색이나 협심증 등 심혈관 질환 환자에게도 처방될 수 있습니다. 교감신경 차단제는 단독 또는 다른 항고혈압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서맥, 저혈압, 피로감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
6. 이뇨제이뇨제는 신장에 작용하여 체내 수분과 나트륨 배출을 증가시켜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제입니다. 대표적인 이뇨제로는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클로르탈리돈, 푸로세미드 등이 있습니다. 이뇨제는 단독 또는 다른 항고혈압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며, 혈압 강하 효과 외에도 부종 감소, 심부전 증상 완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저혈압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
7. ACE 억제제ACE(Angiotensin-Converting Enzyme) 억제제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제입니다. 대표적인 ACE 억제제로는 에날라프릴, 리시노프릴, 캅토프릴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약물은 혈관 수축을 억제하고 나트륨과 수분 배출을 증가시켜 혈압을 낮추게 됩니다. ACE 억제제는 단독 또는 다른 항고혈압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며, 부작용으로 기침, 저혈압, 신기능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
8. ARBARB(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는 안지오텐신 II 수용체를 차단하여 혈압을 낮추는 항고혈압제입니다. 대표적인 ARB로는 losartan, valsartan, candesartan 등이 있습니다. ARB는 ACE 억제제와 유사한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내지만, ACE 억제제에 비해 기침과 같은 부작용이 적은 편입니다. ARB는 단독 또는 다른 항고혈압제와 병용하여 사용되며,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신장 보호 효과도 있습니다. 다만 저혈압, 고칼륨혈증, 신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주의 깊게 사용해야 합니다.
-
9. 항고혈압제 투여 환자 간호항고혈압제 투여 환자 간호에서는 혈압 모니터링, 부작용 관찰, 약물 복용 순응도 확인 등이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기록하여 혈압 조절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어지러움, 두통, 피로감 등의 부작용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필요 시 의사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환자 교육을 통해 약물 복용의 중요성, 부작용 관리 방법 등을 안내하여 환자의 약물 복용 순응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와 함께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단 등의 자가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종합적인 고혈압 관리를 도모해야 합니다.
-
만성 신부전 환자의 간호과정1. 만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환자인 김씨는 5년 전 고혈압 진단을 받고 항고혈압약을 복용 중이었습니다. 평소 회식이 잦아 술을 자주 마시고 30년 동안 하루 1갑씩 담배를 피웠습니다. 최근 식욕 감소, 피로, 부종, 소변량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 병원에 내원하여 만성신부전 진단을 받았습니다. 환자는 자녀들의 교육비와 본인의 병원비에 대한 걱정으로 불안과...2025.01.23 · 의학/약학
-
자간전증 케이스 연구1. 자간전증 자간전증은 임신 중독증이라고도 하며 이는 임산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심각한 질환 중 하나이다. 임신한 여성의 약 3~7%에서 임신중독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것은 주로 임신 20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치료를 받지 않으면 모체의 장기 손상이나 발작으로 이어질수 있어 매위 위험하다. 또한, 임신시 고혈압성 건강 문제는 가장 흔한 내과적 합...2025.05.09 · 의학/약학
-
A+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보고서 (순환기계 고혈압환자 사례 간호 진단 3가지)1. 순환기계 순환기계는 심장과 혈관을 통합하여 지칭하며, 심장, 혈액, 혈관, 림프계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은 근육으로 이루어진 장기로 1분에 60~80회 정도 수축하여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혈액을 온몸에 흐르게 한다. 혈관은 심장이 뿜어내는 혈액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순환기계의 주요 기능은 세포에 필요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것...2025.01.16 · 의학/약학
-
간호학과 성인간호학실습 만성신부전 CASE STUDY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4개)1. 요산 축적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심음과 폐음을 청진하고 말초 부종, 울혈, 호흡곤란 유무를 사정한다. 고혈압 유무와 정도를 사정하고 혈압을 측정하며 체위에 따른 혈압의 변화를 사정한다. 흉통의 유무, 부위, 방사, 정도(0~10점)를 평가하고 심호흡이나 앙와위에서 심해지는지 파악한다. 심장 마찰음, 말초 맥박, capillart refill, 의식 ...2025.01.1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신부전 문헌고찰, 시나리오, 간호과정1. 만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5단계로 나누어지며, 잘 관리하지 않으면 마지막 단계로까지 악화되어 결국은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을 해야 한다. 만성 신부전의 주된 발병 원인은 당뇨병성 신장질환,...2025.05.02 · 의학/약학
-
ICH 사례 연구: 뇌내출혈 간호과정1. 뇌출혈의 정의와 유형 뇌출혈은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뇌혈관 질환으로, 출혈 부위에 따라 뇌내출혈, 뇌실내출혈, 경막외출혈, 경막하출혈, 지주막하출혈 등으로 나뉜다. 이 중 가장 흔한 것은 뇌내출혈과 지주막하출혈이다. 2. 뇌출혈의 원인 및 병태생리 뇌출혈의 주요 원인은 고혈압, 아밀로이드혈관병, 동정맥기형, 동맥류, 모야모야병, 혈액질환 등이며, ...2025.05.0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고혈압 환자사례 TBL(간호학습) 19페이지
Report고혈압 환자사례간호학습? 과 목 명 :? 학 과 :? 담당교수 :? 학번/이름:? 제 출 일 :상황 1정 xx님은 72세(남)로, 최근 건강검진을 시행한 결과 혈압이 160/110 mmHg로 나타나 고혈압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다. 형제자매는 2남 1녀 중 둘째인 정 xx님은 다른 형제들은 고혈압이 없는데 왜 본인만 고혈압인지 궁금해 하며 과거 아버지가 당시 68세에 갑작스런 의식불명으로 병원에 실려가셨다가 심근경색이라는 진단을 받고 일주일 만에 돌아가셨기 때문에 자신에게도 그런 일이 생길까봐 걱정하고 있다.학습 1)정 ...2024.07.09· 19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간단 5페이지
성인간호실습Rectal cancer간호진단 및 간호과정1. 간호진단#1 침습적인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2 고도비만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압의 위험#3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1 침습적인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간호진단침습적인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간호사정sub.data- noneobj.data- 10.26 수술 후 Hemovac 유지- 10.26~10.30 Foley catheter 유지- 10.29 CRP 8.22간호계획간호목표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염증수치(CRP, WBC)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대상자는 배액관...2021.06.26· 5페이지 -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뇌출혈-중환자실 실습 33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보고서실습명실습기간실습기관담당교수제출일학번이름-목 차-1.간호력12.현 건강상태23.질병에 대한 기술54.대상자의 간호과정75.투약196.특수치료227.참고문헌231. 간호력 (NursingHistory)1) 일반적 사항이름 (Name)장OO나이 (Age)1963.03.07.(56세)성 (Sex)M교육정도(Educational Background)대졸결혼여부(Marital Status)기혼수술일시(Date of operation)04.05입원일시(Date of Admission)2019.04.06입원기간(Duratio...2021.05.11· 33페이지 -
두개내출혈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2개 A+ 받았습니다 9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1.^2.^3)^4)(^5)(^6)^7^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4)(^5)(^6)^7^8^1.^2.^3)^...2023.12.03· 9페이지 -
[약리학A+ 케이스적용] 고혈압 약물치료에 적용되는 약물 분석 4페이지
I. 서론‘침묵의 살인자’라고도 불리는 고혈압은 높은 유병률을 가지는 질환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 성인 남성에서 26.6%, 여성은 21.3%가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혈압은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인 뇌심혈관질환의 주된 유험요인으로, 2005년 고혈압과 관련한 사망을 22.9% 야기했다.고혈압 환자에 있어 조절된 혈압은 뇌혈관질환과 허혈성 심장 질환을 각각 35%와 21%만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고혈압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나는 본 에세이에서 고혈압으로 인해 콩팥기능이상이 생긴 환자...2022.11.16·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