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드너 다중지능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1. 가드너의 다중지능 정의
1.2.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1.3. 가드너의 다중지능의 유형
1.3.1. 언어적 지능
1.3.2. 논리-수학적 지능
1.3.3. 공간적 지능
1.3.4. 음악적 지능
1.3.5. 신체-운동적 지능
1.3.6. 대인관계 지능
1.3.7. 자기성찰 지능
1.3.8. 자연친화적 지능
2.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2.1. 진로교육
2.2. 교수-학습방법
2.3. 교육 프로그램 개발
2.4. 교육측정 및 평가
2.5. 기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1.1. 가드너의 다중지능 정의
가드너는 인간의 차이점을 진지하게 탐색하고자 다중지능이론을 개발하였다. 그에 따르면 지능은 그 자체로 인간을 대변해주는 하나의 고정불변의 요소라기보다는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탐구의 결과물로서 다양하고 가변적인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인간의 지능을 단일한 능력으로 보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인간의 행동 능력으로 표출되는 다양한 지능들을 여러 관점에서 서로 동등하게 바라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특정 지능을 통해 인간의 능력을 측정하고 구분 짓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 다양하고 많은 지능이 있음을 인지한 상태에서 각각의 지능에서 표출되는 인간의 행동양식을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1.2.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과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이론은 발달의 개념을 근간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나, 그 개념화 방식에 있어서는 차별성을 갖는다.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인간의 인지 발달을 감각 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4단계로 구분하며, 각 단계마다 논리·수학적 사고의 발달이 질적으로 변화한다고 본다. 즉, 피아제의 이론은 인지 발달을 단선적이고 위계적인 과정으로 설명한다.
반면,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은 지능을 인간의 능력이 수평적 관계를 이루는 몇 개의 요소들로 이루어졌다고 봄으로써 지능의 각 차원 별로 독립된 지수로 지능을 설명한다. 따라서 지능은 Piaget의 관점과 달리 단일하거나 다수의 능력요인으로 구성된 하나의 지능이 아닌, 서로 별개로 구분되는 다수의 지능으로 구성된다고 본다.
또한 가드너는 지능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어떤 개인이 각각의 기능에서는 뛰어나지 않지만 잘 조화될 경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Piaget의 단선적인 인지발달 관점과는 대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가드너의 이론은 Piaget의 이론에서 간과된 개인차와 문화적 배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지능을 다면적이고 다층적인 구조로 개념화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3. 가드너의 다중지능의 유형
1.3.1. 언어적 지능
언어적 지능은 말과 글을 사용하여 생각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음운, 어문, 의미 등의 복합적인 요소와 관련된 능력을 포함한다. 이 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언어의 상징체계를 빠르게 배우고 이를 창조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그들은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탁월한 능력을 보이며, 복잡한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효과적으로 설득하는 데 능하다.
언어적 지능은 일상적인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문학과 같은 예술적 표현에서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 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풍부한 어휘를 구사하며, 문장 구조를 잘 이해하고, 말과 글을 통해 감정과 생각을 정교하게 전달한다. 이러한 능력은 소설가, 시인, 평론가, 극작가, 연설가 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소설가는 복잡한 이야기와 생생한 캐릭터를 창조하고, 시인은 감정을 응축된 언어로 표현하며, 평론가는 문학 작품이나 예술 작품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평가한다. 극작가는 극의 대사와 플롯을 통해 관객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며, 연설가는 청중을 설득하고 감동시키는 능력을 가진다.
이처럼 언어적 지능은 문자언어의 기능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구두언어의 활용능력, 말하기와 듣기, 읽기와 쓰기 등의 복합적인 능력을 포함한다. 이는 의사소통과 정보처리, 사고와 표현의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여 인간의 지적 활동과 창의적 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언어적 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1.3.2. 논리-수학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은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수학적 조작을 수행하며 과학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탐구하는 능력이다. 아울러 복잡한 수학적 계산과 사물간의 논리성을 과학적으로 구성하는 추리능력, 추상적인 패턴과 관계들에 대한 인식능력 등을 포함한다. 이 능력이 발달한 사람은 숫자, 규칙에 대한 이해력, 수계산, 논리적 사고, 가설 검증력, 정보 요약을 즐기며 추상적 세계를 이해하는 체계적인 이론을 마련해내고 논리적 과정을 통해 가설을 입증하는 작업을 잘한다.
논리-수학적 지능은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관심에서 추상적인 단계로 나아가는데, Piaget의 인지발달단계가 이러한 발달과정을 잘 설명해 준다. 보통 이 능력은 아동기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에 절정에 달하게 되고, 40세 이후에는 퇴보하게 된다. 뇌의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이 만나는 뇌 후반부에 있는 중복영역(overlapping)이 논리수학지능과 관련이 있고 문제해결에 관한 능력은 전두엽, 특히 전전두엽에서 수행된다. 수학자, 논리학자, 과학자들이 뛰어난 논리수학 지능을 소유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지능이 높은 위인으로는 빌게이츠, 아인슈타인, 스티븐 호킹, 정약용 등을 들 수 있다.
1.3.3. 공간적...
...
참고 자료
권대훈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재⌟ 학지사, 2009
신명희, 강소연 외 3명 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4
하워드 가드너 ⌜다중지능⌟ 유경재 외 1명 역, 웅진지식하우스, 2007
유구종, 조희정 <유아교육에서의 다중지능 접근 활동과 평가를 통한 통합교육 방안>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2007 pp: 51-72
허지연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교수·학습모형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이성진 ・ 박성수 공저 교 육 심 리 학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임규혁 ・ 임웅 공저 (2007) 교육심리학 학지사
Paul Eggen ・ Don Kauchak지음 (신종호・김동민・김정섭・김종백・도승이・김지현・서영석 옮김)(2006)
교 육 심 리 학 신명희・강소연・김은경・김정민・노원경・박성은・서은희・원영실・황은영 공저 (2010)
교 육 심 리 학 학지사 이성진 ・ 김계현 편 (1999) 『교육심리학의 새로운 쟁점과 이론』 교육과학사
김명희, & 신화식. (2001). 다중지능에 의한 부모-교사의 유아 잠재능력 평가간의 인식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22(4), 33-50.
김숙경. (2004). 유아의 다중지능 평가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11, 131-145.
김임순, & 김성훈. (2015). 교육학: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 교육에 주는 함의. 인문학연구, 49, 395-422.
김주현, & 문용린. (200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청소년기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9(2), 393-412.
김현자 (2004). 다중지능과 가정변인이 초등학생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문용린, 류숙희, & 박은식. (2003). 다중지능과 진로의식 발달 연구 –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도덕심리연구실.
신명희. (2000).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방법 연구. 교육학연구, 38, 1-23.
유숙희. (2004). 백범 김구의 잠재능력 계발과정 연구: 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이채호, & 최인수. (2011). 부모-교사용 유아 간편 다중지능척도 타당화 연구. 영재교육연구, 21(2), 449-463.
이현림, & 김순미. (2004).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분석. 청소년학연구, 11(2), 83-99.
정정희. (2000). 유치원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활용이 아동들의 초등학교 학업성취 및 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5(2), 171-184.
차경희, 하정희, & 김명희. (2006).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다중지능,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4(3), 57-79.
황은영. (2000). 다중지능과 학습양식 및 학업성취도 관계연구. 교육과학연구, 14(2), 227-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