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창의적인 미술교육을 하려면 예상되는 장단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놀이중심 보육과정의 중요성
1.2. 창의적인 미술교육의 필요성
2. 본론
2.1.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의 아동미술
2.2. 아동미술 지도를 위한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
2.3. 놀이중심 미술교육의 장단점 분석
2.4.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교육의 적용 가능성
3. 결론
3.1. 아동 중심 미술교육의 방향
3.2.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놀이중심 보육과정의 중요성
정부의 최근 방침에 따라 아동중심, 놀이중심을 기본방향으로 하는 표준보육과정 개정안이 발표되었다. 이는 아동의 자율성 및 독창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아동의 일과에서 놀이가 충분히 이뤄지고 놀이를 통한 배움이 강조된다.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도 아동의 놀 권리를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아동들이 놀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통해 아동의 전인격적 발달을 추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놀이중심 보육과정은 아동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데 매우 중요하다.
1.2. 창의적인 미술교육의 필요성
창의적인 미술교육의 필요성이다. 최근 교육과정은 창의력 있는 인간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미술교육은 아동의 창의성 신장과 감성 및 시각 발달, 다양한 사고의 발달로 인한 통찰력과 이해력 발달 등에 매우 효과적이다. 미술은 시각적 조형 언어를 자신의 생각으로 재정립하게 만들고 사물을 다른 각도로도 볼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 따라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에서는 아동 미술교육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미술교육을 통해 아동은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방식을 익히고 개성을 신장할 수 있으며, 감수성과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창조적인 사고를 갖출 수 있다. 또한 미술 활동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며 공간적 지능과 시지각을 발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창의적인 미술교육은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 필수적이다.
2. 본론
2.1.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의 아동미술
표준보육과정의 큰 목적은 영유아 중심, 놀이 중심을 추구한다. 이를 통해 영유아가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 속에서 발달을 추구하는 것이 핵심이다. 교사는 영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영유아가 즐겁게 놀이를 하면서 배울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돌 전 영아는 부모나 교사가 꾸며주는 주변의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아름다움을 경험한다. 만 2세부터는 여러 예술 요소를 본격적으로 탐색하기 시작하고, 자신만의 표현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주변의 다양한 모양과 색을 알아가며, 여러 도구를 활용해 미술적 표현을 하고, 일상생활 속 미적 요소를 탐색한다.
누리과정 역시 표준보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유아 및 놀이를 중심으로 하며, 유아의 자율성과 창의성 신장을 목표로 한다. 만 3~5세 유아는 주변의 예술적 요소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만의 미술 계획을 짤 수 있다. 이때 자신이 보았던 것, 관심 있던 것을 미술로 표현하기 시작하며, 본능적으로 주변을 탐색한다. 유아는 도구를 사용해 미술 표현을 ...
참고 자료
한국 어린이 절반 “놀 권리가 뭐예요?”, 한겨레, 2020.06.19.확인. 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665279.html
이소영 외, 전국 유아교육기관 숲유치원 운영현황과 실태분석을 통한 한국형 숲유치원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2015, pp.239~267.
최혜라, 2005, 「아동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미술활동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추지영, 2005, 「아동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미술교육 연구: 미술지도 방안과 교사 역할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함숙찬, 2007,「창의성 발달을 위한 아동미술 지도방안 연구 및 효과분석」,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