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식품미생물 막걸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식품미생물 막걸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막걸리의 정의와 종류
1.1. 막걸리란 무엇인가
1.2. 막걸리의 종류
1.2.1. 살균 처리와 후 발효에 따른 구분
1.2.2. 발효제에 따른 구분
1.2.3. 현대식 막걸리의 종류

2. 막걸리 제조 과정
2.1. 입국, 덧밥 만들기
2.2. 효모 배양
2.3. 담금(발효)
2.4. 여과와 제성

3. 막걸리 제조에 사용되는 미생물
3.1. 국균(Aspergillus)
3.1.1. 황국균(Aspergillus orizae)
3.1.2.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
3.2.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3.3. 리조푸스 오리자에(Rhizopus oryzae)

4. 막걸리 속의 유산균
4.1. 막걸리 속 유산균의 역할
4.2. 유산균 함량에 따른 장단점

5. 막걸리의 효능
5.1. 유산균의 건강 증진 효과
5.2. 생효모의 성인병 예방 효과
5.3. 항암 및 피부미용 효과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막걸리의 정의와 종류
1.1.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쌀, 밀가루, 옥수수 등과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술이다. 막걸리는 술이 맑지 않고 탁해 '탁주'라고도 불리는데, 탁주와 막걸리는 엄밀히 구분할 수 있다.

막걸리의 '막'은 '마구'의 줄임말로 '특정한 규칙 없이 대충'이라는 의미와 '지금 바로'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는 술을 거르는 모습을 담은 언어로, 술의 맑기를 가진 탁주나 청주와 구분된다.

막걸리는 크게 제조법상의 분류와 주세법상의 분류 두 가지로 나뉜다. 제조법상 분류에 따르면 막걸리는 발효주이며 당화와 알코올발효를 동시에 하는 병행복발효주(병행당화발효주)이다. 주세법상 분류에서는 탁주의 범위 안에 들어가며, 곡류와 기타 전분이 포함된 물료 또는 전분당과 국 및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주요(술덧)를 여과하지 않고 혼탁하게 제성한 것이나 발효한 것을 말한다.

막걸리의 알코올 도수는 6-13%로 낮은 편에 속하고, 다른 술에 비해 단백질은 풍부하면서도 열량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막걸리는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식품으로, 유산균과 효모가 다량 포함되어 있다.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과 효모의 도움으로 막걸리가 탄생한다.


1.2. 막걸리의 종류
1.2.1. 살균 처리와 후 발효에 따른 구분

살균 처리와 후 발효에 따른 막걸리의 구분은 다음과 같다.

생 막걸리와 살균 막걸리로 나뉜다. 생 막걸리는 자연 발효 과정에서 만들어진 효모균 등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 처리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후 발효가 계속 진행되어 탄산가스가 자연적으로 발생해 청량감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효모의 숙성도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생 막걸리는 효모가 살아있기 때문에 대부분 유통기한이 일주일 정도로 살균 막걸리와 비교하면 짧은 편이다. 그러나 발효 식품이기 때문에 보관만 잘 한다면 유통기한이 지난 후라도 충분히 섭취가 가능하다.

반면 살균 막걸리는 자연 발효된 미생물을 고온에서 살균하여 후 발효를 정지시킨 것이다. 생 막걸리와는 달리 유통기한이 제조일로부터 6개월에서 1년 정도로 긴 편이다. 단점으로는 탄산이 없어 청량감을 느끼기 힘들지만 부드러운 맛을 지녔다는 장점이 있다. 살균 막걸리는 소규모 양조장보다는 대형 공장에서 많이 생산되며, 살균 처리로 인해 효모균의 맛을 느끼기 어렵다는 아쉬움이 있다.


1.2.2. 발효제에 따른 구분

막걸리의 종류 중 '발효제에 따른 구분'은 다음과 같다.

누룩 막걸리는 전통 누룩이나 개량 누룩을 발효제로 이용한 막걸리이다. 전통 누룩의 경우 자연 상태에서 다양한 균들로 만들어진 천연 발효제이기 때문에 균일화된 품질을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제조 과정에서 관리가 어려워 생산성이 낮다는 단점도 있지만, 다양하고 풍부한 맛과 향을 지녔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입국 막걸리는 전분질 원료를 찐 후 배양한 곰팡이류를 인위적으로 뿌려 번식시킨 발효제인 입국을 이용한 막걸리이다. 입국은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을 이용한 흩임 누룩으로 생산 과정에서 잡균의 오염을 방지하여 균일한 맛을 낸다는 특징이 있다. 입국 막걸리는 일정한 맛과 생산 효율이 좋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맛이 단조롭고 신맛이 강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식 배양균을 사용한 제조 방식으로 막걸리의 전통성이 부족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1.2.3. 현대식 막걸리의 종류

현대식 막걸리의 종류는 다양하게 발전해왔다. 생과일을 섞은 칵테일 막걸리, 유기농 막걸리, 한방 막걸리, 캔 막걸리 등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종류의 막걸리가 출시되고 있다"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게 막걸리의 맛과 형태가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 주고 있다. 특히 생과일을 첨가한 칵테일 막걸리, 유기농 원료로 제조한 유기농 막걸리, 한약재를 첨가한 한방 막걸리, 편의성을 높인 캔 막걸리 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막걸리 시장은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제품으로 발전하고 있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막걸리 제조 과정
2.1. 입국, 덧밥 만들기

막걸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첫 번째 단계는 '입국, 덧밥 만들기'이다. 입국은 전분질 원료를 찌고 곰팡이류를 인위적으로 배양하여 만든 발효제를 말한다. 입국 제조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국용 고두밥을 지어 그 위에 막걸리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국인 백국균(Aspergillus Kawachii)을 뿌려 균을 배양한다. 이 과정을 '입상'...


참고 자료

김성호. 식품위생학실험. 2005. 광문각, p. 37.
김창한 외 6명. 일반미생물학. 2000. 유한문화사, p. 50-52.
박석기 외 5명. 최신미생물학 실험. 1995. 신광문화사, p. 167.
김정환 외 3명. 식품미생물학 및 발효식품학 실험. 2004. 지구문화사, p. 40-42.
박영현 외 5명. NEW 식품미생물학 및 실험. 2011. 보문각, p. 118-119.
http://en.wikipedia.org/wiki/Methylene_blue(2014. 04. 25.)
류인수, 막걸리 수첩: 우리 맛을 즐기는 101가지, 우듬지, 2015, p10
한국 술 이야기 주로주로, 카테고리> 막걸리> 분류 http://www.jurojuro.com/
두산백과, 생활> 식생활> 기호식품> 주류> 막걸리, http://www.doopedia.co.kr/
두산백과, 생활> 식생활> 기호식품> 주류> 막걸리의 분류, http://www.doopedia.co.kr/
봉화장터, 카레고리> 양조장을 찾다.> 막걸리 만드는 과정, http://www.bmall.go.kr/
CNC한의원, CNC칼럼> CNC건강정보> 신곡, http://www.hanewon.co.kr/
위키피디아, (좌)A.oryzae, (중)A.niger, (우)A.fumigatus, en.wikipedia.org
두산백과, 식물> 균류> 누룩곰팡이, http://www.doopedia.co.kr/
박문영 외4인, 아줌마들의 과학수다, 양문, 2012, p36
경향 비즈라이프, 막걸리는 신맛? 전통 누룩으로 빚으면 오히려 감칠맛!, 이재덕 기자, http://bizn.khan.co.kr/
마마스팜, 카테고리> 천연발효식초, 정보> 누룩 이야기3(국균의 역할), http://blog.naver.com/
사이언스올, 과학백과사전> 맥주효모균(Saccharomyces cereuisiae), http://www.scienceall.com/
농촌여성신문, 뉴스>기관,단체>한국식품연구원,막걸리에서항암물질스쿠알렌최초발견, http://www.rwn.co.kr/
위키피디아, Saccharomyces cerevisiae, en.wikipedia.org
(우) 생명과학대사전,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http://terms.naver.com/
이소리 시인, 주간동아, 카테고리> 문화&라이프> 막걸리, http://weekly.donga.com/
정동효, 생활 속의 곰팡이, 유한문화사, 2000, p45
조현국, 서원택, 이주영, 조계만,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Rhizopus oryzae CCS01로 제조된 쌀누룩을 이용한 곡류 막걸리의 품질 특성, p3
The University of Adelaide, Mycology Online>Fungal Descriptions>Zygomycetes>Rhizopus>R.oryzae, http://www.mycology.adelaide.edu.au/
두산백과, 순수과학> 생명과학> 미생물> 세균> 유산균, http://www.doopedia.co.kr/
허태련, 식품과학, 유한문화사, 2008, p89
김관우, 민경찬, 유영균, 위성언, 조득문, 식품화학, 광문각, 2007, p323
김평화 기자, 머니투데이, 카테고리> 경제> 산업, 생막걸리 유통기한 100일까지 연장 가능 http://www.mt.co.kr/
발효프라자, 발효정보100> 칼럼> 막걸리 예찬(1), http://www.iffe.or.kr/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