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20일 한국중국 FTA가 발효되었다
본 내용은
"
2015년 12월 20일 한국중국 FTA가 발효되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9
문서 내 토픽
  • 1. 한·중 FTA 의의
    한·중 FTA 타결이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중국에게 한중FTA는 기존 중국이 이웃국가 혹은 경제소국과 체결한 FTA와는 달리 한국이 제조강국이라는 점에서 무역의 실질적인 확대를 낳을것이고, 한미FTA로 인하여 중국이 입을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하며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기반이 될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나라 경제 미래의 성장동력을 확보했다.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내수시장을 우리나라의 경쟁국인 일본 및 대만보다 한발 더 앞서 선점하게 되면서 우리나라 경제 미래의 성장동력을 확보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중국 내에서 우리나라의 이익 보호를 위한 제도적인 기반을 구축하였다. 한·중 FTA를 통해서 현재 중국 내에 진출한 2만개의 우리나라 기업의 누적 투자액은 490억불에 해당되며, 40만 명에 달하는 우리나라 국민을 더 효과적으로 보호 가능하게 되었다. 글로벌 FTA 네트워크의 완성과 더불어 동아시아 경제 통합을 주도하게 된다.
  • 2. 한·중 FTA 장단점
    1) 한·중 FTA 체결의 장점: 우리 경제의 새로운 활력소와 미래 성장 동력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은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인 동시에 우리의 최대 교역상대국이다. 지금까지 대중국 무역은 중간재를 수출하여 중국에서 가공을 하고 제3국으로 수출하는 가공무역이 상당한 비용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중국의 가공무역 수입 비중이 하락하고 있다. 일본, 미국 등 다른 경쟁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가공수출의 비중을 줄이고 중국 내수를 겨냥한 일반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 만약 한중FTA가 체결되면 일반무역 관세가 낮아짐으로 인하여 내수시장 진출을 확장시킬 수 있다. 2) 한·중 FTA 체결의 단점: 한중 FTA로 체결로 인하여 생기는 가장 큰 문제점은 농업 분야이다. 농업 분야에서 이미 한국과 중국은 생산량과 가격에서 이미 큰 차이가 나고, 중국이 거리상으로도 미국보다 가깝다. 따라서 한미 FTA때는 큰 타격을 받지 않았던, 가격이 저렴한 서민용 농산물도 큰 피해를 입을 것이라 예상한다. 학계와 농민단체와 더불어 2010년 한중 FTA 산관학 공동연구보고서에 의하면 한중 FTA로 인하여 농업 전체 피해액이 15년간 약25조에서 29조의 피해를 입을 것이며 이는 한미FTA로 인하여 생긴 손해보다 2.4배에서 많게는 5배 이상 많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한·중 FTA 의의
    한·중 FTA는 한국과 중국 간의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협정입니다. 이를 통해 양국 간 무역과 투자가 활성화되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더 쉽게 진출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성장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한·중 FTA는 양국 간 경제협력을 강화하고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 2. 한·중 FTA 장단점
    한·중 FTA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양국 간 무역과 투자가 활성화되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입니다. 둘째,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 더 쉽게 진출할 수 있게 되어 새로운 성장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셋째, 소비자들은 보다 다양한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한편 단점으로는 첫째,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농업, 수산업 등 취약 산업의 경우 중국 제품과의 경쟁 심화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둘째, 중국 기업의 국내 시장 잠식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우려가 있습니다. 셋째, 환경 및 노동 기준 등에서 양국 간 격차로 인한 갈등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중 FTA의 장단점을 균형있게 고려하여 국내 취약 산업에 대한 지원 대책 마련,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 환경 및 노동 기준 제고 등의 보완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