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술관에서 찾은 예술가의 삶과 심리
위대한 예술작품 속에 숨겨진 심리학을 만나다!
에드가 드가는 왜 사람의 얼굴을 자세히 그리지 않았을까? 뭉크는 왜 절규하는 그림을 그렸을까? 에곤 실레 작품에는 왜 누드가 많을까?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화가들의 그림을 보다 보면 궁금한 점이 하나둘...
생애
작가 윤현희는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활동 중인 심리학자이다. 그녀는 <에피파니 심리문화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환자들을 만나 진단과 심리치료를 하고 있다. 그리고 자폐증과 ADHD 학습장애를 비롯한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 청소년의 진단과 치료에도 힘썼다.
대표 작품
<미술관에 간 심리학>
<미술의 마음>
<치유를 위한 심리학>
소설의 개념
허구적 서사를 산문으로 구성한 문학으로서 인물*사건*배경의 3요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소설의 특징
1. 분량에 따라 단편 중편 장편으로 나뉜다.
2. 소설은 수필과 달리 작가의 상상을 통해 만들어진 이야기
3. 소설운 시와 달리 운율을 맞추어야 한다는 제약이 없이 자유롭게 만들어진다.
소설의 3요소
1. 주제: 작품을 통하여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생각
2. 구성: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건을 질서 있게 배열하는 것
3. 문체: 문장에 나타난 작가의 독특한 개성
소설 구성의 3요소
1. 인물: 작품 속에 등장하는 사람
2. 배경: 인물들이 갈등을 벌이는 시간과 장소
3. 사건: 인물들에게 벌어지는 중대한 일로 갈등을 야기
2 알아두면 좋은 점
⚫작품소개
이 작품은 심리학과 예술의 융합을 통해 독자에게 내면의 치유와 자아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작품이다.
I. 서론
나이가 들수록 심리학이라는 분야에 대해서 조금 더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 것 같다. 인간이 무슨 일을 성취하고자 할 때 때때로 신체적인 힘보다는 정신적, 심리적인 힘이 더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나의 힘에 부치는 일을 수행해야 한다고 했을 때 더욱 그러한 듯 하다. 심리학이 사람들의 일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또 인간이 이루고자 하는 바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심리학의 기본적인 요소를 알아두는 것은 마음의 근육을 기르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심리학에 대해서 다룬 책 한권을 읽고 그 책을 읽고 느낀 바를 자유롭게 기술해보았다.
II. 본론
1. 독후감상문
내가 고른 책은 미술관에 간 심리학이라는 책이다. 평소에 그림을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영화 포스터가 의도적으로 사물이나 사람들의 표정, 혹은 사람들이 서 있는 위치 등을 배치하는 것처럼 그림에서도 그러한 상징이 나타날 것이라고 항상 생각해왔고...... <중 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