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석보상절 권6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11.19
9,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석보상절 권6"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세 한국어
1.1. 석보상절 개요
1.1.1. 석보상절의 편찬 경위와 배경
1.1.2. 석보상절의 구성과 체제
1.1.3. 석보상절의 문헌적 가치
1.1.4. 석보상절의 어휘 및 문체적 특징
1.1.5. 석보상절의 모음 조화와 표기법
1.1.6. 석보상절의 형태 및 통사적 특징
1.1.7. 석보상절의 문학사적 의의
1.2. 월인석보
1.2.1. 월인석보의 개요
1.2.2. 월인석보의 편찬 연원
1.2.3. 월인석보의 구성 및 형식
1.2.4.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의 비교
1.2.5. 월인석보 원본 의 특성
1.2.6. 월인석보 본문 해석
1.3. 훈민정음
1.3.1. 문자의 종류와 한글의 특성
1.3.2.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 및 목적
1.3.3.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1.3.4. 훈민정음의 표기법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세 한국어
1.1. 석보상절 개요
1.1.1. 석보상절의 편찬 경위와 배경

석보상절은 세종이 세종 28년(1446) 3월에 죽은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에게 명하여 편찬한 석가의 일대기이다. 현전 월인석보(권1)의 권두에 있는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와 그가 후에 왕위에 오른 뒤에 쓴 '어제월인석보서'에 그 동기가 명시되어 있다. 이들 서문의 다음 구절에 잘 드러나 있다.

"삼가 아뢰옵건대, 도로 가신 자를 기리는 방법은 독경만한 것이 없사온데, 이제 그 뜻을 펴고자 하여 석가보를 새로 번역하여 간행하오니, 한문을 모르는 백성들도 마음껏 읽을 수 있게 하고자 하옵니다."

세종의 말처럼 돌아간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방법으로 '독경'만한 것이 없으므로 석보를 만들어 번역함으로써 한문을 모르더라도 많은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석보상절의 간행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석보상절을 번역하여 간행한 또 하나의 목적으로 훈민정음의 시용(試用)과 보급이라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그 즈음에 창제가 완성된 훈민정음이라는 새로운 문자는 용비어천가에서 최초의 시험적 사용을 보게 된다. 그러나 본격적인 시용 보급은 석보상절에서 이루어진다. 더구나 석보상절은 훈민정음으로 된 최초의 산문이다. 방대한 분량의 내용이기 때문에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과는 달리 석보상절에서 표기법의 일반적인 규범을 보여주고 있다. 그 후에 간행되는 많은 문헌을 통해 석보상절이 훈민정음 시용 보급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양대군이 승우(僧祐)의 「석가보(釋迦譜)」와 도선(道宣)의 「석씨보(釋氏譜)」를 합하여 석보상절을 편찬하는데 관여하였으며, 동년 12월에는 김수온(金守溫)으로 하여금 「석가보(釋迦譜)」를 증수하도록 하였다. 이 「증수석가보 (增修釋迦譜)」를 바탕으로 이듬해인 세종 29년(1447) 7월에는 석보상절이 정음(正音)으로 번역되어 세종 29년 7월부터 늦어도 세종 31년(1449) 2월 사이에 초주갑인자로 인출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1.1.2. 석보상절의 구성과 체제

석보상절은 세종이 세종 28년(1446) 3월에 죽은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당시 수양대군이던 세조에게 명하여 편찬한 석가의 일대기이다. 현전 월인석보(권1)의 권두에 있는 수양대군의 '석보상절서'와 그가 후에 왕위에 오른 뒤에 쓴 '어제월인석보서'에 그 동기가 명시되어 있다. 석보상절은 僧祐의 '釋迦譜'를 주축으로 하고 다른 불경 등 자료를 참고하여 석가의 일생을 연대기를 중심으로 기록한 傳記의 형식으로 편찬되었다. 즉 각 사건이 발생한 시기와 그 비중에 따라 이를 순서적으로 파악하여 이야기를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권 3은 석가의 어린 시절부터 성장 과정과 출가하여 6년간의 고행이 끝날 때까지인 1~30세에 해당하며, 권 6은 석가의 32세~50세 까지의 내용의 일부이고, 권 9는 약사경의 내용을 번역한 것이며, 마지막인 권 24는 석가 사후에 제자들에 의해 경률이 결집되고 그 후에 선지되는 내용 등 일종의 후일담으로 구성되었다.""


1.1.3. 석보상절의 문헌적 가치

석보상절은 국어사 연구에 있어서 매우 귀중한 문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첫째, 석보상절은 1447년에 훈민정음으로 표기된 최초의 국문 산문 작품이기 때문에 훈민정음 창제 후 최초의 국문 문헌 자료로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당시에는 주로 한문과 이두 등으로 우리말을 기록하였으나, 세종대왕이 우리글인 훈민정음을 창제함으로써 비로소 한글로 된 많은 문헌이 생산되기 시작했는데, 그 시작이 바로 석보상절이다.

둘째, 석보상절은 고유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고 문체가 자연스러운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15세기 중엽의 국어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당시 한문 작품들은 대부분 한자어 위주로 이루어졌던 것과 달리, 석보상절은 고유어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자연스러운 문장 표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석보상절은 15세기 중엽 국어의 실제 모습을 연구하는 데 있어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

셋째, 석보상절은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방식을 보여주고 있어 한자음 연구에도 중요한 문헌이 된다. 석보상절에는 한자음이 각각의 한자 아래에 부기되어 있는데, 이는 정음 창제 이후 최초의 한자음 표기 방식이다. 이러한 한자음 표기 방식은 이후 중세국어 문헌들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었다. 따라서 석보상절은 중세국어의 한자음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넷째, 석보상절은 훈민정음의 실제 사용 양상을 보여주는 최초의 문헌이라는 점에서 문자언어학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닌다.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문자의 제자 원리와 운용 규정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실제 문헌에서의 구체적인 표기법 양상은 달랐을 것이다. 따라서 석보상절은 훈민정음 표기법의 실제 사용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석보상절은 불교학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석보상절은 당시 가장 권위 있는 불경의 하나인 「석가보」를 바탕으로 편찬된 것으로, 불교 문화사와 불교 사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특히 세종 대왕의 양해 아래 간행된 것이라는 점에서 조선 초기 국왕의 ...


참고 자료

천혜봉. 『한국서지학』. 민음사, 1991.
김형우. 『국어사 연구』. 일조각, 1993.
남광우. 『국어학 논문집』. 일조각, 1993.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3
고영근, 남기심. 『중세국어 자료 강해』. 집문당, 1997.
김상태. 『석보상절의 문체 연구』. 홍문각, 2001
이호권. 『석보상절의 서지와 언어』. 태학사, 2003.
이기문. 장소원. 『국어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7.
박노원. 「釋譜詳節의 서사문학적 성격」, 석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1982.
김상태. 「釋譜詳節의 문체 연구」 박사학위 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