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F 수술 후 구획증후군 관리
본 내용은
"
vsim 브이심 Marilyn Hughes 5,6 단계 (Documentation Assignments, Guided Reflection Question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구획증후군Marilyn은 ORIF 수술 후 왼쪽 다리에 구획증후군의 증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무감각, 동맥관류 저하, 피부 창백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우 신속한 중재가 필요하며, 붕대를 느슨하게 풀어주고 다리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중재 후 통증 감소, 혈압 안정화, 맥박 회복 등의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
2. 통증 사정Marilyn은 수술 후 통증을 호소했으며, 간호사는 NRS 척도를 사용하여 통증 정도를 평가했다. 통증 사정 시 통증의 양상, 부위, 정도 등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3. 활력징후 모니터링Marilyn의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변화를 확인했다. 수술 후 혈압 상승, 맥박 증가 등의 징후가 나타났으며, 중재 후 활력징후가 안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력징후 모니터링은 환자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4. 신경혈관 사정Marilyn의 왼쪽 다리에서 감각 저하와 맥박 소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구획증후군으로 인한 신경혈관 기능 저하를 나타내는 징후이다. 신경혈관 사정은 구획증후군 진단에 필수적이다.
-
5. 간호 우선순위 선정Marilyn의 경우 구획증후군, 낙상 위험, 감염 위험, 피부 손상 위험 등의 간호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
1. 구획증후군구획증후군은 근육 내 압력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증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통증 사정, 근육 경도 측정, 신경혈관 상태 확인 등을 통해 구획증후군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압박 드레싱, 거상, 수액 공급 등의 보존적 치료와 함께 외과적 감압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를 신속히 시행하여 영구적인 신경 손상과 근육 괴사를 예방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구획증후군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의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환자의 예후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2. 통증 사정통증 사정은 환자의 치료와 간호 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통증 양상, 강도, 지속 시간, 악화 요인 등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통증 사정 도구를 활용하여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 경험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환자의 비언어적 표현도 함께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통증 관리를 위한 약물 및 비약물적 중재를 적절히 제공하고, 그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치료 과정에서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3. 활력징후 모니터링활력징후 모니터링은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체온, 맥박, 호흡, 혈압 등의 활력징후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리적 변화를 파악하고,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신속히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활력징후 모니터링 결과를 의사와 공유하여 환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치료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확하고 신속한 측정 및 기록을 통해 환자 안전과 건강 관리에 기여해야 합니다.
-
4. 신경혈관 사정신경혈관 사정은 환자의 신경 및 혈관 기능을 평가하여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감각, 운동, 순환 기능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기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감각 및 운동 기능 검사, 말초 맥박 촉진, 피부 색깔과 온도 확인 등의 다양한 사정 방법을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사정 결과를 의사와 공유하여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 시 신속한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신경혈관 사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문성을 갖추어 환자의 합병증 예방과 건강 증진에 기여해야 합니다.
-
5. 간호 우선순위 선정간호 우선순위 선정은 환자의 건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가장 시급한 문제부터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간호 요구도를 종합적으로 사정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환자의 생명, 기능, 안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중재의 시급성과 효과성을 평가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의 요구사항도 함께 반영하여 환자 중심의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간호 우선순위 선정 과정에서 전문성과 윤리성을 발휘하여 환자의 건강과 안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VSIM - Surgical Scenario 1 Marilyn Hughes(간호과정 2개, 문헌고찰, 퀴즈, 약물조사)1. 하퇴골절(lower leg fracture, fractures of tibia and fibula) 하퇴골(무릎 밑부터 발목까지의 다리뼈)은 경골과 비골로 구성되어 있다. 경골(정강이뼈)은 내측에 있는 굵은 뼈이며, 비골은 하퇴의 외측에 있는 가는 뼈다. 이 뼈들이 연속성을 잃은 상태를 골절이라고 한다. 경골과 비골이 골절되면 골절 부위에 심한 통증이...2025.05.08 · 의학/약학
-
대퇴원위부골절 ORIF 케이스스터디1. 대퇴골 원위부 골절의 해부생리 대퇴 원위부는 피질골이 얇고 넓은 골수강을 가지는 해부학적 특성이 있어 관절 내 골절 시 분쇄가 심하고, 특수한 각과 여러 근육들의 작용으로 인해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 및 유지가 쉽지 않다. 특히 노인 환자의 대퇴골 원위부 골절은 골다공증으로 인한 고정력 감소 및 이로 인한 고정 실패가 발생하기 쉽다. 2. 대퇴골 원위부...2025.01.28 · 의학/약학
-
Rt.radioulnar shaft fx. 우측 요척골 몸통 골절 ORIF 수술실 케이스1. 골절 골절은 뼈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로, 외부적 힘에 의해 발생한다. 골절의 치유과정은 혈종 형성, 세포 증식, 가골 형성, 골화, 골 재형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골절의 증상으로는 통증, 기능 상실, 기형, 부종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X-ray, MRI, CT 등의 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로는 정복, 고정, 재활 등이 이루어지며, 합병증으로는 동...2025.01.0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실습 TKRA, THRA, ORIF 정형외과 처치 및 검사 주제발표1. TKRA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슬관절 전 치환술) TKRA는 주로 퇴행성 관절염에 시행하는 무릎 인공관절 치환술의 한 종류로, 대퇴골, 경골, 슬개골의 연골이 파괴된 상태에서 금속 및 폴리에틸렌 인공 보철기로 슬관절 전체를 대치하는 수술이다. TKRA의 목적은 슬관절 통증을 없애고 경화된 관절의 기능을 소...2025.05.10 · 의학/약학
-
[A+] vsim_Marily Hughes 간호과정(간호과정3개)1. 급성통증 타는 듯이 아프다고 말함으로 나타나는 복합적 요인(압박된 드레싱, 폐쇄된 구획 내 조직압의 상승)과 관련된 급성통증에 대해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활력징후 측정, 통증 사정, 드레싱 부위 사정 및 관리, 구획증후군 증상 확인, 담당의 보고, 대상자 교육 등의 중재를 통해 통증 관리를 하고자 하였다. 2. ...2025.05.01 · 의학/약학
-
종합실습 주요 시술/수술/침습적 검사 관련 간호활동1. Total knee replacement 무릎치환술은 무릎의 한쪽 구획에 진행된 관절염, 염증성 관절염, 관절강직 또는 인대 손상 등의 적응증으로 시행됩니다. 합병증으로는 탈구, 감염, 출혈, 빈혈, 경골 골절, 신경 및 혈관 손상, 지속되는 관절통, 정맥혈전증, 폐색전 등이 있습니다. 간호사는 수술 전 대상자의 심리적 두려움과 불안을 해소하고, 관절...2025.01.24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골절 case study (임상추론관찰, 간호과정3개 포함) 30페이지
Case study-골절-목 차Ⅰ. 문헌고찰-------------------------------1. 골절의 정의와 원인2. 골절의 분류3. 골절의 임상증상4. 골절의 합병증5. 골절의 진단방법6. 골절의 치료방법7. 골절의 간호방법8. 저널리뷰Ⅱ. 사례보고서 ----------------------------1. 간호정보조사지2. 입원일 ~ 사정일까지의 간략한 환자상태3. 진단검사4. 혈액검사(1) Hematology (2) Urinalysis (3) Blood Chemistry5. 간호과정(1) 간호문제 (간호진단들)#1. 신...2024.05.31· 30페이지 -
성인간호학 하지골절/구획증후군 VISM 케이스스터디 사례보고서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24페이지
성인간호학 하지골절 VSIM 사례연구보고서Marllyn Hughes간호진단 3개 / 간호과정 2개하지 골절 (Lower leg fracture)/구획증후군Ⅰ. 서론1. 질병의 통계적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통계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등의 충격으로 발생할 수 있는 요추·골반 및 대퇴골 골절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252만3532명으로 집계됐다.눈 등이 얼어붙어 빙판이 생기는 12월에는 요추·골반의 골절 환자수가 14만1193명으로 가장 많았고 1월에는 대퇴골 골절 환자가 ...2021.08.13· 24페이지 -
[A+] vsim_Marily Hughes 간호과정(간호과정3개) 8페이지
vsim 간호과정Marily Hughes1. 급성통증2. 지식부족3. 신체 기동성 장애A. 우선순위선정근거간호진단Maslow 욕구위계이론요구도심각도해결가능성총점순위타는 듯이 아프다고 말함으로 나타나는 복합적 요인(압박된 드레싱, 폐쇄된 구획 내 조직압의 상승)과 관련된 급성통증4332121ORIF 후 석고 드레싱으로 인한 부동과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4222103ORIF 후 상황에 대한 정보 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42231121. 타는 듯이 아프다고 말함으로 나타나는 복합적 요인(압박된 드레싱, 폐쇄된 구획 내 조직압의 상승)과 ...2023.02.26· 8페이지 -
성인간호학 대퇴골 전자골절 A+케이스 (간호진단 수술과관련된급성통증, 장시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 25페이지
Fx intertrochanter femur Lt.(좌측 대퇴골 전자 골절)목차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관계 문헌의 개요Ⅱ. 본 론1. 간호사정1) 주관적 자료(1) 개인정보ⓐ 입원동기 및 입원경로ⓑ 입원시 상태(2) 간호력 사정ⓐ 기본 욕구 사정ⓑ 과거 건강력 사정2) 객관적 자료(1) 신체 검진(2) 검사 소견(3) 의학적 치료 계획내과적 치료(식이요법, 약물요법 등)외과적 치료특수 치료 요법2. 진행기록3. Problem List4. 간호진단5. 간호과정 적용Ⅲ. 결 론참고 문헌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2024.03.29· 25페이지 -
Marilyn Hughes- ORIF 왼쪽 경골-섬유막 골절상(Lower Leg Fracture) 2페이지
vSIM 모듈 학습보고서학번성명실습지도교수실습교과목명성인간호학 l실습기간2021. 04. 05. ~ 2021. 04. 16작성일자2021. 04. 05시나리오Marilyn Hughes는 45세의 여성으로 오늘 아침 젖은 계단에서 미끄러지면서 왼쪽 경골-섬유막 골절상(Lower Leg Fracture)을 입었습니다. 그녀는 ORIF(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ing)를 위해 극장으로 끌려갔다. 그녀는 무릎 아래 석고 백슬래브 드레싱을 하고 13:45 시간 수술을 마치고 돌아왔다.환자정보요약활력징후는 안정...2022.04.16· 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