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하증권
본 내용은
"
선하증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03
문서 내 토픽
-
1. 선하증권의 의의와 기능선하증권(Bill of Lading : B/L)은 선주가 자기 선박에 하주로부터 의뢰받은 운송화물을 적재하고 또는 선적을 위하여 그 화물을 수취한 것을 증명하고, 이것을 도착항에서 일정조건하에 수하인 또는 그 지시인에게 인도할 것을 약정한 유가증권이다. 선하증권은 선장 또는 선주의 대리인으로서 정당한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서명한 화물수취증(receipt of goods)이며, 현 시점에서 다른 더 완전한 운송계약이 없는 한, 송하인과 운송인 사이에서 협정된 구체적인 운송계약사항을 나타내는 증거서류의 역할을 한다. 또한 선하증권은 권리증권(document of title)으로, 정당한 소지인은 증권상에 기재된 물품을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
2. 선하증권의 법적 성질선하증권은 법률상 채권증권, 요식증권, 문언증권, 요인증권, 인도증권, 제시증권, 수여증권, 처분증권, 지시증권, 면책증권 등 다양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선하증권의 소지인은 선하증권과 상환으로 물건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으며, 선하증권은 유통을 전제로 작성 ? 발행되는 증권이므로 일정사항이 증권 자체에 기재되어야 한다. 또한 선하증권은 운송인 또는 그 대리인이 물건을 선적 또는 선적을 위하여 수취하였다는 요인이 있어야 발행되며, 증권의 정당한 소지인에게 물건을 인도하는 인도증권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
3. 선하증권의 종류선하증권에는 선적선하증권과 수취선하증권, 무사고선하증권과 사고부선하증권, 기명식선하증권과 지시식선하증권, 유통선하증권과 유통불능선하증권, 복합운송선하증권, 통과선하증권, 환적선하증권, 적색선하증권, 용선계약선하증권, 제3자명의 선하증권, FIATA B/L, 부서부선하증권, 집단선하증권, 약식선하증권, 기간경과선하증권, 전자식선하증권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각각의 선하증권은 발행 목적과 특성이 다르며, 거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선하증권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
1. 선하증권의 의의와 기능선하증권은 화물의 운송을 증명하는 중요한 서류로, 화물의 소유권 이전, 화물의 인도, 화물의 담보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선하증권은 화물의 수령, 선적, 목적지 도착 등 운송 과정을 기록하여 화물의 소유권과 처분권을 증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선하증권은 화물의 담보로 활용되어 화물 소유자가 금융을 받을 수 있게 해줍니다. 이처럼 선하증권은 국제 무역에서 필수적인 서류로, 화물의 소유권 이전, 화물의 인도, 화물의 담보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국제 무역을 원활하게 하는 데 기여합니다.
-
2. 선하증권의 법적 성질선하증권은 화물 운송 계약의 증거 서면이자 화물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유가증권입니다. 선하증권은 화물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증권이므로 선하증권의 소지인이 화물의 소유자로 추정됩니다. 또한 선하증권은 화물 운송 계약의 증거 서면이므로 선하증권에 기재된 내용은 운송 계약의 내용을 구성합니다. 이처럼 선하증권은 화물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유가증권이자 운송 계약의 증거 서면으로서 중요한 법적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3. 선하증권의 종류선하증권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먼저 선하증권은 발행 주체에 따라 선박회사 발행 선하증권과 복합운송인 발행 선하증권으로 구분됩니다. 선박회사 발행 선하증권은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선하증권이며, 복합운송인 발행 선하증권은 복합운송인이 발행하는 선하증권입니다. 또한 선하증권은 화물의 인도 방식에 따라 기명식 선하증권, 지시식 선하증권, bearer 선하증권으로 구분됩니다. 이처럼 선하증권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별로 특징과 법적 효과가 다릅니다.
-
선하증권1. 선하증권 개관 선하증권(B/L : Bill of Lading)은 해상운송인에 대해 운송물의 인도청구권을 증권화한 유가증권입니다. 운송인이 그 증권에 기재된 화물을 수취하였음을 확인하고 또한 그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여 그곳에서 그 화물을 증권의 정당한 소지인(수하인)에게 인도해야 한다는 취지를 약정한 유가증권입니다. 선하증권은 요인증권, 문언증권, ...2025.01.22 · 법학
-
선하증권의 종류1. 선적선하증권과 수령선하증권 선적선하증권(Shipped B/L)은 화물이 실제로 본선에 적입된 후에 발행되는 것으로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수령선하증권(Received B/L)은 선적 전이라도 화물이 선박회사의 창고에 반입되면 화주의 요청에 따라 선박회사가 발행할 수 있다. 2. 무사고선하증권과 사고부선하증권 선적화물의 상태가 양호하여 약정 수량의...2025.01.29 · 경영/경제
-
선하증권의 유형1. 선적 선하증권과 수취 선하증권 선적 선하증권(Shipped or On Board B/L)은 증권면에 '선적 완료'를 나타내는 문구가 있는 반면, 수취 선하증권(Received B/L)은 화물이 아직 선박에 실리지 않은 상태에서 발행되는 선하증권을 말한다. 복합운송이 보편화되면서 수취 선하증권도 인정되고 있다. 2. 무고장 선하증권과 고장 선하증권 무고...2025.01.20 · 경영/경제
-
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의의 선하증권(Bill of Lading)은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여 해로를 통해 화물을 운송하고자 화주가 해상운송업자와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그 운송계약의 증거서류로서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운송서류입니다. 선하증권은 육상운송의 화물수취증과 같이 운송계약의 증거서류로서의 역할과 화주로부터 화물을 해상운송업자가 수취하였다는 사실을 입증하는...2025.01.20 · 경영/경제
-
선하증권의 개념, 선하증권 발행과 배서, 선하증권 수리요건1. 선하증권의 개념 선하증권(Bill of Lading : B/L)은 운송서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로서, 송하인과 수화인이 물품의 인도. 인수를 위하여 물품운송의 임무를 맡은 선박회사가 송하인의 청구에 의하여 발행하는 운송서류를 말한다. 선하증권은 선박회사가 물품을 수령한 것을 확인한 후, 양륙항에서 그 선하증권의 소지인에게 선하증권과 교환하여 물품을...2025.01.29 · 법학
-
선하증권의 법적 성질1. 요인증권 선하증권은 요인증권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선박회사가 화물을 수령하거나 적재하는 행위가 권리관계 성립의 요건이 된다. 화물을 수령하거나 적재하지 않으면 선하증권은 자동적으로 무효가 된다. 2. 요식증권 선하증권은 상법에 의해 기재사항이 정해져 있는 요식증권이다. 선하증권은 유통을 목적으로 발행되므로 제3자가 증권 상의 기재사항만으로도 권리관계...2025.01.20 · 법학
-
선하증권 7페이지
선하증권목차선하증권1. 선하증권 개관1) 선하증권의 정의2) 선하증권의 성질(1) 요인증권(2) 문언증권(3) 요식증권(4) 채권증권(5) 유통증권2. 선하증권의 종류1) 선적선하증권2) 수취선하증권3) 전통선하증권4) 무고장선하증권5) 고장선하증권6) 기명식 선하증권7) 지시식 선하증권8) 용선계약선하증권9) 컨테이너선하증권10) 유통선하증권과 유통불능선하증권11) 지연선하증권12) 환적선하증권13) 복합운송증권14) 적출항선하증권과 보관선하증권15) 운송주선인선하증권* 참고문헌선하증권1. 선하증권 개관1) 선하증권의 정의선하증권...2024.09.23· 7페이지 -
선하증권 5페이지
선하증권목차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의의와 성질(1) 선하증권의 의의(2) 선하증권의 성질2) 선하증권의 종류(1) 선적선하증권과 수취선하증권(2) 무사고선하증권과 사고부선하증권(3) 기명식선하증권과 지시식선하증권(4) 환적선하증권(5) 통과선하증권(6) 약식선하증권(7) Stale Bill Of Landing* 참고문헌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의의와 성질(1) 선하증권의 의의선하증권(bill of lading; B/L)이란 운송(선적) 서류 중에서 가장 중요한 서류의 하나로서 화주와 선학회사 간의 해상운송계약에 의하여 선박회사가 발행...2024.08.06· 5페이지 -
선하증권 4페이지
선하증권목차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의의2. 선하증권의 내용(1) 법정기재사항(2) 임의기재사항* 참고문헌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의의선하증권(Bill of Lading)은 선박에 화물을 적재하여 해로를 통해 화물을 운송하고자 화주가 해상운송업자와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그 운송계약의 증거서류로서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운송서류이다. 일반적으로, 화주는 화물을 선박에 적패할 수 있는 장소까지 운반하고, 이를 수취한 본선의 선장은 화물을 선박에 선적하고 그 증거서류로서 본선수취증(Mate's Receipt)을 화주에게 교부하게 된다. ...2024.08.14· 4페이지 -
선하증권 5페이지
선하증권목차[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기능2. 선하증권의 준거법3. 선하증권의 종류* 참고문헌[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기능해상운송에서 의미하는 선하증권(bill of lading)은 선주와 화주간의 운송계약에 의해 선주가 발행하는 일종의 유가증권을 말한다. 즉, 선하증권은 선주가 화주로부터 화물운송을 위탁받은 사실과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여 이를 선하증권의 소지자에게 인도할 것을 약속하는 증권이다.선하증권은 무역거래에서 반드시 요구되는 운송서류로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첫째, 선하증권은 선주와 화주간에 운송계약이 체결되었...2022.07.30· 5페이지 -
선하증권 6페이지
선하증권목차[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기능2. 선하증권의 역할3. 선하증권의 성질4. 선하증권의 종류* 참고문헌[선하증권]1. 선하증권의 기능선하증권의 기능을 보면, 첫째 선장이나 운송인의 대리인으로서 정당한 권한을 부여받은 자가 서명한 화물수령증(receipt for goods)이다. 따라서 면책위험이 적용되지 않는 한 수취한 물품을 그대로 인도해야 한다. 둘째, 선하증권에 기재된 화물에 대한 권원증권(document of title)이다. 따라서 소지인은 증권상에 기재된 화물을 처분할 수 있다. 셋째, 운송계약당사자 간 합의한 ...2022.05.19·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