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주요 FTA 체결 현황과 교역 규모 변화
본 내용은
"
우리나라가 체결한 FTA를 소개하고 체결 전후의 교역규모를 비교, 제시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9
문서 내 토픽
  • 1. 한-칠레 FTA
    한-칠레 FTA는 2004년 한국이 체결한 첫 자유무역협정으로, 자원 의존적인 칠레와 제조업 중심의 한국 사이에 상호 보완적인 산업 구조를 기반으로 성립되었습니다. FTA 체결 전 양국 간 연간 교역 규모는 15억 달러에 불과했지만, 2022년에는 83억 달러로 5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칠레는 구리와 탄산염 같은 광물 자원의 대규모 수출을 통해 무역 수혜국이 되었고, 한국은 자동차, 트럭, 화학제품 등 고부가가치 품목의 수출을 크게 증가시켰습니다.
  • 2. 한-싱가포르 FTA
    2006년 발효된 한-싱가포르 FTA는 동남아시아의 금융 및 물류 허브인 싱가포르와의 경제적 협력을 강화하였습니다. 체결 전 양국 간 교역은 약 90억 달러였으나, 2021년 기준 230억 달러로 2.5배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FTA 이후 금융 서비스 부문에서의 협력이 크게 강화되었으며, 물류와 해운 부문에서도 교역이 활발해졌습니다.
  • 3. 한-EFTA FTA
    한-EFTA FTA는 2006년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으로 구성된 유럽 자유무역연합(EFTA)과 체결된 협정입니다. FTA 체결 전 EFTA와의 교역 규모는 약 40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22년에는 80억 달러로 두 배가량 증가하였습니다. 주요 교역 품목으로는 한국의 자동차, 전자제품, 화학제품 등이 있으며, EFTA 회원국들은 주로 의약품과 정밀 기계,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한국과의 교역을 확대하였습니다.
  • 4. 한-아세안 FTA
    2010년 발효된 한-아세안 FTA는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하고, 한국의 제조업과 아세안의 자원, 인적 자원을 상호 보완하는 형태로 설계되었습니다. FTA 체결 전 한국과 아세안 간 교역 규모는 900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20년까지 2000억 달러 목표를 향해 성장했습니다. 전자 제품, 섬유 제품 등이 핵심 교역 품목으로 부상하였으며, 아세안은 한국의 2대 교역 파트너로 자리 잡았습니다.
  • 5. 한-인도 CEPA
    2010년 발효된 한-인도 CEPA는 한국과 인도 간의 무역 장벽을 제거하고,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을 더욱 심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2010년 협정 체결 당시 양국의 교역 규모는 약 170억 달러였으나, 2022년 상반기에는 142억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비록 글로벌 팬데믹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감소세를 보였으나, 2022년 코로나19 회복세에 힘입어 교역 규모는 30% 이상 증가하는 회복세를 기록하였습니다.
  • 6. 한-EU FTA
    2011년에 발효된 한-EU FTA는 유럽 연합과의 경제적 관계를 대폭 강화하였습니다. FTA 발효 후, 양국 간 교역은 70.8% 증가하여 2021년에는 1,073억 유로에 달하였습니다. 특히, EU의 한국 투자는 2019년까지 39% 증가하여 440억 유로에 달했고, 한국의 EU 투자는 같은 기간 151% 증가하여 290억 유로로 확대되었습니다.
  • 7. 한미 FTA
    2012년 발효된 한미 FTA는 양국 간 교역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한 협정입니다. FTA 체결 전 양국의 교역량은 약 1000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22년에는 1690억 달러로 급증하였습니다. FTA 발효 후 한국의 자동차 수출은 약 300억 달러로 증가하였고, 미국은 농산물 및 에너지 수출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8. 한-터키 FTA
    2013년 발효된 한-터키 FTA는 양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산업재 교역을 대폭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FTA 체결 후, 양국 교역은 52.2억 달러에서 82.6억 달러로 58% 증가하였습니다. 터키는 섬유와 기계류를 한국으로 수출하고, 한국은 전자제품과 자동차를 터키에 공급하면서 양국 간 상호 이익을 실현하였습니다.
  • 9. 한-호주 FTA
    2014년 발효된 한-호주 FTA는 주로 광물 자원과 농산물의 교역을 중점으로 하였습니다. FTA 체결 전 양국 간 교역 규모는 약 300억 달러였으나, 2021년에는 400억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한국은 호주로부터 철광석과 석탄을 수입하는 한편, 자동차, 전자제품 등을 호주로 수출하였습니다.
  • 10. 한-베트남 FTA
    2015년에 발효된 한국-베트남 FTA는 양국 간 경제 관계를 심화시키는 중요한 협정입니다. FTA 발효 후, 양국 간 교역 규모는 3배 이상 증가하여 베트남은 한국의 주요 교역국으로 부상하였습니다. 전자제품, 섬유, 농산물 등이 핵심 교역 품목으로 자리 잡았으며, 한국의 대베트남 투자도 크게 늘어났습니다.
  • 11. 한-중 FTA
    2015년 발효된 한-중 FTA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 대국인 중국과의 교역을 확대하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었습니다. FTA 발효 후 양국 간 교역은 3104억 달러로, 발효 전 대비 36.5% 증가하였습니다. 한국은 주로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화학제품을 중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중국은 원자재와 소비재 부문에서 한국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한-칠레 FTA
    한-칠레 FTA는 2004년 4월 1일 발효되어 양국 간 무역과 투자를 크게 증진시켰습니다. 칠레는 우리나라의 중요한 교역 상대국이자 자원 공급국으로, 이 FTA를 통해 양국 간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농수산물, 광산물, 화학제품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한-싱가포르 FTA
    한-싱가포르 FTA는 2006년 3월 2일 발효되어 양국 간 무역과 투자를 크게 증진시켰습니다. 싱가포르는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 상대국이자 투자 대상국으로, 이 FTA를 통해 양국 간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서비스 무역, 투자, 정부조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확대되었고, 이를 통해 양국 경제의 상호 보완성이 높아졌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한-EFTA FTA
    한-EFTA FTA는 2006년 9월 1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EFTA(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4개국 간 무역과 투자를 증진시켰습니다. EFTA 국가들은 선진 경제 국가로, 이 FT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산업기계, 자동차, 화학제품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한-아세안 FTA
    한-아세안 FTA는 2007년 6월 1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아세안 10개국 간 무역과 투자를 크게 증진시켰습니다. 아세안은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 상대국이자 투자 대상지역으로, 이 FT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전자, 기계, 화학제품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한-인도 CEPA
    한-인도 CEPA는 2010년 1월 1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인도 간 무역과 투자를 증진시켰습니다. 인도는 거대 신흥 시장으로, 이 CEP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 기계, 화학제품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한-EU FTA
    한-EU FTA는 2011년 7월 1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EU 간 무역과 투자를 크게 증진시켰습니다. EU는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 상대국이자 투자 대상지역으로, 이 FT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 기계, 화학제품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한미 FTA
    한미 FTA는 2012년 3월 15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미국 간 무역과 투자를 크게 증진시켰습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자 투자 대상국으로, 이 FT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자동차, 기계, 화학제품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한-터키 FTA
    한-터키 FTA는 2013년 5월 1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터키 간 무역과 투자를 증진시켰습니다. 터키는 거대 신흥 시장으로, 이 FT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기계, 화학제품, 철강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9. 한-호주 FTA
    한-호주 FTA는 2014년 12월 12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호주 간 무역과 투자를 증진시켰습니다. 호주는 우리나라의 주요 자원 공급국이자 농수산물 수출국으로, 이 FT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광산물, 농수산물, 에너지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0. 한-베트남 FTA
    한-베트남 FTA는 2015년 12월 20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베트남 간 무역과 투자를 크게 증진시켰습니다. 베트남은 우리나라의 주요 교역 상대국이자 투자 대상국으로, 이 FT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전자, 기계, 섬유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1. 한-중 FTA
    한-중 FTA는 2015년 12월 20일 발효되어 우리나라와 중국 간 무역과 투자를 크게 증진시켰습니다. 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 상대국이자 투자 대상국으로, 이 FTA를 통해 양측의 경제 협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전자, 기계, 화학제품 등의 교역이 활성화되었고, 투자 증진으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있었습니다. 다만 일부 국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도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