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25)
  • 리포트(19)
  • 논문(6)
EasyAI “정주성리학(程朱性理學)” 관련 자료
외 3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정주성리학(程朱性理學)" 검색결과 1-20 / 25건

  • 주희 철학에 있어 사단 부중절 문제에 대한 小考 (The Study on Anti-equilibrium at Four moral emotions in Zhu-Xi Philosophy)
    는지, 주희철학 안에서 순선純善으로서의 사단의 지위와 사단부중절의 문제를 어떠한 맥락에서 이해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정주성리학程朱性理學의 심성에 대한 이해 속에서, 사단은 칠정 ... 했음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조선성리학계에서 중요한 논쟁거리로 등장한 ‘사단부중절’의 문제를 통해 성선의 근거이자 수양의 당위성을 확보해주는 사단의 지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
    논문 | 1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6 | 수정일 2025.07.04
  • 《尙書》 講義를 통해서 본 正祖의 程朱理學에 관한 인식과 해석 방식에 대하여 (King Chŏngjo’s understanding of Cheng-zhu xinglixue (程朱理學) appeared in the Shangshu Jiangyi (尙書講義))
    를 통해 표명한 정조의 학문 방법론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었을까. 본고는 『상서』 강의를 통해 정조의 정주성리학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king ... 본고는 『弘齋全書』의 『尙書』 講義를 통해 程朱理學에 관한 正祖의 인식 및 해석과 이해를 개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조는 君師를 자임하여 文治를 바탕으로 국정을 운영 ... Chŏngjo’s understanding of Cheng-zhu xinglixue (程朱理學, Cheng-zhu Neo-Confucianism) appeared in the
    논문 | 4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4 | 수정일 2025.05.26
  • 황종희(黃宗羲)의 ‘분량(分量)’의 성선설과 권력견제의 필요성 (Huang Zongxi(黃宗羲)’s Doctrine of ‘Limited’ Innate Goodness and the Restraint of Power)
    었다. 그러나 그 선한 본성은 정주성리학에서 주장하듯 본래 완전한 것이 아니었다.천지 사이의 모든 것을 기의 운행으로 설명하는 황종희는 마음 역시 기의운행이라고 설명한다. 인간은 선한 마음 ... of Cheng-Zhu(程朱理學). Huang Zongxi, for whom all things existing between the heavens and earth
    논문 | 31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3 | 수정일 2025.05.26
  • 周濂溪手書石刻真蹟 (On Zhou Dunyi's Cliff Stone Carving Handwriting)
    사상사에서 그는 ‘리학개산(理學開山)’, ‘도학종주(道學宗主)’로 일컬어진다. 이 때문에 “공맹(孔孟) 이래 이 노인을 추존함에 있어 정주(程朱) 위로 다시 누가 있겠는가”라고 칭송 ... 었는데, 진귀한 성리학적 유산이라 할 수 있다.주렴계의 서체는 안진경체(顔眞卿體)이고 현존하는 마애석각은 모두 주염계 선생의 친필이라 할 수 있다. 청대 금석학자로 유명한 왕영(王昶
    논문 | 32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30 | 수정일 2025.07.05
  • 조선 성리학이 양반사회에 끼친 영향
    이 있다. 첫째, 조선성리학은 무엇보다도 정주계(程朱系) 성리학이 거의 일변도로 석권하였다는 것이다. 육왕계(陸王系)의 심학은 비록 15세기 말부터 전파되기는 했지만 정주계 학자 ... 에서의 내용을 종합하는 동시에 나의 의견을 밝히며 마무리 하고자 한다.2. 성리학(1). 성리학 이란?성리학은 일명 이학(理學), 도학(道學)으로, 원래‘성명(性命) 의리지학(義理之 ... 여, 후자는 주정주의의 경향이 강한 것이다. 조선성리학의 특징이 정주학 절대 우위라는 것은 곧 조선성리학에 주지주의의 경향이 그만큼 두드러짐을 의미한다. 사실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8.06.02
  • [주자학][성리학][주자성리학]주자학(성리학)의 특징, 주자학(성리학)의 심성론, 주자학(성리학)의 전래, 주자학(성리학)의 흐름, 주자학(성리학)의 심화, 주자학(성리학)과 주자성리학, 주자학(성리학)의 한계 분석
    문헌 Ⅰ. 주자학(성리학)의 특징 1. 정주학의 특징 우선 지적할 수 있는 특징은 정주계(程朱系) 성리학의 풍토가 지배적이라는 점이다. 육왕계(陸王系)의 심학(心學)은 일찍이 15 ... )의 한계 분석 Ⅰ. 주자학(성리학)의 특징 1. 정주학의 특징 2. 主知主義 특징 3. 禮崇尙의 풍토 4. 名分論的 사고가 팽배했다는 점 5. 主知論의 보수성 6. 人尊精神의 지향 Ⅱ ... 세기경부터 정주계의 학자들은 주희의 이론과 조금만 달라도 [斯文亂賊]이라 탄압하였다. 그런 까닭에 육왕계의 성리학에 호감을 가진 학자들이 간혹 있었지만, 적극적으로 체계 있게 연구
    리포트 | 14페이지 | 6,500원 | 등록일 2011.05.10
  • 퇴계 이황의 유학사상
    퇴계 이황의 유학사상-사단칠정 논변과 퇴계의 성리설(리기론 및 심성론)-1) 생애와 저술이황(李滉;1501~1570)은 이이(李理)와 함께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오늘 ... 로는 끊어진 줄기를 잇고 아래로 내학(來學)을 열어주어, 공맹정주(孔孟程朱)의 도가 다시 세상에 환하게 밝혀지게 한 점에 있어서는 우리 동방에서 기자(箕子) 이후로 오직 이 한사람 ... )함으로써, 공(孔)·맹(孟)·정(程)·주(朱)의 도를 밝혔다”)고 말했다.이와 같이 이황은 성리학이 한국에 전래된 이후, 이론 성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대표적인 위치에 있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12.02
  • 성리학(주자학)에 관한 고찰
    로 이어지는 학통 때문에 정주 성리학(程朱理學) 또는 정주 이학(程朱理學), 정주학으로도 불린다.학문의 목적은 위기지학(爲己之學, 자기(수양, 수기)를 위한 학문)이다.유학(儒學 ... ●성리성리학(性理學)은 12세기에 남송의 주희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다. 성리학의 어원은 주희(朱熹)가 주창한 성즉리(性卽理)를 축약한 명칭이다.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 ... )가 집성(集成)·정리하여 철학의 체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으로, 일명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육상산(陸象山)은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하였는데, 이것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0.01.06
  • 녹문 임성주의 기일원론에 관하여
    적인 개념이자 범주이다. 그러나 이(理)는 송대(宋代) 성리학(性理學)에서 처음 제기된 개념은 아니며, 다양한 의미를 지닌 체 점점 철학적 개념으로 정립되어 정주성리학(程朱理學 ... 구조 를 택하였는가?(3) 鹿門 任聖周의 理氣論(4) 鹿門 任聖周의 氣一分殊結論서론(序論)조선(朝鮮) 사회를 지탱하고 있었던 것은 성리학(性理學)이라는 이념이었다. 성리학(性理學 ... 발전시키는 양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 예가 되는 학자가 있다면 16세기의 조선(朝鮮) 성리학(性理學)의 대표적인 학자인 퇴계(退溪) 이황(李滉)과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있
    리포트 | 23페이지 | 50,000원 | 등록일 2007.02.23 | 수정일 2016.06.22
  • 성리학과 양명학
    , 성리학, 이학, 도학이 한계통으로 간주되고, 명학, 육왕학, 심학이 다른 한계통으로 분화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성리학(性理學)이라는 용어가 즐겨 사용되어 왔듯이 정주계(程朱 ... 여 경의學), 명학(明學), 정주학(程朱學), 육왕학(陸王學), 성리학(性理學), 이학(理學), 도학(道學), 심학(心學)등으로도 불리우며, 그것은 다만 세분될 경우 이중의 송학,정주학 ... 界)의 이학이 크게 발달하였다.성리학(性理學)이라는 용어는 ‘성명의리지학(性命義理之學)’의 줄임말이다. 이 용어의 의미로도 짐작할수 있듯이, 성리학은 심성의 수양을 과거 어느 유학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10.15
  • 한국의 성리
    시기와 대표적인 학자 및 그 경향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다. 송학(宋學) 명학(明學) 정주학(程朱學) 육왕학(陸王學) 성리학(性理學) 이학(理學) 도학(道學) 심학(心學) 등 ... 었는데, 그동안 주로 성리학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 연구하였고, 귀국할 때 정주(程朱)의 성리서적과 주자의 《가례 家禮》를 가지고 돌아왔다. 그 뒤 후진양성에 힘써서, 이제현(李齊賢 ... 설 위주의 이론탐구8. 성리학의 특성- 정주학의 특징. 주지주의의 특징. 예 숭상의 풍토. 명분론적 사고의 팽배.주지론의 보수성. 인존정신의 지향1. 성리학의 정의성리학은 그 발흥
    리포트 | 1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7.12.08
  • [한국교육사] 퇴계이황의 교육사상
    화(體系化)한 개념(槪念)을 수용(受容)하여 이를 보다 풍부(豊富)히 독자적(獨自的)으로 발전(發展)시킨 것이 이황의 성리학(性理學)이다. 이러한 정주학(程朱學)은 퇴계 사상의 기초이 ... 다. 그러한 정주 계통(系統)의 성리학(性理學)설(說)을 기본(基本)으로 하여 그와 다른 이론(理論)이나 학설(學說)은 배척(排斥)하는 태도(態度)를 취하였다.①이기론이(理)와 기 ... 1.서론(緖論)우리나라의 교육사상사(敎育思想史)를 살펴봐야 한다면 제일 처음 시작(始作)은 이황일 것이다. 조선(朝鮮)전기(前期)의 문신(文臣), 성리학(性理學)자(者)로 주리론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5.08
  • 유학사상과 문화: 한국문화에 있어서 유학사상의 영향을 중심으로
    주자학중심의 성리학으로 조선성리학이 정리되는 과정에서 이미 양명학을 비롯한 비정주적 사상(非程朱的 思想)은 비판받기 시작했고 이때 이미 조선 성리학은 교조적인 배타성을 띠고 시작 ... 을 것이다. 조선후기의 유학사를 중세적 질서의 해체에 중점을 두고 살피면 중세적 질서를 대표하는 주자학 중심의 성리학을 계속 고집하는 정통성이학(正統性理學)과 주자학에서 벗어난 새로운 ... 와 대립하여 사대사화(四大士禍)가 일어나기도 했었다.학문의 경향에 있어서는 사색과 이론 탐구에 치중하면서 발전하였는데, 명종·선조 때 많은 유학자가 배출되어 성리학은 일대 전성기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12.11
  • [한국철학] 조선조 초기 실학자들의 정주성리학 비판의 입장
    조선조 초기 실학자들의 정주성리학 비판의 입장(西溪, 磻溪, 星湖의 경우를 중심으로)1. 들어가는 말2. 초기 실학과 성리학3. 서계의 程朱理學批判의 입장4. 반계의 程朱理學 ... 기학과는 전혀 계열을 달리하는 경학의 장을 열게 되었으며 이는 형식상 나중에 정약종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실학의 전통을 이룩하게 된다.3. 서계의 程朱理學批判의 입장서계가 정주성리 ... .2. 초기 실학과 성리학초기 실학자들은 서계를 예외로 정주성리학에 대해 긍정적인 관심을 표명하였다. 반계와 성호는 각각 율곡과 퇴계의 성리학설에 찬동하여 그들이 제기한 문제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06.18
  • [인문]조선시대 실학적 교육사상
    조선시대 실학적 교육사상? 들어가기 전실학이란 동일한 용어의 사용은 고려 말(14세기)에 도입되어 조선 말기(20세기)까지 유행한 정주계(程朱系) 성리학 학자들과 조선 후기 ... 한 분야로 나누어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1. 철학 (哲學)다산의 사상은 당시 조선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을 지배하던 성리학(性理學)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 ... 에 형성된 (탈성리학으로서의) 실학자들에게서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성리학과 그 용어를 공유함으로써 양자의 분별에 혼란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성리학자들과 실학자들이 사용한 ‘실학’이
    리포트 | 10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6.11
  • [철학]성학십도(심학도설)
    .퇴계는 한국 유학사상 대표적 인물로써 그의 학문과 사상은 항상 인간을 중심으로 하고 있었다. 퇴계는 특히 한국인의 가치관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던 ‘정주(程朱) 성리학(性理學 ... 현상을 치유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우리 전통사상의 중심(中心)을 이루고 있는 퇴계 성리학(性理學)의 핵심인 성학십도(聖學十圖)의 내용에 관심을 갖고 그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한다 ... )’을 더욱 발전시킴으로써 한국 성리학의 성립을 가능케 하였다. 동시에 그는 고매한 품격(品格)을 갖춘 인물로서 성리학적 덕목(德目)을 어떻게 생활화할 것인지에 대하여 지대한 관심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9.13 | 수정일 2014.04.07
  • 한국교육사-유교사상의전개fp
    다.6장. 양명학1. 양명학 [陽明學]이란중국 명나라 중기에 태어난 양명(陽明) 왕수인(王守仁)이 이룩한 신유가철학(新儒家哲學). 송대에 확립된 정주이학(程朱理學)과는 대립된 성격 ... 은 송나라 시대의 ‘신유학’의 기반을 제공하였다.3) 송의 신유학은 정호, 정이 두 형제로부터 시작되는 바, 동생인 정이의 사상은 주희에 의해 「성리학」으로 발전되었으며, 형인 ... )는 모습을 보여주는 존재로 여겼다.2) 본받을 수 있는 존재교사는 학생들이 본받아야 하는 존재로, 이러한 성리학의 학습형태를 「상행하효(上行下效)」라고 한다.3) 법성현(法聖賢
    리포트 | 20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8.02.28
  • [중국사]성리학이 중국문화에 끼친 영향
    R E P O R T제 목: 성리학이 중국문화에 끼친 영향성리학이 중국문화에 끼친 영향송명 시대에 중국의 사상계에서는 ‘성리학(性理學)’이 등장하였다. 성리학은 중국의 사상 ... 계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영향을 끼치는 사조로 발전하게 되는데, 선진 유학으로 돌아가자는 특색 때문에 신유학(新儒學, Neo-Confucianism)이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성리학 ... 은 20세기에 이르러 서양의 사상적 충격과 혁명적인 정치적?사회적 변화로 인해 와해될 때까지 중국 사상의 핵심이 되었다. 이렇게 오랜 기간동안 사회 전반에 걸쳐서 영향을 끼쳤던 성리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05.28
  • [행정윤리]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행정적 고찰
    여 송학이라고도 하며, 정호, 정이 형제의 학설과 주희의 집대성 학문이라 하여 정주학이라고도 한다.(성리학=주자학=송학=정주학) 이러한 주자학의 대표적 이론을 소개하겠다.1. 이기론 ... 왕수인(왕양명)이 주장한 유학의 한 계통으로 송대에 확립된 정주이학(程朱理學)과는 대립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육상산(陸象山)의 철학과 함께 심학(心學)으로도 불린다. 왕양명(왕수인 ... . 객관적 관념 철학인 주자학(성리학))성리학은 유학의 한 갈래로 송나라 주희에 의해 완성된 학문이라 주희(주자)의 이름을 따서 주자학이라고도 하고, 또한 송나라에서 만들어졌다 하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5.12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1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