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20일 한국ㆍ중국 FTA가 발효되었다
- 최초 등록일
- 2023.03.07
- 최종 저작일
- 2023.03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국제경영
주제: "2015년 12월 20일 한국ㆍ중국 FTA가 발효되었다.
1. 한ㆍ중 FTA의 의의를 서술하시오.
2. 한ㆍ중 FTA에 의한 한국측의 득과 실을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ㆍ중 FTA의 의의
2. 한ㆍ중 FTA에 의한 한국측의 득과 실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나라와 중국은 2015년 한ㆍ중 자유무역협정을 타결하였다. 2005년 중국과 민간 공동연구를 시작으로 2012년부터 정부 간 첫 협상 이후 30개월 만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OECD 국가로는 유일하게 글로벌 3대 경제권인 미국, EU(유럽연합), 중국 모두와 FTA를 체결한 국가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자원은 한정적이기에 수출 비중이 절대적인 우리나라 제조 산업에 중국과 자유무역협정이 가져다주는 의미는 미국과 EU와는 다르다. 중국은 우리나라 최대 수출시장이자 세계에서 바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한ㆍ중 FTA는 거대한 중국 시장에 우리나라가 깊숙이 진출할 수 있기에 상호 협력을 활발히 확대할 수 있다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본론에서는 한ㆍ중 FTA의 의의와 한국 측의 득과 실에 대해서 작성해 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한ㆍ중 FTA의 의의
1) 의의
첫 번째로는 우리나라 경제의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내수시장을 우리나라의 경제국인 일본, 대만보다 한발 앞서서 선점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박재규, [기고]한ㆍ중 FTA 발효 한시라도 빨리 이뤄져야, 전자신문, 2015.11.12.
배찬권, 한ㆍ중 FTA 발효 이후 한ㆍ중 무역의 변화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9.12.10.
조사국 중국경제팀, 최근 중국의 무역구조 변화 특징 및 전망, 한국은행, 2018.12.02.
감일근, [한ㆍ중 FTA] 한ㆍ중 FTA의 ‘득과 실’은?, 노컷뉴스, 2014.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