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음 문법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보십시오 1) 원인·이유: ‘-아/어서’와 ‘-(으)니까’ 2) 경험: ‘-은 적이 있다/없다’와 ‘-아/어 봤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용자의 주제와 데이터 분석
3. 문법의 유사점과 차이점
3.1. 원인·이유: '-아/어서'와 '-(으)니까'
3.2. 경험: '-은 적이 있다/없다'와 '-아/어 봤다'
4.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지도 방안
4.1. 문법 교육의 방법: 귀납적 방법
4.2. 과제기반교수법
5. 문법 항목의 특징과 교수학습 방안
5.1. '-아/어서'와 '-으니까'의 의미·형태·화용 정보
5.2. '-아/어서', '-으니까', '-기 때문에'의 특징과 활용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법 교육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수많은 문법 규칙과 다양한 어미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특히 친구에게 사용하는 말투와 윗사람에게 사용하는 말투가 다르고, 상황에 따라 조사와 어미가 달라지는 등 문법 사용의 복잡성으로 인해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한국어 교육 중급 단계에서 다루고 있는 연결어미 중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아서/어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서/어서'는 선행절이 후행절의 조건이 되며, 시간적 순서를 나타내는 중요한 연결어미이다. 따라서 그 의미와 형태, 사용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아서/어서' 연결어미의 도입, 제시, 연습, 활용, 마무리 단계로 구성된 체계적인 문법 수업 지도안을 제시할 것이다. 이를 통해 외국인 학습자들이 '-아서/어서' 연결어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의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2. 사용자의 주제와 데이터 분석
외국어로서 한국어(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교육은 외국에서 배우는 한국어로, 학습자들이 주로 교실 밖에서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에 있다. 따라서 교육자는 학습자의 모국어를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반면 제2언어로서 한국어(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교육은 일상생활에서 한국어를 사용해야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다. 학습자들이 교실 밖에서도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생활할 수 없는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에, 교육자는 한국어만을 사용하여 교육하는 것이 좋다.
Canale and Swain(1980)의 의사소통능력에는 문법적 능력, 사회언어학적 능력, 담화 능력, 전략적 능력이 있다. 문법적 능력은 언어학적 기호를 사용하여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을 생성해 내는 능력이고, 사회언어학적 능력은 담화 상황의 맥락에 맞게 문법적 형태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이다. 담화 능력은 의미적 완결성과 통일성이 있는 담화를 구성 및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며, 전략적 능력은 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언어적, 비언어적 전략의 사용 능력이다.
세종학당은 국외 한국어 교육 및 한국 문화 보급을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독립형, 연계형, 협업형의 세 가지 유형으...
참고 자료
유해준(2018), 한국어 교육 유사 문법 개념 연구, 중앙어문학회
김정숙 외(2017), 세종한국어2, 국립국어원
김정숙 외(2017), 세종한국어3, 국립 국어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교안(2021), 배론원격평생교육원
국립국어원 홈페이지, 한국어기초사전, 우리말 샘
김주연(2017), <외국어로서의한국어능력평가론_교안 6주차 1차시>, 진흥원격평생교육원
양명희(2016),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과 표현>, 집문당
서정목, 이정훈 외 3명(2014),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커뮤니케이션스북스
우형식(2016), <한국어 문법 교육론>, 부산외대출판
두산백과 두피디아, <연결어미>,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