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문법 표현의 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1.2. 문법 교육의 중요성
1.3. 연결어미 교육의 필요성
2. 본론
2.1. '-는 바람에'의 문법적 특성
2.1.1. '-는 바람에'의 선행 요소 제약
2.1.2. '-는 바람에'의 선어말 어미, 관형사형 어미 제약
2.1.3. '-는 바람에'의 문장 형태 제약
2.1.4. '-는 바람에'의 주어 일치 제약
2.2. '-는 바람에'에 대한 교수 방법
2.2.1. 듣기 교수 방법
2.2.2. 말하기 교수 방법
2.2.3. 읽기 교수 방법
2.2.4. 쓰기 교수 방법
3. 결론
3.1. 문법 교육의 중요성
3.2. 연결어미 교육의 필요성
3.3. '-는 바람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연구의 필요성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 증가
최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모국어 화자(한국인)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 교육 외에도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관련 연구에는 의사소통과 관련된 내용이 많은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언어의 유창성 및 정확성이 요구된다. Canale와 Swain(1980)은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로서 문법적 능력, 사회 언어학적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을 꼽았다. 이는 한국어 교육에서도 문법 교육은 가장 기초적인 것으로서 중시되어야 하는 분야임을 보여준다. 더욱이 한국어는 연결어미 등이 발달했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한국어 학습 시 문법 교육이 더 중요하고 필요하다. 한국어의 연결어미 개수는 552개라고 하는데, 이 가운데 가장 다양한 문법 형태에 의하여 실현되는 것이 바로 '이유·원인'의 의미 기능어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이유·원인'의 의미를 갖는 연결어미인 '-는 바람에'의 문법적 제약을 논하고, '-는 바람에'에 대한 교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1.2. 문법 교육의 중요성
문법 교육의 중요성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언어의 유창성 및 정확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문법적 능력은 기초 능력으로서 중시되어야 한다. 특히 한국어는 연결어미 등이 발달했다는 특징이 있어 문법 교육이 더욱 중요하고 필요하다. 연결어미는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어주고 문장을 확장시키며 절과 절을 다양한 의미관계로 연결시키는 다양한 기능을 하므로 정확히 사용하지 않으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1.3. 연결어미 교육의 필요성
연결어미 교육의 필요성이다. 한국어는 연결어미가 발달했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한국어 학습 시 문법 교육이 더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어의 연결어미 갯수가 552개라고 하는데, 이는 다른 언어에 비해 상당히 많은 수준이다. 그중에서도 '이유·원인'의 의미 기능어가 가장 다양한 문법 형태로 실현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각자 형태적, 화용적으로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어미를 정확히 사용하지 않으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연결어미 용법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그러나 한국어 연결어미는 여러 의미관계를 나타내며 문법적인 양상이 복잡하므로, 가르치는 교사와 배우는 학습자 모두에게 쉽지 않은 영역이다. 그럼에...
참고 자료
양명희, 한국어 문법과 표현, 집문장, 2016.
김민성, 연결구 '-는 바람에, -는 통에, -는 탓에'의 비교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1.
장원, 한·중 인과 표현 대조 연구 : ‘-느라고’, ‘-는 바람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박영순(2010), 한국어 의미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성채민(2009),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의지 표현 교육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오유진(2013),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어휘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저복진(2012), 한국어 부정문 현상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주원사(2014),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사동 표현 교육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최길림(2007), 한국어와 중국어 사동문의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