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태변흡인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
1.1. 질환의 정의
태변흡인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이란 정상적으로 생후 48시간 이내에 태변을 배출하게 되는 태아가 급성 또는 만성 저산소증이나 감염 등에 의해 자궁 내에서 태변을 배출하는 경우, 갓 태어난 신생아가 헐떡 호흡(gasping)을 하면서 태변이 포함된 양수를 흡인하게 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흡인된 태변은 기도를 막아 가스교환을 방해하여 심한 호흡곤란을 초래할 수 있다. 만삭아에서 출산 직후 심각한 형태로 발전할 수 있는 신생아 시기의 중요 질환이다.
1.2. 태변의 정의
태변은 태아의 첫 번째 장내 배설물로 70-80%의 수분과 장이나 피부로부터 떨어져 나간 상피세포, 태아의 털, 점액, 태지, 양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아의 태변은 검초록색을 띄며 끈적끈적한 모습을 볼 수 있고, 무균 상태이며 냄새가 없다. 태아의 장 내에 여러 찌꺼기들이 축적되어 형성된다."
1.3. 원인
태변이 배출되는 경우(비정상적 태아)는 주로 과숙아(42주 이상)가 될 경우 모틸린 수치가 증가되어 장 운동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제대 눌림, 두부 압박으로 인해 미주신경이 자극되어 항문 괄약근이 열리면서 태변을 배출하는 경우가 있다.""
자궁 내 태아 스트레스로 인해 태아의 저산소증과 산증으로 항문 괄약근이 열려 태변이 배출된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산모의 고혈압, 당뇨, 흡연하는 경우, 산모의 만성 호흡기 질환 혹은 심혈관계질환, 재태 연령 41주 이상의 과숙아, 양수감소증, 자궁내성장부전 등이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1.4. 빈도 및 예후
주로 만삭아, 과숙아(42주 이상에서는 35%정도 발생)에서 생기며 양수의 태변 착색은 전체 분만의 10-15%에서 발생하고, 이 중 5% 정도에서 태변 흡입 증후군으로 이행된다. 국내의 경우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외국의 통계에 의하면, 산과학의 발달로 태변흡인증후군의 유병율은 감소하고 있으며, 외국 통계에 의하면 재태 연령 41주 이전에 분만하도록 함으로 1990-1992년도의 5.8%에 비해서 1997-1998년도에 1.5%로 약 1/4로 감소하였다고 한다. 태변 흡인 증후군이 있는 대부분의 신생아는 예후가 좋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산소 공급만으로 충분히 호전된다. 그러나 간혹 장애가 심각할 경우, 특히 신생아의 지속적 폐고혈압을 유발할 경우에는 신생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태변 흡인 증후군이 있는 신생아는 만삭아보다 천식이 발병률이 더 높다. 중증의 태변 흡인 증후군의 경우 심할 경우 사망할 수 있으나 대부분 7% 미만으로 감소했다."
1.5. 병태생리
태변흡인증후군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태아의 자궁 내 또는 분만 중 저산소증으로 인한 질식성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한다"". 우선 태아에게 저산소증이나 감염 등의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장운동이 항진되고, 이로 인해 항문 괄약근이 이완되어 양수 내로 태변이 배출된다"". 그 다음 태아가 "헐떡 호흡(gasping)"을 하면서 태변이 포함된 양수를 흡인하게 된다"".
흡인된 태변으로 인해 기도가 폐쇄되고, 무기폐와 폐말단부의 과팽창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폐혈관 저항이 상승하고 동맥관 개존증이 나타나면서 폐동맥고혈압이 유발된다"". 또한 폐렴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며, 계면활성제가 파괴되어 폐포 기능이 저하되고 폐표면의 긴장이 증가하게 된다"".
1.6. 임상특성
태변흡인증후군의 임상특성은 다음과 같다.
태변 흡인 증후군의 증상은 태변의 양과 기도의 폐쇄 정도에 따라 다르다. 첫 증상으로 분만 당시 초록색 대변이 섞인 양수가 관찰된다. 외관상으로 아기의 피부, 제대, 손톱이 태변에 착색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저산소증으로 인해 낮은 아프가 점수(5점 이하), 근 긴장도 저하 및 서맥이 나타날 수 있다.
호흡기 증상으로는 기도 말단까지 폐쇄 시 환기 장애, 빈 호흡, 흉곽 함몰, 신음 호흡, 청색증 등이 발생하며, 부분적 폐쇄 시에는 호기가 원활하지 못하여 흉곽의 팽창, 수포음이 청진된다. 완전 기도 폐쇄가 되면 원위부에 무기폐가 초래된다.
태변 흡입 증후군의 중증도에 따라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경증은 산소 분압이 0.4 미만을 48시간 미만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 중등도는 산소 분압이 0.4 이상을 48시간 이상으로 필요로 하고 기흉이 없는 경우, 중증은 48시간 이상 기계 환기 요법이 필요하고 신생아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증이 동반된 경우이다. 질병이 진전될 경우 저체온, 저혈당, 저칼슘 혈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폐포 세포가 손상되고 표면활성제의 기능이 억제되어 신생아 지속성 폐혈관 고혈압증이 동반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