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2개
-
시가서개론2024.09.051. 국문학 개요 1.1. 국문학의 개념과 범주 국문학의 개념과 범주는 다양한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첫째, 한글로 표기된 문학만을 국문학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한자를 보편문자로 사용했던 역사적 특성을 간과한 것이며, 사대부층의 한문 문학을 과소평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한글로 표기된 문학을 순수한 국문학으로 보되 한문 문학도 넓은 의미의 국문학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이는 한문 문학을 어떻게 국문학적 가치로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정음 반포 이전의 차자문자...2024.09.05
-
노래가사로 소설쓰기2024.10.141. 고대 문학의 발전 1.1. 고대 문학의 특징 고대 문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시 종합 예술(Ballad Dance)이 제천의식을 통해 나타났다. 원시 사회에서는 가무악이 분화되지 않은 채 하나의 통합적 예술 행위로 존재하였다. 이러한 원시 종합 예술은 부족장의 주재 하에 행해졌던 제천의식을 통해 표출되었다. 이 제천의식은 공동체 구성원들의 집단적 정서와 신비한 세계관을 반영하는 의례였다. 둘째, 집단성과 주술성을 띠던 문학이 개인성과 서정성을 가진 것으로 분화되었다. 원시 시대의 문학은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 제...2024.10.14
-
자음 체계의 변천2024.12.041. 언어의 변천과 표기법 1.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1. 향찰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의 한 방식이다. 향찰에서는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서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관계를 나타내는 부분과 단어의 어말음의 부분은 한자의 뜻을 버리고 표음문자로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향찰은 완전한 한국어의 어순으로 배열하였고 가자의 부분인 토가 조사나 어미를 거의 완벽하게 표기하고 있다. 또한 고유명사가 아니라도 "丘物叱丘物叱"과 같이 '가자+가자'의 연결구조를 사용한 예도 적지...2024.12.04
-
중세국어2024.08.291. 중세국어 문법 1.1. 문자와 문헌 중세국어의 문자와 문헌은 다음과 같다. 중세국어 시기의 대표적인 문자인 훈민정음은 1443년(세종 25년) 12월에 창제되었다. 훈민정음은 중국의 문자와는 달리 우리말의 소리를 정확히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자신들의 뜻을 잘 펼칠 수 없었음을 불쌍히 여겨 스물여덟 자의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이는 백성들이 날로 쉽게 쓸 수 있게 하려는 실용정신에 기반한다. 해례본에는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와 기본자의 원리, 그리고 문자의 운용 방법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2024.08.29
-
한글의 자음 모음의 수학적 원리2024.09.021. 서론 서기 1446년(세종 28년)에 훈민정음이 창제되었다. 훈민정음이란 현재 우리 민족이 쓰고 있는 문자 즉 한글의 옛날 이름으로서, 한자로는 '訓民正音'으로 표기한다. 15세기 중엽 세종에 의해 창제된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라는 뜻을 가진 우리 고유의 문자이다.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반포함으로 인해 일반 백성들이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된 것은 우리 민족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커다란 사건이었다. 훈민정음이 반포됨으로서 우리 민족은 이전까지 불편하고 부족했던 문자 생활에서 벗어나, 비로소 우...2024.09.02
-
세종대왕 리더십과 장애인 복지정책2024.11.221. 세종대왕의 리더십과 복지 정책 1.1. 세종대왕의 민본사상과 백성 중심 정책 세종대왕의 민본사상과 백성 중심 정책이 돋보인다. 세종은 백성이 나라의 근본이며 근본인 백성이 튼튼해야 나라가 편안하다고 여겼다. 이에 따라 백성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세종은 백성을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했다. 글을 모르는 일반 백성들을 위해 새로운 문자를 만든 것이다. 훈민정음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백성을 가르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세종의 민본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백성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2024.11.22
-
훈민정음 언해본2024.09.191. 서론 훈민정음이 한국 문화의 가장 자랑스러운 보배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실용적이고도 과학적인 제자 원리와 그에 담겨 있는 심오한 언어철학은 세계 문자 사상 그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것이다.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것은 세종 25년(1443) 12월의 일이다. 이에 관한 문헌상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世宗實錄) 권 102, 세종 25년 계해(癸亥) 12월조에 실려 있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에도 우리말을 표기한 고유 문자가 있었다는 설이 있으나 그것은 옛 문헌에 끼어 있는 편언들로서 과학적 ...2024.09.19
-
중세국어와 현대국어 종결어미2024.10.181. 중세국어 정동사의 용법 1.1. 서론 중세국어의 어말어미는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정동사(verba finita), 부동사(converbum), 동명사(nomina verbalia) 어미로 나뉜다. 이 중 정동사 어미는 주어에 대한 진술을 종결하는 서술어의 형태로서, 문장을 종결하는 통사론적 기능을 담당한다. 정동사 어미의 종류는 화자의 태도, 즉 서법(敍法)에 따라 설명ㆍ감탄ㆍ의문ㆍ공동ㆍ명령ㆍ허락ㆍ약속의 일곱 가지 용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정동사 어미의 용법에 대한 면밀한 고찰은 국어 문법의 정밀하고 체계적인 기술을 위해 ...2024.10.18
-
조선시대 한글반포2024.10.281. 조선시대의 문화 1.1. 한글의 창제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한자를 써 왔으나 한자의 사용으로 인하여 우리말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지배층과 피지배층 사이의 직접적이고 공식적인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요구되었다. 조선의 4대왕인 세종은 집현전 학자들을 중심으로 정음청을 설치하였고, 여기에서 음운을 연구하여 한글을 창제하였다. 한글은 중국의 문자인 한문에 비해 배우기 쉽고 과학적인 원리로 구성되었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2024.10.28
-
자연법 사상ㅂ법2024.08.231. 서론 1.1. 한글의 창제 배경 한글의 창제 배경은 당시 조선 왕조에서 백성들을 교화하고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천지자연의 원리를 따른 새로운 문자체계 창제를 통해 백성들의 말과 글을 일치시키고자 했기 때문이다"" 세종대왕은 집현전의 젊은 학자들과 함께 중국 음운학과 송학이론에 기반하여 한글의 제자 원리와 운용법을 체계화하였다"" 이는 당시 한자를 몰랐던 백성들이 문자생활에 겪는 불편을 해결하고자 함이었다"" 또한 유교 이념의 효과적인 교화를 위해서도 한글이 필요했는데, 한문으로 된 법전과 경서,...202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