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심정맥관 이해하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심정맥관과 중심정맥영양 지원 방법
1.1. 중심정맥관의 유형
1.1.1. 쇄골하중심정맥 (또는 경정맥) 중심정맥관
1.1.2. 말초 삽입 중심정맥관 (PICC)
1.1.3. 정맥형 매립 포트
1.2. 중심정맥관 관련 합병증
1.3. 중심정맥 TPN 적용 시 유의사항
2. 당뇨병 환자의 간호교육
2.1. 약물 교육
2.2. 합병증 교육
2.3. 당뇨 교육 효과 평가 방법
3. 호흡기계 환자의 산소요법
3.1. 산소요법의 목적
3.2. 산소공급기구
3.2.1. 저유량 산소공급기구
3.2.2. 고유량 산소공급기구
3.3. 호흡기계 환자의 퇴원 시 교육내용
4. 암 환자의 통증관리와 사회심리적 중재
4.1. 사회 심리적 중재 유형
4.2. 사회 심리적 중재 방법
5. 방사선요법의 부작용과 간호 교육내용
5.1. 피부
5.2. 감염
5.3. 체중감소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심정맥관과 중심정맥영양 지원 방법
1.1. 중심정맥관의 유형
1.1.1. 쇄골하중심정맥 (또는 경정맥) 중심정맥관
중심정맥관은 크게 말초 삽입 중심정맥관, 터널형 카테터, 매립형 포트로 구분된다. 쇄골하중심정맥 (또는 경정맥) 중심정맥관은 주로 쇄골하정맥 또는 경정맥을 통해 삽입되는 카테터이다. 이는 침상에서 삽입할 수 있지만, 장기간 사용을 위해서는 외과적으로 삽입한다. 쇄골하중심정맥 카테터는 보행 시 움직임이 자유롭지만, 기흉의 위험이 있고, 삽입 후 짧은 호흡, 흉통, 저혈압, 빈맥, 기침, 불안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1.1.2. 말초 삽입 중심정맥관 (PICC)
말초 삽입 중심정맥관(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은 상지의 전주와 정맥(antecubital vein), 요골측 피부정맥(cephalic vein), 척골측 피부정맥(basilic vein) 등 상지 말초 정맥에 삽입되며 카테터 끝이 상대정맥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중심정맥관이다. PICC는 종종 가정에서 정맥치료를 관리해야 하는 대상자의 경우, 혈관이 좋지 않아 여러 번의 정맥 천자로 인해 감염에 대한 위험도가 높은 대상자에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정맥 기구이다. PICC 삽입 시 기흉의 위험은 없으며, 침상 옆에서 삽입이 가능하여 혈소판이 감소하거나 출혈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PICC는 약 50-60cm의 길이로 3-12개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PICC는 말초정맥확보가 어렵거나 자극성 약물 투여, 반복적 채혈 등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이다.
1.1.3. 정맥형 매립 포트
정맥형 매립 포트는 장기간 정맥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 대상자 또는 화학요법과 같은 간헐적 투약 및 TPN, 잦은 채혈이 필요할 경우 사용되는 중심정맥 장치이다. 정맥형 매립 포트는 흉부의 위쪽 피하에 외과적으로 삽입되며, 카테터의 끝부분은 쇄골하정맥 또는 경정맥 내에 위치하게 된다.
정맥형 매립 포트는 기구가 중심정맥 체계에 반복적으로 천자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외상이나 많은 정맥 천자의 합병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액을 연결할 때를 제외하고는 몸 밖으로 노출된 관이 없어 피부 밖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미용상의 효과가 있고 감염률도 낮다.
그러나 정맥형 매립 포트를 삽입한 대상자는 감염 예방을 위해 철저한 무균법과 카테터 개방 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매달 한 번 외래를 방문하여 혈전으로 인해 카테터가 막히지 않도록 항응고제를 주입해야 한다.
1.2. 중심정맥관 관련 합병증
중심정맥관 삽입은 침습적인 시술이기 때문에 삽입 도중에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고 삽입 후에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중심정맥관 삽입 과정 중에 흉막과 같은 폐 조직이나 혈관을 천공시키면 기흉이나 혈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카테터 삽입 후에는 흉부 X-ray 확인을 필수로 거쳐야 하며 위치가 의심될 때도 다시 올바른 위치인지 확인한다. 증상이 있는 환자는 짧은 호흡, 흉통, 기침 등을 호소하므로 기흉이 심할 때는 공기를 제거하고 혈흉이 심하면 흉막 배농 과정 등의 처치를 진행해야 한다.
공기가 혈류로 들어가 좁은 혈관 내강이 막히는 공기색전(air embolism)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빈호흡, 천명음, 지속적인 기침, 의식상태 변화, 마비 등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태를 확인하는 즉시 정맥관을 잠가야 한다. 대상자가 뇌압 상승이나 호흡기 질환 등의 금기 질환이 없으면 즉시 왼쪽 측위를 취하는 등 추가적인 처치를 시행해야 한다.
삽입 부위에 국소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데 발적이나 압통, 분비물 배액 등으로 관찰할 수 있는 증상이다. 발열만으로는 중심정맥관을 제거하지 않으며 다른 부위의 감염이나 비감염성 발열이 의심되면 정맥관의 제거가 적절한지 임상적인 판단해야 한다. 이 외에도 패혈증 등 전신감염, 정맥관이 찢어지거나 터질 수 있고 혈전으로 막힐 수도 있으므로 항상 주의하여 관찰해야 한다.중심정맥관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기흉, 혈흉, 공기색전증, 국소감염, 전신감염, 카테터 파열 및 폐색 등이 있다. 기흉과 혈흉은 중심정맥관 삽입 과정에서 폐 조직이나 혈관을 천공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응급 처치가 필요하다. 공기색전증은 공기가 혈관 내로 들어가 막히는 합병증으로 호흡곤란, 의식변화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즉시 정맥관을 차단하고 처치를 해야 한다.
중심정맥관 삽입 부위의 국소감염은 발적, 압통, 분비물 등의 증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신감염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깊...
참고 자료
김동은, 홍승희, 김지명. (2015).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식사요법 실천 정도, 식이섭취 상태, 신체활동과 대사증후군 유병률과의 관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5), 351-361.
박영례, 장은희, 김지옥.(2018).성인 당뇨병 환자의 극복력, 우울 및 자가간호역량.성인간호학회지,30(5),555-564.
오복자, 장은수. (2014). 암 환자에게 적용한 심리사회적 중재가 코티졸과 면역기능에 미친 효과: 메타분석. 대한간호과학회지, 44(4), 446-457.
이지은, 박명화.(2009).암환자용 통증관리 지침서 교육이 환자 및 가족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임상간호연구,15(1),123-132.
박진희, 배선형.(2017).암생존자를 위한 심리교육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대한간호과학회지,47(2),143-163.
배혜정, 김경애, 김아정, 박미정, 한현주, 손인자, 이혜숙.(2010).객관적 지표를 활용한 서울대학교병원 영양평가도구의 개발. 한국병원약사회2010, vol.27, no.1,21-28
전미선, 이은현, 문성미, 강승희, 유희석. 2005. 자궁경부암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치료관련 및 심리사회적 요인. Radiation oncology journal : ROJ 23: 201-210.
전명희.(1997).유방암 환자의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의 변화 : 유방절제술과 유방보존술의 비교.논문집 :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편,5(2),473-484.
최윤경, 정성희(2018). 성인간호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오복자·한숙정(2013),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환자의 통증완화에 미친 효과: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43권 제5호 2013년 10월.
https://icdm2012.diabetes.or.kr/slide/S5%20Jin%20Hee%20Jung.pdf (당뇨병교육의 효과평가)
https://www.diabetes.or.kr/new_workshop/201001/file/1_Gang%20Hee%20Shim.pdf (이상적인 당뇨병 교육방법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Ⅰ (여덟째판 수정판). 수문사. (2017)
김금순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Ⅱ (여덟째판 수정판). 수문사. (2017)
손정태 외 공저.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13)
양석열, 신다은, 조민섭, 이상엽, 김용원, & 황양하. (2019). 쇄골하동맥으로의 잘못된 중심정맥관 삽입으로 인하여 발생한 카테터 주변 혈전증 및 뇌경색증. 대한신경과학회지, 37(4), 435-437.
오복자, & 한숙정. (2013). 심리사회적 중재가 암환자의 통증완화에 미친 효과: 메타분석.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658-668.
오복자, & 이은애. (2013). 인지행동중재가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 자기간호 및 삶의질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성인간호학회지 제,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