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관용표현을 한개 선정하여 중급 학습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관용 표현의 특징
2.1. 비유와 은유의 다양한 활용
2.2. 사회적 예절 및 미묘한 감정 표현
2.3. 높임말과 반말의 적절한 사용
2.4. 직설적이지 않은 표현
2.5. 많은 고정어구와 표현의 다양성
2.6. 문학적인 표현의 사용
2.7. 순환적인 표현과 농담의 활용
3. 관용 표현 선정과 교수 방안
3.1. 관용 표현 범위 정하기
3.2. 기초적인 관용 표현 목록 선정
3.3. 구어적 관용 표현과 문어적 관용 표현 학습
3.4. '손 놓고 있다' 관용 표현 교수
4. 관용 표현 교육의 시사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관용어가 가지는 사전적인 의미나 문법적인 규칙은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실제 언어를 학습하고 습득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언어적인 학습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관용어에 중점을 둔 특별한 교육과정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다양한 학자들은 관용적인 표현을 이해하고 파악하지 못하면 기본적인 의사소통 과정에서 큰 장애를 겪을 수 있으며 완벽하고 충분한 언어를 활용하는 것이 힘들어진다고 하였다. 특히 외국인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이것이 언어를 습득하는 데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과 장벽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관용적인 표현에 대한 내용이 교재에 제대로 반영되어 있어야 한다. 중요한 것은 뒤처지지 않게 업데이트 된 정보들을 다루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내용을 제시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방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외국인학습자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문화적인 특성과 한국 문화의 특성의 관계성과 관련이 있다.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상당이 중요하다.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문화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관용어를 습득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적합한 교육방식이 필요한 것이다. 의사소통이라는 것은 단순한 이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상호적으로 본인의 의견을 주고 받는 것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다양한 언어 표현을 포함하여 관용표현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관용 표현의 특징
2.1. 비유와 은유의 다양한 활용
한국어 관용 표현은 비유와 은유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이다. 한국어 관용 표현은 다양한 비유와 은유를 통해 특정 상황이나 감정을 생동감 있게 표현한다. 동물, 자연, 역사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은유적 표현을 만들어냄으로써 직설적인 표현보다 더 함축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유와 은유의 활용은 한국어 관용 표현의 주된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이다.
2.2. 사회적 예절 및 미묘한 감정 표현
한국어 관용 표현은 사회적 예절 및 미묘한 감정 표현을 중요하게 다룬다"" 한국어 관용 표현은 상황에 따른 예의 있는 언어 사용을 반영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어에서는 존경, 겸손, 감사, 사과 등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데 관용 표현이 활용된다"" 예를 들어 ""인사를 잘했어요""라는 관용 표현은 감사의 표현을, ""사과드립니다""는 사과의 표현을 나타낸다. 이처럼 한국어 관용 표현은 상호작용에 필요한 사회적 예절과 미묘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2.3. 높임말과 반말의 적절한 사용
한국어 관용 표현의 특징 중 '높임말과 반말의 적절한 사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에서는 높임말과 반말이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되는데, 관용표현은 이러한 언어적 차이를 반영하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버님, 밥 잡수셨습니까?"와 같이 존칭의 높임말을 사용하거나, "야, 밥 먹었냐?"와 같이 반말을 사용하는 등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적절한 높임말과 반말을 구사하는 것이 한국어 관용표현의 특징이다. 이는 한국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공손함을 잘 드러내는 언어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2.4. 직설적이지 않은 표현
한국어 관용 표현은 직설적이지 않은 표현으로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특정 상황이나 사람 간의 관계...
참고 자료
유현경. 사전 활용하기를 통한 관용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전북대학교. 2016.
곽성은. 신체 관용어의 교육 현황과 교수 방안. 동덕여자대학교. 2014.
http://down.edunet4u.net/KEDNCM/A000800002_20150825/core_e6_kor_02_04_01.pdf.
국립국어원 https://www.korean.go.kr/.
김원경, 외국어로서의 한국 어휘교육론, 진흥원격평생교육원 교안.
전혜영(2001),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논문.
문금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이중언어학회,학술논문,1998
박미선,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육 방안’,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학위논문,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